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암의 생각상자
자료와 가능성 영역 온라인암기장(3~4학년군)
[4수04-01] 자료를 수집하여 그림그래프나 막대그래프로 나타내고 해석할 수 있다.
[4수04-02] 자료를 수집하여 꺾은선그래프로 나타내고 해석할 수 있다.
[4수04-03] 탐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료를 수집, 정리하여 막대그래프나 꺾은선그래프로 나타내고 해석할 수 있다.
→ 성취기준 해설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료를 수집, 정리하고 그래프로 나타내어 해석하는 일련의 과정을 직접 경험하게 함; 자료의 크기를 비교할 때는 막대그래프로, 시간에 따른 변화의 경향을 알아볼 때는 꺾은선그래프로 나타내는 것이 편리함을 알고, 자료의 특성에 따라 목적에 맞는 적절한 그래프를 선택하게 함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 사항
• ‘자료와 가능성’ 영역에서는 용어와 기호로 ‘그림그래프, 막대그래프, 꺾은선그래프’를 다룸
• 문제 상황에 맞게 간단한 설문조사, 실험과 관찰, 공공 자료의 활용 등을 통해 자료를 직접 수집하게 함
• 그림그래프를 그릴 때 항목의 이름과 수량의 단위를 명확히 인식하고, 자료의 개수에 따라 그림이 나타내는 단위를 적절히 선택하게 함
• 막대그래프와 꺾은선그래프를 그릴 때는 가로축과 세로축이 각각 무엇을 나타내는지 확인하게 하고 눈금 한 칸이 나타내는 크기를 적절히 선택하게 함
• 막대그래프와 꺾은선그래프를 그릴 때 공학 도구를 사용하게 할 수 있음
• 여러 가지 사회, 환경 문제를 탐구하는 데 그림그래프, 막대그래프, 꺾은선그래프로부터 얻은 정보를 활용하게 할 수 있음
• 자료 수집의 목적과 수집한 자료의 특성에 맞는 그래프로 적절히 표현되었는지를 비판적으로 판단하게 할 수 있음
• ‘자료와 가능성’ 영역의 문제 상황에 적합한 문제해결 전략을 지도하고, 문제해결 과정을 설명하게 하여 문제해결 역량을 기르게 함
• ‘자료와 가능성’ 영역에서 문제해결 과정을 설명할 때 다른 친구의 의견을 존중하고 경청하는 태도로 참여하게 함
닫는 말
지금까지 2022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중 3~4학년군 성취기준 빈칸연습장을 올려보았습니다. 자료는 이 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으며, 목표부터 뒷교 파트까지 학습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 파트는 초등임용, 중등임용 할 것 없이 교육과정이 자주 출제되는 영역입니다. 꼭 학습해두셔서 시험 날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이상으로 글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임용고시 대비 온라인암기장 > (초등) 2022 개정 교육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 영어 성취기준 빈칸 연습 (0) | 2024.04.18 |
---|---|
[사회] 교육과정 설계의 개요 | 2022개정 교육과정 빈칸 연습 (0) | 2024.04.03 |
사회 성취기준 빈칸 연습 (2022개정, 초등임용 대비 온라인암기장) (0) | 2024.03.13 |
(2022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뒷교 #2 - 평가 파트 온라인암기장 초등임용 중등임용 대비 (1) | 2024.03.09 |
2022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교수학습 파트 빈칸연습 - 초등임용 중등임용대비 (5) | 2024.03.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