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암의 생각상자
| 같이 보면 좋은 글
- 수학 교과 역량 (1) : 문제 해결 역량과 하위 요소
- 수학 교과 역량 (3) : 창의융합 역량과 하위 요소
- 수학 교과 역량 (4) : 의사소통 역량과 하위 요소
- 수학 교과 역량 (5) : 정보 처리 역량과 하위 요소
| 목차
- 태도 및 실천 역량의 의미
- 태도 및 실천 역량의 하위 요소
(참고문헌 : 교사용 지도서 (2019))
| 태도 및 실천 역량의 의미
수학적 가치를 인식하고 자주적 수학 학습 태도와 민주 시민 의식을 갖추어 실천하는 능력 |
태도 및 실천 역량은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1) 수학적 가치를 인식하고
(2) 자주적 수학 학습 태도와
(3) 민주 시민 의식을 갖추어
(4) 실천하는 능력
여기서 (4) 실천하는 능력은 실천한다는 기능부분이므로,
태도 및 실천 역량의 대상은 (1)~(3) 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
실제로 태도 및 실천 역량의 하위 요소와 (1)~(3) 부분이 일치한다.
| 태도 및 실천 역량의 하위 요소
태도 및 실천 역량의 하위 요소로는 가치 인식, 자주적 학습 태도, 그리고 시민 의식이 있다. |
(1) 가치 인식
수학에 대해 관심과 흥미를 가지고, 수학의 실용적, 도야적, 심미적, 문화적 가치를 인식하는 능력
가치 인식은 크게 수학에 대한 즐거움과 수학의 네 가지 가치 인식이 있다.
수학의 가치는 크게 실용적, 도야적, 심미적, 문화적 가치가 있다. 각 가치의 의미를 알고 숙지하는 태도가 수학과가 요구하는 역량이다.
(2) 자주적 학습 태도
수학 학습 의지와 자신감, 끈기를 가지고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여 자율적으로 학습을 수행하며 학습 결과를 평가하는 태도
자주적 학습 태도를 기르기 위해서는 수학을 공부하겠다는 의지, 수학을 잘 할 수 있다는 자신감, 수학 학습을 포기하지 않는 끈기가 필요하다.
자주적 학습태도는 수학 학습 단계에 전반적으로 필요하다. '목표 설정-학습 수행-학습 결과 평가'가 잘 이루어지도록 하는 태도가 곧 자주적 학습 태도다.
(3) 시민 의식
수학적 활동을 통하여 정직하고 공정하며 책임감 있게 행동하고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도전하는 용기있는 태도, 타인을 배려하고 존중하며 협력하는 태도, 논리적 근거를 토대로 의견을 제시하고 합리적으로 의사결정하는 태도를 가지고 이를 실천하는 능력
시민의식은 수학적 활동으로 길러진다.
시민의식에서 요구하는 태도는 크게 3가지로 나누어진다.
1. 용기 : 정직하고 공정하며 책임감 있는 행동, 도전하는 행동
2. 존중 및 협력 : 타인 배려, 존중, 협력
3. 합리성 : 논리적 근거, 합리적 의사결정
'기타 공부 > 초등임용 공부했던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2) : 목표 (0) | 2020.07.03 |
---|---|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1) : 성격 (0) | 2020.07.03 |
수학 교과 역량 (5) : 정보 처리 역량과 하위 요소 (0) | 2020.07.02 |
수학 교과 역량 (4) : 의사소통 역량과 하위 요소 (1) | 2020.07.02 |
수학 교과 역량 (3) : 창의 융합 역량과 하위 요소 (0) | 2020.07.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