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공부/초등임용 공부했던 자료

수학 교과 역량 (5) : 정보 처리 역량과 하위 요소

by 온암 2020. 7. 2.

온암의 생각상자

| 같이 보면 좋은 글

- 수학 교과 역량 (1) : 문제 해결 역량과 하위 요소

- 수학 교과 역량 (2) : 추론 역량과 하위 요소

- 수학 교과 역량 (3) : 창의융합 역량과 하위 요소

- 수학 교과 역량 (4) : 의사소통 역량과 하위 요소

| 목차

- 정보 처리 역량의 의미

- 정보 처리 역량의 하위 요소

참고문헌 : 교사용 지도서(2019)


| 정보 처리 역량의 의미

다양한 자료와 정보를 수집, 정리, 분석, 해석, 활용하고 적절한 공학적 도구와 교구를 선택, 이용하여 자료와 정보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능력

 

실생활 현상은 여러 자료와 정보의 형태로 만들어지고 전해진다. 하지만 이것을 적절하게 분석하고 활용하지 못한다면 정보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없다. 정보처리 역량은 정보를 올바르게 모으고 분석하여 활용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와 함께 공학적 도구 및 교구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정보를 처리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격려하고 있다.


| 정보 처리 역량의 하위 요소

정보 처리 역량의 하위 요소로는 자료와 정보 수집, 자료와 정보 정리 및 분석, 정보 해석 및 활용, 공학적 도구와 교구 활용이 있다.

(1) 자료와 정보 수집

실생활 및 수학적 문제 상황에서 적절한 자료와 정보를 탐색생성하여 수집하는 능력

 

자료와 정보를 활용하게 되는 상황은 문제 상황이다. 실생활 속 문제나 수학적 문제 상황을 해결할 때 자료와 정보는 문제 해결에 중요하다.

 

자료와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은 탐색하는 방법과 생성하는 방법이 있다.

탐색하기는 곧 존재하는 자료와 정보를 찾는 것이고,

생성하기는 곧 새로운 자료와 정보를 만드는 것이다.

 

어쨌든 탐색하기와 생성하기 활동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자료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2) 자료와 정보 정리 및 분석

수집한 자료와 정보를 목적에 맞게 분류, 정리, 분석, 평가하는 능력

 

자료와 정보 정리 및 분석은 자료와 정보 수집 이후에 이루어진다.

자료와 정보 정리 및 분석의 기준은 '자료와 정보가 목적에 부합하는가?'이다.

이 기준에 따라 정리하고 분석하기 위해서는

분류의 과정이 필요하다.

그리고 목적에 알맞은 가치가 있는지 평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분류, 정리, 분석, 평가 네 가지 기능을 수반한다.


(3) 정보 해석 및 활용

분석한 정보에 내재된 의미를 올바르게 파악하여 해석, 종합, 활용하는 능력

 

정보 해석 및 활용은 자료와 정보 정리 및 분석 활동이 이루어진 후 가능하다.

분석한 정보는 수학적 수치 외에도 자료가 가지는 의미가 있다.

그 자료 속에 숨어있는 의미를 파악해야 한다.

 

정보를 해석한 후에는 이를 의도에 알맞게 활용해야 한다. 내재된 의미를 바탕으로 실생활 속 문제를 설명하고 예측할 수 있다.


(4) 공학적 도구 및 교구 활용

수학적 아이디어와 개념을 탐구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적합한 공학적 도구 및 교구를 선택하고 이용하는 능력

 

효과적인 정보 처리를 위해서는 공학적 도구나 교구의 힘을 빌릴 필요가 있다.

실생활 속 정보는 계산하고 평가하기 복잡한 경우가 있으므로

도구와 교구를 활용한다면 보다 정보를 쉽고 빠르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다.


| 확인해보기

(1) 다음은 '자료와 정보 처리 및 분석'에 대한 설명이다. 빈칸을 채우시오.

→ 수집한 자료와 정보를 (  1  )에 맞게 (  2  ), (  3  ), (  4  ), (  5  )하는 능력

(2) 다음 기능과 관계 있는 정보 처리의 하위 요소를 말해보시오.

① 조작하기

② 종합하기

③ 비교하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