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공부/초등임용 공부했던 자료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배경, 수학 교과 역량

by 온암 2020. 6. 28.

온암의 생각상자

| 목차

 

- 핵심 역량 논의의 배경

 

- 핵심역량과 교과역량

* 참고자료 : 수학 교사용 지도서(2019),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2015), 수학과 교육과정(2015)


| 핵심 역량 논의의 배경

출처 : pixabay.com

핵심역량은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 학생들에게 길러야 할 소양을 말한다. 핵심역량은 사회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할 때 기초적이면서 필수적이다. 핵심역량은 NCTM의 논의, DeSeCo 프로젝트, STEAM 교육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1) NCTM

NCTM이란, 미국의 국가 수준의 수학 교육을 논의하는 기관이다. 21세기에 들어 NCTM은 수학적 지식과 기능만을 강조한 기존의 수학 교육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대신, 오늘날 수학 교육은 개인과 사회가 성장할 수 있고, 학습자가 준비해야 할 능력을 길러야 한다고 이야기하였다. 이 능력이 2015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으로 이어지고 있다.

 

(2) DeSeCo 프로젝트

DeSeCo는 OECD가 주관한 프로젝트로, 역량을 정의하고 나라의 실정에 맞게 설정하는 프로젝트였다. DeSeCo가 추구하는 핵심역량은 NCTM의 논의와 비슷하게, 개인이 성장하고 사회가 안정될 수 있고 개인이 추구하기도 하는 능력을 핵심역량이라고 정의하였다. DeSeCo 프로젝트는 각 나라마다 필요한 핵심역량을 고르고, 그에 알맞은 교육과정을 만들 수 있도록 하였다.

 

(3) STEAM 교육

STEAM은 (게임 사는 사이트가 아니라) 교육의 한 부류로, 각 교과가 요구하는 능력을 융합하여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는 교육이다. 교사용 지도서(2019)에 따르면, STEAM의 S(Science)와 M(Mathmatics)는 교과 이론과 교과의 개념을 중심으로 다루고, T(Technology)와 E(Engineering)는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공학-기술을 의미한다. A(Art)는 예술로, 심미적이고 감성적인 경험을 제공한다. 다시말해, STEAM교육은 실생활 속 문제를 다양한 분야의 이론과 개념을 융합하여 해결하고, 그 과정에서 감성적인 경험을 하는 교육을 의미한다. 

 

cf) STEAM의 원형은 STEM 교육으로, A(Art)를 제외한 융합 교육이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융합 교육은 감성의 가치를 염두하여 STEAM 교육으로 기술한 것으로 보인다.

 


| 핵심역량과 교과역량

출처 : pixabay.com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 역량은 핵심역량과 교과역량 두 층위로 나뉜다.

핵심역량은 학교 교육을 통틀어 길러야 할 역량을,

교과역량은 특정 교과에서 길러야 할 역량을 의미한다.

 

 

(1) 핵심역량

교사용 지도서(2019)는 핵심역량을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 기능, 태도의 총체

(수학 교사용 지도서, 2019:13)


사회 구성원이란, 의무교육을 마친 대한민국 국민을 의미한다.

지식, 기능, 태도는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 교과를 범주화 한 영역이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만들기까지의 과정이다보니, 지식-기능-태도의 틀을 빌려 풀이한 것으로 보인다.)

 

즉 핵심역량을 의역하면

'대한민국 국민이 자신이 할 일을 잘 하기 위해 필요한 '

대부분의 사람들이 생각하는 교육의 본질과 맞물린다.

 

(2) 교육과정 속 핵심역량

우리나라 교육에서 길러야 할 핵심역량은 6가지로, 다음과 같다.


- 자기 관리 역량

- 지식 ˙ 정보 처리 역량

- 창의적 사고 역량

- 심미적 감성 역량

- 의사소통 역량

- 공동체 역량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2015:2)


(3) 수학과 교과역량

수학과 교과역량은 수학 교과에서 학습자가 습득해야 하는 역량이다. 다른 교과에서 기르기 어려운 특수한 역량과 범교과적으로 기를 수 있는 역량이 모두 존재한다. 수학의 중요성수학적 지식을 참고하여 역량을 살펴보면 좋을 것 같다.

 

수학과에서 추구하는 교과역량은 6가지로, 다음과 같다.


- 문제 해결

- 추론

- 창의 ˙ 융합

- 의사소통

- 정보처리

- 태도 및 실천

(수학과 교육과정, 2015:3~4)


 


확인해보기

1. 2015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으로 무엇이 있는지 말해보시오.

2. 2015개정 교육과정 중 수학과 교과역량을 말해보시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