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임용 2022총론/창체/통합 역량/모형 수학 사회/도덕 실과 국어 영어 음악 미술 체육 과학 #중등임용 2022총론/창체 국어 수학 도덕 기술가정/정보 미술 체육 한문 #한국사, 한자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한자 자격증 공부 알림 [안내] 온라인암기장 프린트 기능 추가 [안내] 중등임용 가정과 파트 온라인암기장 업로드 [안내] 원하시는 포스팅 주제가 있으시다면 방명록에 남겨주세요. 모형 단계같이 지도서가 바뀌면서 변경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바뀐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도형 영역 성취기준 (3) : 5~6학년군 | 같이 보면 좋은 글 - [1-2학년군/도형] 성취기준+교학방평 - [3-4학년군/도형] 성취기준+교학방평 | 목차 - 5-6학년군 도형영역 성취기준 분석 - 5-6학년군 도형영역 교수학습방법/평가방법 및 유의사항 분석 | 5-6학년군 도형영역 성취기준 | 교수학습방법/평가방법 및 유의사항 1. 학습요소 합동, 대칭, 대응점, 대응변, 대응각, 선대칭도형, 점대칭도형, 대칭축, 대칭의 중심, 직육면체, 정육면체, 면, 모서리, 밑면, 옆면, 겨냥도, 전개도, 각기둥, 각뿔, 원기둥, 원뿔, 구, 모선 (1) 합동과 대칭 합동, 대칭, 대응점, 대응변, 대응각, 선대칭도형, 점대칭도형, 대칭축, 대칭의 중심 (2) 입체도형과 구성요소 직육면체, 정육면체, 면, 모서리, 밑면, 옆면, 겨냥도, 전개도 (3.. 2020. 8. 11. 도형 영역 성취기준 (2) : 3~4학년군 | 같이 보면 좋은 글 - 도형 영역 성취기준 (1) : 1~2학년군 - 2015 수학과 교육과정 (4) : 도형 영역 내용체계 | 목차 - 도형 영역 3-4학년군 성취기준 분석 - 교수학습방법/평가방법 및 유의사항 분석 | 도형 영역 3-4학년군 성취기준 분석 | 교수학습방법+평가방법 및 유의사항 분석 1. 학습요소 직선, 선분, 반직선, 각, 각의 꼭짓점, 각의 변, 직각, 예각, 둔각, 수직, 수선, 평행, 평행선, 원의 중심, 반지름, 지름, 이등변삼각형, 정삼각형, 직각삼각형, 예각삼각형, 둔각삼각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사다리꼴, 평행사변형, 마름모, 다각형, 정다각형, 대각선 (1) 1차원 도형 : 직선, 선분, 반직선 (2) 각 ① 각과 각의 구성 요소 : 각, 각의 꼭짓점, 각의 변 ②.. 2020. 8. 7. 도형 영역 성취기준 (1) : 1~2학년군 | 같이 보면 좋은 글 - 2015 수학과 교육과정 (4) : 도형 영역 내용체계 | 목차 - 도형 영역 1-2학년군 성취기준 분석 - 교수학습방법/평가방법 및 유의사항 분석 | 1-2학년군 도형 성취기준 | 교수학습방법 및 유의사항 분석 1. 학습요소 삼각형, 사각형, 원, 꼭짓점, 변, 오각형, 육각형 (1) 다각형 : 3,4,5,6각형 (2) 원 (3) 구성요소 : 변, 꼭짓점 2. 교수학습방법 및 유의사항 a. 쌓기나무를 이용한 모양 만들기, 칠교판을 이용한 모양 채우기나 꾸미기를 통하여 도형에 대한 공간 감각을 기르게 한다. 쌓기 나무를 이용한 모양 만들기 : 입체모양 만들기 칠교판을 이용한 모양 채우기+꾸미기 : 평면모양 만들기 모양 채우기나 만들기 -> 도형 공간감각 b. 입체도형의 모양이나.. 2020. 8. 7.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4) : 도형 내용 체계 | 같이 보면 좋은 글 -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3) : 수와 연산 내용 체계 | 목차 - 도형 영역 핵심 개념 - 도형 영역 내용 요소 - 도형 영역 관련 기능 | 도형 영역 핵심 개념 도형 영역의 핵심 개념은 평면도형과 입체도형입니다. 사람이 모양을 범주화하는 도형은 크게 평면도형과 입체도형이 있으며, 이들은 초등 수학교육의 주된 개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두 개념의 일반화된 지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평면도형 주변의 모양은 여러 가지 평면도형으로 범주화되고, 각각의 평면도형은 고유한 성질을 가진다. (2) 입체도형 주변의 모양은 여러 가지 입체도형으로 범주화되고, 각각의 입체도형은 고유한 성질을 가진다. 일반화된 지식의 키워드는 '주변의 모양', '범주화', '고유한 성질'입니다... 2020. 7. 15. 수와 연산 5~6학년군 성취기준 | 같이 보면 좋은 글 - [1-2학년군/수와 연산] 성취기준 - [3-4학년군/수와 연산] 성취기준 | 목차 - 수와 연산 5-6학년군 성취기준 분석 - 수와 연산 5-6학년군 학습요소, 교수학습방법, 평가방법 분석 | 수와 연산 5~6학년군 성취기준 분석 [6수01-01]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의 혼합계산에서 계산하는 순서를 알고, 혼합계산을 할 수 있다. ✔ 자연수의 혼합계산은 사칙계산이 정의된 후 배우는 것으로, 계산 원리가 아닌 계산 순서를 성취기준에 담음 [6수01-02] 약수, 공약수, 최대공약수의 의미를 알고 구할 수 있다. [6수01-03] 배수, 공배수, 최소공배수의 의미를 알고 구할 수 있다. ✔ 약수와 배수는 약분과 통분으로 나아가기 위한 기초 [6수01-04] 약수와 배수의 .. 2020. 7. 14. 수와 연산 3~4학년군 성취기준 | 같이 보면 좋은 글 - [1-2학년군/수와 연산] 성취기준 | 목차 - 수와 연산 3~4학년군 성취기준 - 학습요소 분석 -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사항 분석 - 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 분석 (참고문헌 : 수학과 교육과정(2015, 교육부) | 수와 연산 3~4학년군 성취기준 [4수01-01] 10000이상의 큰 수에 대한 자릿값과 위치적 기수법을 이해하고, 수를 읽고 쓸 수 있다. {주석} 3-4학년군의 학습 요소 중 '다섯 자리 이상의 수'는 '큰 수'라는 표현으로 등장 {주석} 자릿값과 위치적 기수법은 떼어낼 수 없는 요소 {주석} 2수 성취기준은 '세고 읽고 쓸 수 있다'이지만 큰 수는 세기 어려우므로 읽고 쓸 수 있다로 등장 [4수01-02] 다섯 자리 이상의 수의 계열을 이해하고 수의 크기를.. 2020. 7. 9. 이전 1 ··· 63 64 65 66 67 68 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