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공부/초등임용 공부했던 자료

도형 영역 성취기준 (1) : 1~2학년군

by 온암 2020. 8. 7.

온암의 생각상자

 

| 같이 보면 좋은 글

- 2015 수학과 교육과정 (4) : 도형 영역 내용체계

| 목차

- 도형 영역 1-2학년군 성취기준 분석

- 교수학습방법/평가방법 및 유의사항 분석


| 1-2학년군 도형 성취기준


| 교수학습방법 및 유의사항 분석

1. 학습요소

 

삼각형, 사각형, 원, 꼭짓점, 변, 오각형, 육각형

 

(1) 다각형 : 3,4,5,6각형

(2) 원

(3) 구성요소 : 변, 꼭짓점


2. 교수학습방법 및 유의사항

 

a. 쌓기나무를 이용한 모양 만들기, 칠교판을 이용한 모양 채우기나 꾸미기를 통하여 도형에 대한 공간 감각을 기르게 한다.

쌓기 나무를 이용한 모양 만들기 : 입체모양 만들기

칠교판을 이용한 모양 채우기+꾸미기 : 평면모양 만들기

모양 채우기나 만들기 -> 도형 공간감각

 

b. 입체도형의 모양이나 평면도형의 모양을 다룰 때 모양의 특징을 직관적으로 파악하여 모양을 분류하고, 분류한 모양을 지칭하기 위해 일상용어를 사용하게 할 수 있다.

 

[2수01-04]와 관계 있음

도형의 구성요소 등을 수학적으로 이해하기보다는 모양 자체를 파악 (직관적 이해)

모양의 직관적 이해는 분류하기 활동과 관계됨

분류한 모양에 이름을 배우기 전 일상용어 (세모, 네모, 동그라미) 사용

 

c. 입체도형의 모양과 평면도형의 모양을 이용한 모양 만들기와 꾸미기의 주제는 학생들에게 친근한 소재인 동물, 탈 것, 건물 등으로 다양하게 제시한다.

 

모양 만들기와 꾸미기는 모양에 대한 공간 감각을 기르기 위해 실행

소재는 친근해야 함

소재 : 동탈건(동물 탈 건데?)

 

d. 쌓기나무로 만든 입체도형의 모양에 대해서 ‘~의 앞’, ‘~의 오른쪽’, ‘2층’등을 시용하여 말하게 한다.

 

[2수02-02]와 관계 있음

쌓기나무 모양은 위치와 방향을 이용하여 말할 수 있음.

위치 : 2층

방향 : ~의 앞, ~의 오른쪽

 

e. 평면도형의 모양을 이용한 모양 꾸미기 활동에서는 스티커, 잡지에서 오려낸 모양 종이 등을 활용하게 할 수 있다.

 

평면도형 모양 꾸미기는 종이나 잡지 등 인쇄물이 적합

활용 소재 : 스티커, 잡지에서 오려낸 모양 종이 (스티브 잡스 어머 좋아!)

 

f. 삼각형, 사각형, 원은 예인 것과 예가 아닌 것을 인식하고 분류하는 활동을 통하여 직관적으로 이해하게 한다.

 

[2수02-04] 평면도형은 직관적으로 이해해야 한다.

예인 것과 예가 아닌 것 인식+분류 : 개념학습의 대표적 성격

 

g. 삼각형과 사각형에 대한 직관적 이해를 통하여 도형의 이름과 변 또는 꼭짓점의 개수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그 관계를 일반화하여 오각형과 육각형을 구별하여 이름 지을 수 있게 한다.

 

[2수02-06] 3,4각형 직관적 이해 기초

이름과 변 개수/이름과 꼭짓점 개수 관계 (이변꼭개)

일반화를 통해 오각형과 육각형 개념 형성

 

h. 도형 영역의 문제 상황에 적합한 문제 해결 전략을 지도하여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게 한다.

 

({영역 이름}+문상적/문해전지/문해능기)


3. 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

 

a. 여러 가지 모양 만들기, 꾸미기, 채우기 활동을 평가할 때는 과정 중심 평가를 한다.

이해한 도형을 그리는 과정이 중요

 


| 확인해보기

1.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표현을 쓰시오.

여러 가지 모양 만들기, 꾸미기, 채우기 활동을 평가할 때는 ( )를 한다.

 

2. 다음 성취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어떻게 지도해야 할지 간단히 설명하시오.

삼각형, 사각형, 원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그 모양을 그릴 수 있다.

 

3. 입체도형의 모양을 이용한 모양 만들기 수업을 구상하고자 할 때, 학생들에게 제시할 수 있는 소재를 2가지 이상 설명하시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