온암의 생각상자
2022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 교육과정 설계의 개요
주요 키워드 도덕과 교육과정의 목적, 도덕과 역량, 내용영역 설정 기준,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서의 변경사항, 핵심 아이디어, 내용 체계 범주별 주안점
○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의 목적? >> 총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인간상인 포용성과 창의성을 갖춘 주도적인 사람을 가치와 도덕의 차원에서 뒷받침함
○ (A)와(과) (B)은(는) 도덕과 교육과정이 목표로 하는 ‘도덕적인 인간’이 지니고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도덕성의 핵심적인 요소 >> (A):포용성, (B):주도성
○ (C)에는 도덕적 상상력의 함양을 통해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D)은(는) (C)이(가) 수반할 수 있는 고립성과 배타성 등의 어두운 측면을 완화시키는 도덕적 토대를 제공 >> (C):창의성, (D):도덕적 상상력
○ (C)에는 도덕적 상상력의 함양을 통해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D)은(는) (C)이(가) 수반할 수 있는 고립성과 배타성 등의 어두운 측면을 완화시키는 도덕적 토대를 제공 >> (C):창의성, (D):도덕적 상상력
○ 도덕과 역량
도덕과는 비판적이면서도 배려적인 사고력과 도덕 판단 능력, 정의로운 사회를 지향하는 도덕공동체 의식, 생태계 위기에 공감하는 도덕적 상상력, 새로운 정보기술 사회가 요구하는 인공지능 및 디지털 윤리 등의 교육을 통해 총론이 목표로 하는 시민역량과 생태전환 역량, 디지털 역량의 함양에 기여하는 교과로서 역할
○ 도덕과는 도덕성을 바탕으로 자율성과 주도성을 발휘할 수 있는 도덕적인 인간을 길러냄으로써, 미래 사회의 불확실성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며 각자의 삶을 스스로 책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총론의 지향에도 적극적으로 부합
○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용영역 설정 기준
가치관계 확장법: 가치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관계의 확장에 주목
└ 도덕과의 핵심 질문인 ‘어떻게 살 것인가’를 중심에 두고 관계 영역의 확장을 시도하는 방법이자 원리
└ 가치관계 네 영역: ①자신과의 관계와 ②타인과의 관계, ③사회⋅공동체와의 관계, ④자연과의 관계 >> 가치관계의 확장은 자신과의 관계에서 출발하여 다시 자신과의 관계로 순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
└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서의 변경사항: ①‘2015 도덕과 교육과정’의 ‘자연⋅초월과의 관계’ 영역을 ‘자연과의 관계’로 변경, ②초월 영역에 포함되어 있던 내용 요소를 자신과의 관계 영역에 포함
(∵ 초월 문제도 자신과의 관계 속에서 실존적으로 부각되는 것이라고 판단)
○ 도덕적 지식과 실천의 연계 과정
: ①나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도덕현상에 관한 탐구와 ②내면의 도덕성을 지향하는 성찰, ③일상의 실천이라는 세 요소가 순환하는 과정
└ 이러한 연계 과정은 도덕 수업을 중심축으로 학교와 가정, 사회로 확장되고 순환되어야 하는 과정으로, 도덕과는 그 과정의 구현을 학교 수준에서 책임지는 교과로서의 책무 有
○ 핵심 아이디어
각 영역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도덕적 지식과 실천의 연계 과정을 압축적으로 제시하는 것을 목표
└ 핵심가치(자신과의 관계에서 성실, 타인과의 관계에서 배려, 사회⋅공동체와의 관계에서 정의, 자연과의 관계에서 책임)를 중심으로
└ ‘도덕 수업을 받은 사람’이 갖출 수 있기를 기대하는 품성과 역량을 문장형으로 기술
└ ①내용 체계에서 제시되고 있는 세 범주의 내용요소와 성취기준을 통합하는 역할과 함께, ②도덕 수업의 지향점을 보다 명료하게 드러내는 기능도 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내용 체계는 총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내용 체계의 세 범주, 즉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의 범주를 토대로 마련
○ 성취기준은 ①내용 체계와의 유기적 연관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②도덕적 지식이 지니는 실천적 특성을 반영하는 서술 방식을 택하여 도덕과의 특성을 부각
○ 지식⋅이해 범주는 학생의 도덕 발달 수준에 부합하는 도덕적 지식과 실천의 연계 과정을 촉진하는 데 주안점
└
그에 따라 도덕 수업의 과정은 정해진 답을 제시하기보다는 보다 바람직한 삶을 향한 각자의 답을 찾아가는 과정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을 감안하여 질문형으로 제시
└ 이런 진술 방식의 선택은 이미 우리 전통 속에서 ‘화두’라는 개념으로 정착하여 일상화된 방식 + 도덕과가 포함하고 있는 철학교육과 메타적 차원의 종교교육을 포용하기 위한 선택
○ 과정⋅기능 범주에서는 도덕 수업이 단순한 도덕적 또는 윤리학적 지식의 전수를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기 위해 >> 탐구와 성찰의 과정을 구체화하여 적극적으로 포함
○ 가치⋅태도 범주 또한 일상의 실천을 중심으로 ①도덕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일상 속 실천에 옮기고자 하는 태도와, ②그 실천 자체를 수업 상황 속 탐구와 성찰의 대상으로 삼는 가치탐구와 수양의 과정을 중심으로 구성
○ 이를 통해 도덕과는 학교라는 중심축을 토대로 가정과 사회, 국가, 세계와 지속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을(를) 지닐 수 있게 될 것이다. >> 역동성
'임용고시 대비 온라인암기장 > (초등) 2022 개정 교육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임용 2022 미술 내체표] 2022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내용체계 (0) | 2024.02.16 |
---|---|
[2022 도덕과 교육과정] 2. 성격 및 목표 | 초등임용 대비 온라인암기장 (2) | 2024.02.14 |
2022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 3-4학년군 성취기준 > 도형과 측정 / 초등임용 대비 온라인암기장 (1) | 2024.01.03 |
(음악 성취기준) 2022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3-4학년군 온라인암기장, 초등임용 대비 (3) | 2023.12.12 |
(초등임용 대비) 2022 음악 내체표, 내용 체계 온라인암기장 (6) | 2023.1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