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임용 2022총론/창체/통합 역량/모형 수학 사회/도덕 실과 국어 영어 음악 미술 체육 과학 #중등임용 2022총론/창체 국어 수학 도덕 기술가정/정보 미술 체육 한문 #한국사, 한자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한자 자격증 공부 알림 [안내] 온라인암기장 프린트 기능 추가 [안내] 중등임용 가정과 파트 온라인암기장 업로드 [안내] 원하시는 포스팅 주제가 있으시다면 방명록에 남겨주세요. 모형 단계같이 지도서가 바뀌면서 변경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바뀐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과학의 본성] 과학의 일반적 특성, 과학의 구성 요소 과학의 본성 과학은 과학에 대한 인식에 따라 변화해 왔습니다. 과학의 본질적인 속성, 과학의 본성 몇 가지를 살펴봅시다. 1. 과학적 지식은 영속성이 있으나 변화할 수 있습니다. 과학 지식은 불변하지 않으며 잠정성이 있습니다. 2. 관찰은 이론 의존적입니다. 같은 자연 현상을 관찰하더라도 관찰자의 배경 지식이나 가치관 등에 따라 달리 관찰할 수 있습니다. 예) 공룡 화석을 보고 추정한 옛 모습이 계속 바뀜 3. STS(과학-기술-사회): 과학과 기술, 과학과 사회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 4. 과학 기술의 양면성: 과학 기술은 개인적 측면에서는 자아실현을, 사회적 측면에서는 경쟁력을 길러주지만, 생태계 파괴나 인류의 불행을 위해 사용할 수도 있음 예) 다이너마이트는 비교적 안전하게 채광활동을 수행하는 .. 2023. 7. 23. 교사 언어(teacher talk)의 의미, 특징, 질문 유형 | 초등영어교육론 들어가며 이번 시간에는 교사 언어(teacher talk)를 알아봅시다. TEE를 위해서 교사는 학습자에게 알맞은 수준의 언어를 구사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교사 언어의 의미, 교사 언어의 특징, 교사의 질문 유형을 알아봅시다. 교사 언어 teacher talk 가. 교사 언어 교사가 학습자의 수준에 맞추어 조정한 후 구사하는 제2언어 나. 교사 언어의 특징 1) 반복적이다. 2) 천천히 정확한 발음으로 말한다. 3) 문법, 어휘를 조정하여 말한다. 가) 문법: 덜 복잡한 구조로 교사 언어를 구사함 나) 어휘: 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단어를 사용하여 교사 언어를 구사함 4) 담화를 조정하여 말한다. 다. 교사 질문의 유형 1) referential questions: 모르는 정보를 얻기 위해 하.. 2023. 7. 21. [초등임용영어] 학습자 전략 2 - 의사소통 전략(communication strategies) 총정리 들어가며 지난 시간에 학습한 학습 전략(learning strategies)에 이어 이번 시간에는 의사소통 전략(communication strategies)에 대해 학습해 보겠습니다. [추신] 수정할 내용이 있거나, 건의하고 싶으신 내용이 있으시다면 댓글로 남겨주시길 바랍니다. 의사소통 전략 의사소통 전략은 효과적인 output을 위해 사용하는 전략입니다. 크게 avoidance strategies와 compensatory strategies가 있습니다. 가. avoidance strategies avoidance strategies는 회피 전략이라고도 하며, 어려움을 피하여 의사소통하는 전략들을 의미합니다. 1) message abandonment: 언어의 어려움으로 미완성인 상태로 말을 하는 전략 .. 2023. 7. 20. [초등임용영어] 학습자 전략 1 - 학습 전략(learning strategies) 총정리 들어가며 학습자 전략(learner strategies)에는 크게 학습 전략, 의사소통 전략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학습 전략에는 무엇이 있고 연습문제를 풀어보며 점검해봅시다. 학습 전략 learning strategies 가. metacognitive strategies 상위 인지 전략으로, 효과적인 언어 학습을 위해 스스로의 이해도를 점검하고 평가하는 전략 [참고] metacognitive strategies는 제2언어 학습과 직접적 연관 X 1) functional planning: 제2언어 학습을 위해 관련 언어 요소들을 준비하거나 학습하는 전략 2) delayed production: 의식적으로 듣기를 먼저 하고 말하기를 늦추는 전략 (주로 자신감이 없거나 처음 학습할 때 나타남) ■ (3~5.. 2023. 7. 19. [빈칸연습]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1) - 교육과정 설계의 개요 들어가며 2024년부로 서서히 적용될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암기판입니다. 해당 교육과정을 잘 학습했는지 점검하는 자료로 이용해보시길 바랍니다. 2022 개정 교육과정 국어과 역량 1.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다음 역량을 국어과 역량으로 설정하고 있다. (국어 역량 총 6가지) 가. 비판적⋅창의적 사고 역량 나. 디지털⋅미디어 역량 다. 의사소통 역량 라. 공동체⋅대인 관계 역량 마. 문화 향유 역량 바. 자기 성찰⋅계발 역량 2. 교육과정이 개정될 시기에는 어떤 변경점이 있는지 파악하여 정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예) 수학과의 '수의 범위와 어림하기' 파트가 5~6학년군으로 이동 각론과 마찬가지로, 교육과정 문서 내 변경점도 파악해둘 필요가 있습니다. 국어과 역량은 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20.. 2023. 7. 16. 초등임용 영어 밑교 온라인암기장 (5~6학년군) 5~6학년군 영어 밑교학방 빈칸연습 1. 듣기 영역 가.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사항 1) 대화가 일어나는 상황, 전후 관계, 배경 지식 등을 활용하여 의미를 파악하도록 지도하고 듣기 전 활동, 듣기 중 활동, 듣기 후 활동으로 나누어 단계별로 지도한다. [참고] 듣기 활동 3단계 및 각 단계별 활동 숙지하기! 2) 연속된 두세 개의 지시나 설명을 들은 뒤 어떻게 나타내도록 지도할 수 있는가? 순서에 맞게 동작으로 나타낼 수 있음(동작이 키워드) 3) 연속된 두세개의 지시나 설명을 표현할 때 이용할 수 있는 3가지? 실물, 그림, 인형 4)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듣고 행동으로 반응하기(TPR), 듣고 지시대로 행동하기 등 듣고 이해한 정도를 다양한 과업 수행하기로 나타내도록 .. 2023. 7. 15. 이전 1 ··· 43 44 45 46 47 48 49 ··· 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