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암의 생각상자
| 같이 보면 좋은 글
- 2015 수학과 교육과정 (4) : 도형 영역 내용체계
| 목차
- 도형 영역 3-4학년군 성취기준 분석
- 교수학습방법/평가방법 및 유의사항 분석
| 도형 영역 3-4학년군 성취기준 분석
| 교수학습방법+평가방법 및 유의사항 분석
1. 학습요소
직선, 선분, 반직선, 각, 각의 꼭짓점, 각의 변, 직각, 예각, 둔각, 수직, 수선, 평행, 평행선, 원의 중심, 반지름, 지름, 이등변삼각형, 정삼각형, 직각삼각형, 예각삼각형, 둔각삼각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사다리꼴, 평행사변형, 마름모, 다각형, 정다각형, 대각선
(1) 1차원 도형
: 직선, 선분, 반직선
(2) 각
① 각과 각의 구성 요소
: 각, 각의 꼭짓점, 각의 변
② 각의 분류
: 직각, 예각, 둔각
(3) 수직관계와 평행관계
: 수직, 수선, 평행, 평행선
(4) 원과 원의 구성요소
: 원의 중심, 반지름, 지름
(5) 삼각형의 분류
: 이등변삼각형, 정삼각형, 직각삼각형, 예각삼각형, 둔각삼각형
(6) 사각형의 분류
: 직사각형, 정사각형, 사다리꼴, 평행사변형, 마름모
(7) 다각형과 정다각형
: 다각형, 정다각형, 대각선
2. 교수학습방법 및 유의사항
a. 구체적인 사례나 활동을 통하여 각을 도입하고, 각의 변이 반직선임을 알게 한다.
각의 변은 ‘반직선’임
각의 변이 선분이면 크기가 같은 각을 무한히 정의해야 함
(변이 1cm이고 크기가 90도인 각과 변이 2cm이고 크기가 90도인 각이 달라짐)
각의 변이 직선이면 둔각과 예각을 구분할 수 없어짐
b. 실생활에서 평면도형의 이동을 활용한 사례를 찾아서 이동에 따른 변화를 추론하고 설명하게 한다.
평면도형의 이동은 밀기/뒤집기/돌리기에 따라 모습이 달라지기 때문에 이동에 따른 변화를 찾아내야 함
c. 평면도형의 이동을 활용하여 자신만의 규칙적인 무늬를 만들고, 다른 사람이 만든 무늬에서 규칙을 찾아 설명하게 한다.
평면이동의 이동에 따른 변화를 무늬 만들기에 적용
d. 여러 가지 삼각형과 사각형을 이름 짓는 활동을 통하여 각 도형의 정의에 대해서 학생들 스스로 사고하게 한다.
도형의 이름 짓기는 3-4학년군 (모양에 알맞게 분류하기는 1-2학년)
도형의 정의는 도형을 수학적으로 분류하는 데 기초
e. 여러 가지 사각형의 성질은 구체적인 조작 활동을 통하여 간단한 것만 다루고, 여러 가지 사각형 사이의 관계는 다루지 않는다.
사각형 사이의 포함관계 등은 다루지 않음
f. 도형 영역의 문제 상황에 적합한 문제 해결 전략을 지도하고, 문제 해결 과정을 설명하게 하여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게 한다.
(도형 영역)+문상적/문해전지/문해과설/문해능기
3. 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
a. 직선, 선분, 반직선에 대한 평가에서는 정확한 정의나 표현보다 직선, 선분, 반직선을 서로 구별할 수 있는지에 중심을 둔다.
정의나 표현은 평가대상이 아님
직선, 선분, 반직선을 서로 비교할 수 있는가?
b. 평면도형의 이동을 활용하여 모양의 변화나 무늬를 설명하게 할 때 설명 방법이 다양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 평가한다.
직각삼각형을 두 번 뒤집은 것과 민 것은 서로 같음
| 확인해보기
1. 각의 변은 (직선, 선분, 반직선)이다.
2. 여러 가지 삼각형의 이름을 짓는 활동에서 교사가 유의해야 할 점을 설명하시오.
3. 다음 성취기준에 알맞은 말을 써넣으시오.
(__a__)를 이용하여 (______b______)의 원을 그려서 다양한 모양을 (__c__) 있다. |
'기타 공부 > 초등임용 공부했던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5) : 측정 내용 체계 (0) | 2020.08.12 |
---|---|
도형 영역 성취기준 (3) : 5~6학년군 (0) | 2020.08.11 |
도형 영역 성취기준 (1) : 1~2학년군 (0) | 2020.08.07 |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4) : 도형 내용 체계 (0) | 2020.07.15 |
수와 연산 5~6학년군 성취기준 (0) | 2020.07.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