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용고시 대비 온라인암기장/(초등) 2022 개정 교육과정

[2022 개정] 초등 미술과 교육과정 설계의 개요 파트 빈칸연습

by 온암 2024. 2. 21.

온암의 생각상자

* 미술과 공통 교육과정은 총론에서 제시한 인간상 및 역량과 연계 → 심미적 감성 역량, 창의/융합 역량, 시각적 소통 역량, 정체성 역량, 공동체 역량을 미술과 학습을 통해 기를 수 있는 교과 역량으로 설정

 

* 이 교과 역량을 토대로 학생은 대상과 현상에 대한 미적 체험을 바탕으로 느낌과 생각을 표현하고 감상하는 활동을 → 1)자신세계를 이해하고 2)미술 문화 창조에 주도적으로 참여

 

* 미술과 공통 교육과정은 1)성격 및 2)목표, 3)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교수/학습 및 평가의 구성 체계를 가짐

 

1) 성격은 미술의 정의와 역할, 미술 교과의 핵심 역할, 학생들이 얻는 교육적 성과, 미술과의 중요성과 의의를 다루고 미술과의 목표와 긴밀하게 연계

 

2) 목표는 미술교육의 지향과 미술과 학습을 통해 길러야 하는 역량을 중심으로 제시

 

3) 내용 체계는 영역, 영역별 핵심 아이디어, 내용 요소로 구성

 

* 교과의 내용을 구분하는 가장 큰 단위인 영역: 1)미적 체험, 2)표현, 3)감상으로 설정

 

1) 미적 체험 영역 → 감각과 사고의 연결을 통해 미적 감수성을 기르고 앎을 확장하며 자신세계의 의미와 가치를 성찰하고 소통하게 함

 

2) 표현 영역 → 다양한 발상과 매체를 통해 느낌과 생각을 시각화하고 성찰하며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가운데 예술적 성취를 경험하게 함

 

3) 감상 영역 → 다양한 삶과 문화가 반영된 미술과의 만남으로 미적 판단 능력을 기르고 자신공동체를 이해하며 미술 문화의 다원적 가치를 존중하게 함

 

* 핵심 아이디어는 각 영역에서 학습을 통해 일반화할 수 있는 내용을 진술한 것으로, 영역의 정의와 의미, 역할 등을 포괄하여 세 문장으로 제시

 

* 내용 요소핵심 아이디어에 기초하여 학생들이 학습해야 할 필수 내용을 선정한 것; 1)지식/이해, 2)과정/기능, 3)가치/태도의 세 범주로 구분하여 학년군별, 학교급별위계화

 

1) 지식/이해: 미술과 학습을 통해 반드시 알아야 할 구체적 지식과 그것에 대한 이해를 의미

 

2) 과정/기능: 미술 지식을 형성하는 데 활용되는 사고탐구 과정과 미술 고유의 절차적 지식

 

3) 가치/태도: 미술 활동을 통해서 기를 수 있는 의미 있고 바람직한 가치태도

 

* 영역별 성취기준은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 중 두 개 이상의 내용 요소를 연결하여 진술

 

* 교수/학습 및 평가는 미술과 목표 달성을 위한 교수/학습의 강조점을 확인하고 목표 도달을 촉진하기 위한 평가의 방향과 방법을 제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