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암의 생각상자
☆ 이 게시글은 온라인암기장으로 키워드는 마우스를 올려 놓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 과정 중심 쓰기 지도
<쓰기 지도 접근 방법>
결과 중심 쓰기 지도 | 과정 중심 쓰기 지도 |
맥락 중심 쓰기 지도 | 장르 중심 쓰기 지도 |
가. 인지주의작문이론을 바탕으로 함
1) 쓰기는 의미 구성 과정으로, 일종의 문제 해결 행위
2) 회귀성 : 작문 중 필요하다면 수행했던 앞 쓰기 단계로 되돌아가 확인하거나 수정할 수 있음
예) 글 작성을 마치고 고쳐쓰기 단계로 넘어가기 전 작문 계획을 다시 확인
예) 얼개는 쓰기 과정에서 얼마든지 수정될 수 있음
3) 상위 인지 사용: 점검하기, 자기 질문하기 전략 등 상위 인지 전략을 사용
2. 과정 중심 쓰기 지도 단계: 계획하기 - 내용 생성하기 - 내용 조직하기 - 표현하기 - 고쳐쓰기 - 점검하기
3. 단계별 쓰기 전략
가. 계획하기 단계 쓰기 전략
- 목적, 주제, 독자 설정 및 설정
글쓰기 전 고려할 주 3요소이므로 숙지하기!
- 쓰기 조건, 글의 형태 고려하기
- 자신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기
나. 내용 생성하기 단계 쓰기 전략
- 브레인스토밍: 주제에 대해 즉흥적으로 최대한 많은 아이디어를 떠올리는 전략
- 생각 그물 만들기: 주제를 가운데에 적고 하위 내용들을 선으로 연결하거나 도형으로 표현하는 전략 마인드맵
- 열거하기: 주제에 알맞은 내용을 나열하는 전략
(카테고리가 있어야 함)
- 이야기 나누기: 짝끼리 또는 집단 형태로이야기를 주고 받는 전략
[참고] 이야기 나누기 전략 중 대상자를 직접 만나서 물어보는 전략을 면담하기 전략이라고 함
[참고] 겪은 일을 표현하는 글을 쓸 때에는 이야기를 하다 보면 겪었던 일이 잘 떠오름
- 관련 자료 읽기: 주제 관련 자료를 읽는 전략
다. 내용 조직하기 단계 쓰기 전략
- 다발 짓기: 내용 생성하기 단계에서 얻은 아이디어를 관련성 있는 내용끼리 묶는 전략 (시각적으로 표현)
- 얼개 짜기: 글의 뼈대를 만드는 전략; 쓸 글의 대략적인 순서를 정함
- 협의하기: 다른 사람과 대화하여 생각을 정교화하는 전략
라. 표현하기 단계 쓰기 전략 2023중등
- 구두 작문: 실제로 쓸 내용을 말로 해보는 전략; 글쓰기 부담이 있는 학생에게 효과적
- 얼른 쓰기: 쓸 내용을 문법이나 서체 따위를 고려하디 않고 자유롭게 써보는 전략
[참고] 1~2학년군 쓰기 밑교: 인상 깊었던 일이나 겪은 일을 쓸 때에는 한 편의 글이 갖추어야 하는 형식적인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하지 말고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둔다.
마. 고쳐쓰기 단계 전략
- 비평 집단 운영하기 : 학급에서 몇 명을 중심으로 집단을 꾸려서 친구들이 쓴 글에 대해 논평해주는 전략
- 훑어 읽기: 초고를 읽은 다음 고칠 내용 등을 생각해보는 전략
- 돌려 읽기 : 짝 또는 집단별로 글을 돌려 읽고 환류하는 전략
- 평가하기: 완성한 글을 자기평가하거나 동료와 서로 평가하는 전략
마. 점검하기 단계 쓰기 전략
- 자기 평가: 글쓰기 과정에서 스스로를 평가하는 전략
- 자기 질문: 스스로에게 질문하고 답하는 전략
- 자기 기록: 글쓰기 도중 생각난 것을 메모하는 전략
[참고] 점검하기 단계 관련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쓰기 영역 기능: 점검/조정하기
'임용고시 대비 온라인암기장 > 교과교육론&모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Krashen의 5가지 가설 정리 / five hypotheses (0) | 2023.08.01 |
---|---|
초등임용 국어 읽기 전략 온라인암기장 (0) | 2023.07.28 |
[과학의 본성] 과학의 일반적 특성, 과학의 구성 요소 (1) | 2023.07.23 |
교사 언어(teacher talk)의 의미, 특징, 질문 유형 | 초등영어교육론 (0) | 2023.07.21 |
[초등임용영어] 학습자 전략 2 - 의사소통 전략(communication strategies) 총정리 (0) | 2023.07.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