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암의 생각상자
| 같이 보면 좋은 글
- 수학과 핵심역량
| 목차
- 수학과 교육과정 목표
-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목표
(참고문헌 : 수학과 교육과정(2015))
| 수학과 교육과정 목표
수학의 개념, 원리, 법칙을 이해하고 기능을 습득하며 수학적으로 추론하고 의사소통하는 능력을 길러, 생활 주변과 사회 및 자연 현상을 수학적으로 이해하고 문제를 합리적이고 창의적으로 해결하며, 수학 학습자로서 바람직한 태도와 실천 능력을 기른다. |
(1) 수학의 개념, 원리, 법칙 이해
수학적 지식은 생활 속 예나 경험을 일반화한 것이다. 개념, 원리, 법칙은 수학적으로 일반화한 수학적 지식의 유형이다. 수학의 개념, 원리, 법칙을 이해한다는 것은 곧 수학적 지식을 이해함을 의미한다.
(2) 수학 기능 습득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의 실제는 지식, 기능, 태도 세 영역에서 다루었다.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수학적 지식과 기능을 수학과 목표로 남겼고, 태도는 역량의 관점에서 재해석하였다.
(3) 수학적 추론, 의사소통 능력
교과 역량 중 추론과 의사소통 역량에 해당한다.
(4) 생활 주변, 사회, 자연 현상을 수학적 이해
실생활 속 현상에서 수학적으로 이해해야 수학적 지식을 습득, 활용할 수 있다.
(6) 문제를 합리적이고 창의적으로 해결
교과 역량 중 문제 해결 역량과 창의 융합 역량이 나타나 있다. 합리성은 수학의 도야적 가치와 관련있다.
(7) 수학 학습자로서 바람직한 태도와 실천 능력
교과 역량 중 태도 및 실천 역량에 해당한다.
|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목표
1. 생활 주변 현상을 수학적으로 관찰하고 표현하는 경험을 통하여 수학의 기초적인 개념, 원리, 법칙을 이해하고 수학의 기능을 습득한다. 2. 수학적으로 추론하고 의사소통하며, 창의융합적 사고와 정보처리 능력을 바탕으로 생활 주변 현상을 수학적으로 이해하고 문제를 합리적이고 창의적으로 해결한다. 3. 수학 학습의 즐거움을 느끼고 수학의 유용성을 인식하며 수학 학습자로서 바람직한 태도와 실천 능력을 기른다. |
1.
(1) 생활 주변 현상을 수학적으로 관찰하고 표현하는 경험
//실생활 속 현상을 수학적으로 이해(수학과 목표-4)와 관련 있음
(2) 수학의 기초적인 개념, 원리, 법칙을 이해
//초등학교 수준은 수학의 기초 수준
//수학의 지식 = 개념+원리+법칙(수학과 목표-1)
(3) 수학의 기능 습득
//(수학과 목표-2)
2.
(1) 수학적으로 추론, 의사소통
//(수학과 목표-3)
(2) 창의융합적 사고, 정보처리 능력
//수학 교과 역량 중 창의융합, 정보처리와 관련 있음
(3) 생활 주변 현상을 수학적 이해
//(수학과 목표-4)
(4) 문제를 합리적이고 창의적으로 해결
//(수학과 목표-6)
3.
(1) 수학 학습에 즐거움
(2) 수학의 유용성 인식
// 태도 및 실천 역량의 하위 요소 : 가치 인식
(3) 수학 학습자로서 바람직한 태도 및 실천 능력
//(수학과 목표-7)
'기타 공부 > 초등임용 공부했던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와 연산 1~2학년군 성취기준 (0) | 2020.07.06 |
---|---|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3) : 수와 연산 내용 체계 (0) | 2020.07.05 |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1) : 성격 (0) | 2020.07.03 |
수학 교과 역량 (6) : 태도 및 실천 역량과 하위 요소 (0) | 2020.07.02 |
수학 교과 역량 (5) : 정보 처리 역량과 하위 요소 (0) | 2020.07.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