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암의 생각상자
| 같이 보면 좋은 글
| 목차
I. 수학과의 의미
II. 수학과의 의의
III. 수학과 교육과정의 영역
IV. 초등수학의 중요성
V. 수학에서 배워야 할 것
VI. 수학 교육의 기대효과
(참고문헌 : 수학과 교육과정(2015), 교육부)
| 수학과의 성격
I. 수학과의 의미
수학과는 다음 6가지를 배우는(기르는) 교과이다.
(1) 수학의 개념, 원리, 법칙을 이해
(2) 수학의 기능 습득
(3) 주변의 여러 현상을 관찰하고 해석
// 추론의 '관찰과 추측' 정보처리의 '정보의 해석 및 활용'과 관련
(4) 논리적으로 사고
// 추론의 '논리적 절차 수행'과 관련
(5) 합리적 문제 해결 능력
// 문제 해결 역량
(6) 태도
<본문> 수학과는 (1)수학의 개념, 원리, 법칙을 이해하고 (2)기능을 습득하여 (3)주변 여러 가지 현상을 수학적으로 관찰하고 해석하며 (4)논리적으로 사고하고 (5)합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과 (6)태도를 기르는 교과이다.
II. 수학과의 의의
(1) 인류 문명 발전
// 수학의 문화적 가치
(2) 미래 사회 구성원에게 필요한 역량 제공
// 역량 중심 교육과정 ; 핵심 역량 ; NCTM의 논의
(3) 수학 규칙성과 구조의 아름다움
// 수학의 심미적 가치
(4) 수학 지식과 기능으로 수학 문제/실생활 문제 해결
// 수학의 실용적 가치 ; 문제 해결 역량
(5) 합리적 의사 결정 능력, 민주적 소통 능력을 키움
// 태도 및 실천 역량의 하위요소 - 민주 시민 의식
III. 수학과 교육과정의 영역 ★
(1) 수와 연산
// 자연수, 분수, 소수의 개념 + 수의 사칙계산
(2) 도형
// 평면도형과 입체도형의 개념, 구성요소, 성질, 공간감각
(3) 측정
// 시간, 길이, 들이, 무게, 각도, 넓이, 부피의 측정 + 어림
(4) 규칙성
// 규칙찾기 + 비 + 비례식
(5) 자료와 가능성
// 자료의 수집, 분류, 정리, 해석 + 가능성
IV. 초등수학의 중요성
(1) 고등학교 수학 학습으로 이어짐
(2) 자연과학, 공학, 의학, 사회과학, 인문학, 예술 및 체육 분야 학습의 기초
//의역하면 고등교육(대학, 대학원) 학습의 기초가 된다고 볼 수 있다.
(3) 창의적 역량을 갖춘 융합인재 양성
V. 수학(교육)에서 배워야 할 것
(1) 수학의 지식 이해
(2) 수학의 기능 습득
(3) 수학 교과 역량의 함양
[수학 교과 역량] : 문제 해결, 추론, 창의융합, 의사소통, 정보 처리, 태도 및 실천
문제 해결 | 해결 방법을 알고 있지 않은 문제 상황에서 수학의 지식과 기능을 활용하여 해결 전략을 탐색하고 최적의 해결 방안을 선택하여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
추론 | 수학적 사실을 추측하고 논리적으로 분석하고 정당화하며 그 과정을 반성하는 능력 |
창의 융합 | 수학의 지식과 기능을 토대로 새롭고 의미있는 아이디어를 다양하고 풍부하게 산출하고 정교화하며, 여러 수학적 지식, 기능, 경험을 연결하거나 타 교과나 실생활의 지식, 기능, 경험을 수학과 연결, 융합하여 새로운 지식, 기능, 경험을 생성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
의사소통 | 수학의 지식이나 아이디어, 수학적 활동의 결과, 문제 해결 과정, 신념과 태도 등을 말이나 글, 그림, 기호로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를 이해하는 능력 |
정보 처리 | 다양한 자료와 정보를 수집, 정리, 분석, 해석, 활용하고 적절한 공학적 도구와 교구를 선택, 이용하여 자료와 정보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능력 |
태도 및 실천 | 수학의 가치를 인식하고 자주적 수학 학습 태도와 민주 시민 의식을 갖추어 실천하는 능력 |
VI. 수학 교육의 기대 효과
(1) 미래 사회 구성원 역할 수행
(2) 개인의 잠재력과 재능 발견
(3) 수학의 필요성과 유용성 이해
(4) 수학의 즐거움 느낌
(5) 수학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
| 확인해보기
(1) 수학과는 수학의 ( a )을 이해하고 ( b )을 습득하여 주변 여러 가지 현상을 수학적으로 ( c )하고 ( d )하며 ( e )적으로 사고하고 ( f )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과 태도를 기르는 교과이다.
(2) 수학과의 의의를 설명하시오.
(3) 수학 교과 역량으로는 ______________이 있다.
'기타 공부 > 초등임용 공부했던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3) : 수와 연산 내용 체계 (0) | 2020.07.05 |
---|---|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2) : 목표 (0) | 2020.07.03 |
수학 교과 역량 (6) : 태도 및 실천 역량과 하위 요소 (0) | 2020.07.02 |
수학 교과 역량 (5) : 정보 처리 역량과 하위 요소 (0) | 2020.07.02 |
수학 교과 역량 (4) : 의사소통 역량과 하위 요소 (1) | 2020.07.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