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암의 생각상자
| 같이 보면 좋은 글
- 수학 교과 역량 (1) : 문제 해결 역량과 하위 요소
- 수학 교과 역량 (3) : 창의융합 역량과 하위 요소
| 목차
- 의사소통 역량의 의미
- 의사소통 역량의 하위 요소
참고문헌 : 교사용 지도서 (2019)
| 의사소통 역량의 의미
수학 지식이나 아이디어, 수학적 활동의 결과, 문제 해결 과정, 신념과 태도 등을 말이나 글, 그림, 기호로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를 이해하는 능력 |
의사소통은 인간의 삶에서 다른 사람들과 살아가는데 필수적인 요소다. 물론 개인의 창의적, 논리적, 비판적 사고도 길러야 하겠지만, 사회적 관계속에서 의사소통이 없다면 효과적으로 다른 사람과 살아가기 어렵게 된다. 이에 대한 근거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 역량 중 하나가 의사소통 역량으로 놓여 있는 상태다.
의사소통은 무엇을 전달하는지, 어떻게 전달하는지에 따라 그 모습이 달라질 수 있다. 핵심역량의 의사소통 역량은 넓은 의미의 의사소통을 의미하지만 수학 교과 역량 중 의사소통 역량은 더 구체적이다.
수학과의 의사소통은 수학 지식, 수학적 아이디어, 수학 활동 결과, 문제 해결 과정, 신념과 태도를 의사소통의 대상으로 삼는다. 정의적 영역(신념과 태도)는 기존의 의사소통과 크게 다르지 않지만, 그 외 요소는 수학과 관련된 셩격이 짙다. 수학 지식과 아이디어는 수학적 활동의 산물이고, 문제 해결은 앞서 논의한 수학과 핵심 역량 중 하나이다.
의사소통 전달 방법도 구체적으로 적혀 있다. 교사용 지도서(2019)에는 수학적 의사소통이 말이나 글, 그림, 기호로 표현하여 이루어진다고 설명하고 있다. 네 가지 형식은 모두 인간이 청각적, 시각적으로 소통하는 수단이다.
의사소통 역량은 표현과 이해 두 방향이 모두 제시되어 있다. 표현은 자신이 타인에게 전달하는 것인 반면, 이해는 타인의 표현을 자신에게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 의사소통 역량의 하위 요소
의사소통 역량의 하위요소로는 수학적 표현의 이해, 수학적 표현의 개발 및 변환, 자신의 생각 표현, 타인의 생각 이해가 있다. |
(1) 수학적 표현의 이해
수학적 표현의 의미를 이해하고 정확하게 사용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무엇을 이해한다는 것은 곧 그 뜻과 사용법을 안다는 것이다.
예) 단어 apple을 이해한다는 것은,
apple의 의미를 알고 있어야 한다.
[명사] 사과
그리고 apple을 알맞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나는 어제 사과를 먹었다.'를 영작할 때에는
I ate an apple yesterday.
로 적을 수 있지만,
'나는 그에게 사과했어.'를 영작할 때에는
I appled him.
이라고 적으면 안 된다.
수학적 표현의 이해도 마찬가지다.
표현의 의미를 앎과 동시에 상황에 알맞게 정확히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2) 수학적 표현의 개발 및 변환
자신의 아이디어를 나타내는 표현을 만들고 수학적 표현들끼리 변환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수학적 표현의 이해는 주어진 표현을 아는 것으로,
단어장의 단어를 이해하는 것과 비슷했다.
수학적 표현의 개발 및 변환은 표현을 만드는 것으로,
수학 교과에서는 표나 그래프를 만들거나 식으로 나타내는 활동이 관련있다.
(3) 자신의 생각 표현
수학 학습 활동 과정과 결과를 다른 사람에게 표현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스스로 표현을 이해하고 만들더라도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지 못하면 올바른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없다. 친구에게 설명하거나 글로 적거나, 발표하는 과정으로 말미암아 자신의 생각 표현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4) 타인의 생각 이해
다른 사람의 생각을 이해하고 평가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의사소통은 양방향으로 이루어지는 활동이다. 다른 사람의 표현을 이해하는 것도 의사소통의 한 요소다. 주의깊게 듣고 모르는 것은 질문하여 올바른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다.
| 확인해보기
(1) 의사소통의 네 가지 하위 요소를 말해보자.
(2) '토론하기' 기능은 의사소통의 어떤 요소와 관련있는가?
'기타 공부 > 초등임용 공부했던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학 교과 역량 (6) : 태도 및 실천 역량과 하위 요소 (0) | 2020.07.02 |
---|---|
수학 교과 역량 (5) : 정보 처리 역량과 하위 요소 (0) | 2020.07.02 |
수학 교과 역량 (3) : 창의 융합 역량과 하위 요소 (0) | 2020.07.02 |
수학 교과 역량 (2) : 추론 역량과 하위 요소 (0) | 2020.06.30 |
수학 교과 역량 (1) : 문제 해결 역량과 하위 요소 (0) | 2020.06.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