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공부/초등임용 공부했던 자료

측정 영역 성취기준 (2) : 3~4학년군

by 온암 2020. 8. 13.

온암의 생각상자

출처 : pexels.com

 

| 같이 보면 좋은 글

* 2015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 (5) 내용 체계 : 측정

* [1-2학년군/측정] 성취기준

 


| 측정 영역 3-4학년군 성취기준 


| 교수학습방법, 평가방법 + 유의사항

1. 학습요소

초, 도(°), mm, km, L, mL, g, kg, t

 

a. 시각과 시간

 

b. 각도

도(°)

 

c. 길이

mm, km

 

d. 들이

L, mL

 

e. 무게

g, kg, t

 


2. 교수학습방법 및 유의사항

 

a. 시각과 시간의 의미는 구체적인 상황 속에서 구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정도로 이해하게 한다.

→ 시각과 시간의 차이를 설명하는 정도는 과도함

→ 시각인지 시간인지 판별할 수 있을 정도

 

b. 실제로 재거나 어림하는 측정 활동을 통하여 시간, 길이, 들이, 무게, 각도에 대한 양감을 기르게 한다.

→ 측정을 통해 양감을 기를 수 있음

 

c. 시간, 길이, 들이, 무게의 단위를 지도할 때 단위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두고, 지나친 단위 환산은 다루지 않는다.

→ 요점은 단위 사이의 관계(kg은 t로 어떻게 고칠 수 있는지)

→ 지나친 단위 환산은 요점을 흐릴 수 있음

 

d. 길이, 들이, 무게, 각도를 측정할 때 측정도구의 눈금에 일치하지 않는 측정값을 ‘약’으로 표현하게 한다.

→ 1-2학년군 성취기준 중 자의 눈금에 일치하지 않는 측정값을 약으로 표현하는 성취기준이 있음

 

e. 측정 영역의 문제 상황에 적합한 문제 해결 전략을 지도하고, 문제 해결 과정을 설명하게 하여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게 한다.

→ 3-4학년군 문제 해결 교수학습방법

 


3. 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

 

a. 무게 단위 사이의 관계에 대해 평가할 때 1g과 1t 사이의 단위 환산은 다루지 않는다.

→ 지나친 단위 환산의 예


| 확인해보기

1. 다음 성취기준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써넣으시오.

(                      )을 통하여 무게의 덧셈과 뺄셈을 이해한다.


2.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측정 활동 유형을 두 가지로 나누어 설명하시오.

 

3. 저울을 이용해 교실의 여러 가지 물건의 무게를 측정하는 활동 중 측정값이 눈금과 일치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교사는 어떻게 지도할 수 있을지 설명하시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