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용고시 대비 온라인암기장/(초등) 2022 개정 교육과정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 1) 교육과정 설계의 개요 / 초등임용 온라인암기장

by 온암 2024. 2. 13.

온암의 생각상자

2022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 교육과정 설계의 개요

참고 본 온라인암기장은 문답개조식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원문과 함께 공부하시길 권장합니다.

 

주요 키워드 도덕과 교육과정의 목적, 도덕과 역량, 내용영역 설정 기준,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서의 변경사항, 핵심 아이디어, 내용 체계 범주별 주안점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의 목적? >> 총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인간상인 포용성과 창의성을 갖춘 주도적인 사람을 가치와 도덕의 차원에서 뒷받침함

 

(A)와(과) (B)은(는) 도덕과 교육과정이 목표로 하는 ‘도덕적인 인간’이 지니고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도덕성의 핵심적인 요소 >> (A):포용성, (B):주도성

 

(C)에는 도덕적 상상력의 함양을 통해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D)은(는) (C)이(가) 수반할 수 있는 고립성과 배타성 등의 어두운 측면을 완화시키는 도덕적 토대를 제공 >> (C):창의성, (D):도덕적 상상력

 

(C)에는 도덕적 상상력의 함양을 통해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D)은(는) (C)이(가) 수반할 수 있는 고립성과 배타성 등의 어두운 측면을 완화시키는 도덕적 토대를 제공 >> (C):창의성, (D):도덕적 상상력

 

○ 도덕과 역량
도덕과는 비판적이면서도 배려적사고력도덕 판단 능력, 정의로운 사회를 지향하는 도덕공동체 의식, 생태계 위기에 공감하는 도덕적 상상력, 새로운 정보기술 사회가 요구하는 인공지능 및 디지털 윤리 등의 교육을 통해 총론이 목표로 하는 시민역량생태전환 역량, 디지털 역량의 함양에 기여하는 교과로서 역할

 

도덕과는 도덕성을 바탕으로 자율성주도성을 발휘할 수 있는 도덕적인 인간을 길러냄으로써, 미래 사회의 불확실성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며 각자의 삶을 스스로 책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총론의 지향에도 적극적으로 부합

 

○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용영역 설정 기준
가치관계 확장법: 가치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관계의 확장에 주목
  └ 도덕과의 핵심 질문인 ‘어떻게 살 것인가’를 중심에 두고 관계 영역의 확장을 시도하는 방법이자 원리
  └ 가치관계 네 영역: ①자신과의 관계와 ②타인과의 관계, ③사회⋅공동체와의 관계, ④자연과의 관계 >> 가치관계의 확장은 자신과의 관계에서 출발하여 다시 자신과의 관계로 순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
  └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서의 변경사항: ①‘2015 도덕과 교육과정’의 ‘자연⋅초월과의 관계’ 영역을 ‘자연과의 관계’로 변경, ②초월 영역에 포함되어 있던 내용 요소를 자신과의 관계 영역에 포함
    (∵ 초월 문제도 자신과의 관계 속에서 실존적으로 부각되는 것이라고 판단)

 

○ 도덕적 지식과 실천의 연계 과정 : ①나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도덕현상에 관한 탐구와 ②내면의 도덕성을 지향하는 성찰, ③일상의 실천이라는 세 요소가 순환하는 과정
  └ 이러한 연계 과정은 도덕 수업을 중심축으로 학교가정, 사회확장되고 순환되어야 하는 과정으로, 도덕과는 그 과정의 구현을 학교 수준에서 책임지는 교과로서의 책무 有

 

○ 핵심 아이디어
각 영역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도덕적 지식과 실천의 연계 과정을 압축적으로 제시하는 것을 목표
  └ 핵심가치(자신과의 관계에서 성실, 타인과의 관계에서 배려, 사회⋅공동체와의 관계에서 정의, 자연과의 관계에서 책임)를 중심으로
  └ ‘도덕 수업을 받은 사람’이 갖출 수 있기를 기대하는 품성과 역량을 문장형으로 기술
  └ ①내용 체계에서 제시되고 있는 세 범주의 내용요소성취기준통합하는 역할과 함께, ②도덕 수업의 지향점을 보다 명료하게 드러내는 기능도 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내용 체계는 총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내용 체계의 세 범주, 즉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의 범주를 토대로 마련

 

○ 성취기준은 ①내용 체계와의 유기적 연관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②도덕적 지식이 지니는 실천적 특성을 반영하는 서술 방식을 택하여 도덕과의 특성을 부각

 

지식⋅이해 범주는 학생의 도덕 발달 수준에 부합하는 도덕적 지식과 실천의 연계 과정을 촉진하는 데 주안점
  └ 그에 따라 도덕 수업의 과정은 정해진 답을 제시하기보다는 보다 바람직한 삶을 향한 각자의 답을 찾아가는 과정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을 감안하여 질문형으로 제시
  └ 이런 진술 방식의 선택은 이미 우리 전통 속에서 ‘화두’라는 개념으로 정착하여 일상화된 방식 + 도덕과가 포함하고 있는 철학교육과 메타적 차원의 종교교육을 포용하기 위한 선택

 

과정⋅기능 범주에서는 도덕 수업이 단순한 도덕적 또는 윤리학적 지식의 전수를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기 위해 >> 탐구와 성찰의 과정을 구체화하여 적극적으로 포함

 

가치⋅태도 범주 또한 일상의 실천을 중심으로 ①도덕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일상 속 실천에 옮기고자 하는 태도와, ②그 실천 자체를 수업 상황 속 탐구와 성찰의 대상으로 삼는 가치탐구수양의 과정을 중심으로 구성

 

이를 통해 도덕과는 학교라는 중심축을 토대로 가정과 사회, 국가, 세계와 지속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을(를) 지닐 수 있게 될 것이다. >> 역동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