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공부/초등임용 공부했던 자료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5) : 측정 내용 체계

by 온암 2020. 8. 12.

온암의 생각상자

| 같이 보면 좋은 글

-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 (3) 내용 체계 : 수와 연산

-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 (4) 내용 체계 : 도형

| 목차

-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수학 측정 영역


|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수학 측정 영역

1. 측정 영역의 핵심 개념

측정 영역에서는 사물의 다양한 속성을 수로 나타내는 것을 배웁니다.

측정은 크게 속성을 수치화하는 ‘양의 측정’과 수를 어림수로 나타내는 ‘어림하기’를 학습합니다.


2. 핵심개념의 일반화된 지식

(1) 양의 측정 : 생활 주변에는 시간, 길이, 들이, 무게, 각도, 넓이, 부피 등 다양한 속성이 존재하며, 측정은 속성에 따른 단위를 이용하여 양을 수치화하는 것이다.

 

→ 초등학교에서 다루는 속성 7가지 : 시간, 길이, 들이, 무게, 각도, 넓이, 부피

→ 측정의 의미 : 속성+속성에 알맞은 단위+양의 수치화

→ 측정 단원에서는 임의의 단위로 수치화, 표준 단위의 필요성 인식, 표준 단위로 수치화 순으로 학습

 

(2) 어림하기 : 어림을 통해 양을 단순화하여 표현한다.

 

→ 어림의 목적 : 측정에서 다루는 속성의 양을 간단하게 나타내기 위함


3. 측정 영역의 기능
비교하기, 구별하기, (시각) 읽기, 표현하기, 이해하기, 계산하기, 측정하기, 어림하기, 그리기, 추론하기, 설명하기, 활용하기, 문제 해결하기

 

→ (5대 영역) 공통 기능 : 표현하기, 이해하기, 설명하기, 문제 해결하기

→ 양의 측정 주요 기능 : 비교하기, 구별하기, (시각) 읽기, 계산하기, 측정하기, 그리기, 추론하기, 활용하기

→ 어림하기 주요 기능 : 어림하기

 


| 확인해보기

다음 빈칸을 채워봅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