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공부/초등임용 공부했던 자료

측정 영역 성취기준 (1) : 1~2학년군

by 온암 2020. 8. 13.

온암의 생각상자

출처 : pexels.com

 

| 같이 보면 좋은 글

- 2015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 (5) 내용 체계 : 측정


| 측정 영역 성취기준


|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방법 + 유의사항

1. 학습요소

시, 분, 약, cm, m

 

a. 시각

시, 분

 

b. 길이 어림하기

 

c. 길이 표준단위

cm, m


 

2. 교수학습방법 및 유의사항

 

a. 양의 비교는 직관적인 비교, 직접 비교, 간접 비교 등을 상황에 따라 알맞게 다룬다.

→ 양의 비교의 세 가지 방법 : 직관적인 비교, 직접 비교, 간접 비교

 

b. 시각 읽기는 학생의 경험을 소재로 하고, 학생들이 모형 시계를 조작하며 ‘몇 시’, ‘몇 시 30분’, ‘몇 시 몇 분’, ‘몇 시 몇 분 전’ 등의 시각을 알게 한다.

→ 시각 측정 : 시, 분 (초는 3-4학년군)

 

c. 시간의 여러 가지 단위를 지도할 때 단위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두고, 지나친 단위 환산은 다루지 않는다.

→ 시간의 단위 : 분, 시간, 일, 주일, 개월, 년

→ 단위 사이의 관계 > 단위 환산 계산

 

d. 표준단위를 도입하기 전에 여러 가지 임의 단위를 사용하여 구체물의 길이를 재어보게 한다.

→ 측정 표준단위 단원에서 자주 사용하는 방식

→ 임의 단위 사용 후, 사람마다 수치화한 값이 다름을 인식

→ 표준단위의 필요성 인식 가능

 

e. 측정 영역의 문제 상황에 적합한 문제 해결 전략을 지도하여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게 한다.

→ 1-2학년군 문제 해결 능력 교수학습방법

 


3. 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

 

a. ‘몇 시 몇 분 전’의 시각 읽기를 평가할 때 ‘5분 전’, ‘10분 전’, ‘15분 전’과 같이 실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경우를 다루고, ‘2시 48분’을 ‘3시 12분 전’으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복잡한 경우는 다루지 않는다.

→ 시계의 숫자는 시각을 나타내기도 하지만 5분을 나타내기도 함

→ 실생활에서는 5씩 뛰어 나타내는 경우가 흔함

 

b. 1일, 1주일, 1개월, 1년 사이의 관계를 평가할 때에는 달력을 이용하여 그 관계를 이해하는지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둔다.

→ 달력은 시간 단위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는 자료

→ 실생활 속 자료이므로 유용함

 


| 확인해보기

1. 다음 성취기준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써넣으시오.

 

1_가 100__임을 알고, 길이를 ________________할 수 있다.


2. 교사가 다음 성취기준에 대한 4차시 수업을 구상할 때, A에 들어갈 수 있는 활동을 설명하시오.

 

길이를 나타내는 표준 단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1cm와 1m의 단위를 알며, 상황에 따라 적절한 단위를 사용하여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1차시

A

2차시

길이의 단위 cm 알아보기

3차시

자의 눈금 읽어보기

4차시

교실 속 물건의 길이 재어보기

 

3. 양의 비교를 지도할 때 활용할 수 있는 비교 방법 세 가지를 설명하시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