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암의 생각상자
| 같이 보면 좋은 글
| 목차
- 5-6학년군 도형영역 성취기준 분석
- 5-6학년군 도형영역 교수학습방법/평가방법 및 유의사항 분석
| 5-6학년군 도형영역 성취기준
| 교수학습방법/평가방법 및 유의사항
1. 학습요소
합동, 대칭, 대응점, 대응변, 대응각, 선대칭도형, 점대칭도형, 대칭축, 대칭의 중심, 직육면체, 정육면체, 면, 모서리, 밑면, 옆면, 겨냥도, 전개도, 각기둥, 각뿔, 원기둥, 원뿔, 구, 모선
(1) 합동과 대칭
합동, 대칭, 대응점, 대응변, 대응각, 선대칭도형, 점대칭도형, 대칭축, 대칭의 중심
(2) 입체도형과 구성요소
직육면체, 정육면체, 면, 모서리, 밑면, 옆면, 겨냥도, 전개도
(3) 기둥, 뿔, 구
각기둥, 각뿔, 원기둥, 원뿔, 구, 모선
2. 교수학습방법 및 유의사항
a. 실생활에서 같은 무늬 찾기, 종이 겹쳐 오리기, 도장 찍기, 데칼코마니 등 구체적인 조작 활동을 통하여 도형의 합동의 의미를 알게 한다.
구체적인 조작 활동 : 같은 무늬 찾기, 종이 겹쳐 우리기, 도장, 데칼코마니
b. 실생활에서 선대칭도형과 점대칭도형의 예를 찾아 설명하게 한다.
도형에 대한 이해를 생활 주변 사물의 모양으로 설명
c. 선대칭도형과 점대칭도형의 성질을 이용하여 각 도형의 나머지 부분을 그리게 한다.
대칭의 중심을 이용하면 선대칭도형이나 점대칭도형의 나머지 부분을 추측할 수 있음
d. 직육면체의 전개도에서 수직인 면과 평행인 면을 찾게 하여 전개도로부터 입체도형을 추측할 수 있게 한다.
면 사이의 관계를 통해 전개도를 겨냥도를 구상해볼 수 있음
e. 각기둥의 전개도는 간단한 형태만 다루고, 각뿔과 원뿔의 전개도는 다루지 않는다.
f. 한 직선을 중심으로 직사각형, 직각삼각형, 반원을 돌리는 활동을 통하여 원기둥, 원뿔, 구를 만들어보게 한다.
회전체의 성질을 이용한 교수 학습 방법
g. 모형을 이용하여 입체도형의 구성요소와 성질을 확인하게 한다.
모형은 입체도형을 단순하게 나타낸 것으로, 군더더기 없이 성질을 파악하기 좋은 자료
3. 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
a. 선대칭도형과 점대칭도형 그리기를 평가할 때 점판이나 격자를 이용하여 쉽게 그릴 수 있게 한다.
점판이나 격자가 없으면 대칭인 도형을 그리기 어려움(각, 변의 길이 등)
평가의 목적은 선대칭도형과 점대칭도형의 성질을 이용할 수 있는가에 중점을 두어야 함
b. 입체도형의 전개도에 대한 평가는 전개도가 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을 구별하는 데 중점을 둔다.
예시 – 원기둥의 전개도를 이해했는지를 평가할 때에는 원기둥이 될 수 있는 전개도를 고르는 문제를 제시할 수 있다.
c. 쌓기나무로 만든 입체도형의 위, 앞, 옆에서 본 모양에 대한 평가를 할 때에는 간단한 모양을 이용한다.
공간감각을 통한 입체도형을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둠
| 확인해보기
1. ‘합동의 의미를 이해하고 여러 가지 합동인 도형을 만들 수 있다.’를 학습목표로 한 수업을 구상하려고 할 때, 학습자가 합동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도입할 수 있는 활동을 세 가지 제시하시오.
2. 다음 성취기준에 알맞은 말을 써넣으시오.
직육면체와 정육면체의 ( a )와 ( b )를 그릴 수 있다. |
3. 2015개정 교육과정에 따르면 원뿔과 구에 대하여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지 성취기준에 근거하여 설명하시오.
.
'기타 공부 > 초등임용 공부했던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측정 영역 성취기준 (1) : 1~2학년군 (0) | 2020.08.13 |
---|---|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5) : 측정 내용 체계 (0) | 2020.08.12 |
도형 영역 성취기준 (2) : 3~4학년군 (0) | 2020.08.07 |
도형 영역 성취기준 (1) : 1~2학년군 (0) | 2020.08.07 |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4) : 도형 내용 체계 (0) | 2020.07.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