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낱말의 확장 방법] 합성어, 파생어 / 파생 접미사, 명사형 어미 비교 1. 낱말의 종류 가. 단일어: 쪼갤 수 없는 낱말 예) 구름, 다리 나. 복합어: 쪼갤 수 있는 낱말 //낱말의 확장 방법: 합성, 파생 1) 합성어: 어근(의미가 있고 홀로 쓰일 수 있음)+어근 예) 꽃밭 = 꽃 + 밭 예) 손발 = 손 + 발 2) 파생어: 어근과 접사(홀로 쓰일 수 없음) 결합 2017초등 //접두사+어근, 어근+접미사 가능 예) 높이(height) = 높(어근) + 이(접사) 예) 나무꾼 = 나무(어근) + 꾼(접사) 예) 풋사과 = 풋(접사) + 사과(어근) 참고 ㄹ탈락: 복합어 중 종성이 ㄹ이고 다음 어근(또는 접사)의 초성이 ㄴ,ㄷ,ㅈ,ㅅ일 때 ㄹ이 탈락하는 현상 예) 소나무: 솔+나무 예) 화살: 활+살 2. 낱말의 확장 방법 지도 시 유의사항 * 2015 개정 교육과정 .. 2023. 8. 24.
[초등임용/음악교육론] 고든의 기능학습위계 참고 이 글은 초등임용을 준비하시는 선생님들을 위해 공부했던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중등임용 소재 중 초등임용과 관련있을만한 내용을 반영하였으므로 피드백할 내용 있으시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1. 고든의 기능 학습 목적: 오디에이션 능력 향상 참고 오디에이션이란 내적으로 소리를 상상하여 들을 수 있는 능력을 말함 2. 기능학습위계: 변별학습 → 추론학습으로 진행함 2002중등 가. 변별학습: 기계적으로 반응하거나 결합, 종합해보는 학습단계 1) 듣기/부르기 가) 음을 학생에게 반복적으로 들려주고 오디에이션 능력을 기름 2010중등, 2023중등 나) 일정박을 신체표현으로 나타냄 2) 언어 연합(음절 연합) //패턴을 음악용어/음절과 연결 3) 부분적 통합 4) 상징적 통합(기호 연합) 가) 패턴을 악보와.. 2023. 8. 22.
통계의 과정 1. 통계의 과정 5단계: 목적 확인 - 자료 수집 - 분류 및 정리 - 해석 - 평가 2006초등 2. 단계별 학습 활동 가. 목적 확인: 탐구 목적 설정, 조사할 문제 설정 나. 자료 수집: 탐구 목적에 알맞은 조사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 수집 다. 분류 및 정리: 수집한 자료를 기준에 따라 분류, 표나 그래프로 정리 [참고] 정리할 때 질적 분류냐 양적 분류냐에 따라 속성 통계가 되기도 변량 통계가 되기도 함 라. 해석: 정리한 표나 그래프의 의미를 파악 마. 평가: 자료를 포함한 집단의 경향을 예상하고 판단 3.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통계의 주요 과정: 자료의 수집 - 분류 - 정리 - 해석 2019초등 예) 운동 선수의 기록을 꺾은선그래프로 나타내는 활동은? 정리 단계 4. 관련 평가.. 2023. 8. 19.
2015 수학과 교육과정 뒷교 빈칸연습 온라인암기장 ※ 피드백은 환영합니다! 추가하고 싶거나 수정해야할 내용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 자료 출처: ncic.re.kr 교수/학습 방향 1. 교수 학습 원칙 가. 수학과의 교수/학습은 학생이 수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목표를 달성하고 전인적으로 성장하도록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 수학과의 교수/학습은 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의 수준과 범위를 준수하고, 교육과정에 제시된 목표, 내용, 평가와 일관성을 가져야 한다. 다. 문제 해결, 추론, 창의·융합, 의사소통, 정보 처리, 태도 및 실천★과 같은 수학 교과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 환경을 조성하고, 이에 적합한 교수/학습을 운영한다. 라. 학년군별 내용의 배열 순서가 반드시 교수/학습의 순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므로, 교수/학습 계획을 수립하거나 학습 자.. 2023. 8. 18.
체육 모형, 체육 교육과정 모형 - 초등임용 온라인암기장 (들어가며) 체육과 교수학습모형과 교육과정모형을 정리하여 올립니다. 임고 공부에 참고 바랍니다! 직접 교수 모형 1. 단계: 전시 과제 복습 - 새로운 과제 제시 - 초기 과제 연습 -피드백 및 교정 - 독자적인 연습 - 본시 학습 복습 2. 특징: 리더로서의 교사; 설명 및 시범 등 방법으로 가르침; 구체적이고 내용이 있는 피드백 有 이해 중심 게임 모형 1. 단계: 게임 소개 - 게임 이해 - 전술 이해 -의사 결정 - 기술 연습 - 실제 게임 수행 2. 특징 가. 부분적 기능 학습 지양, 인지적 요소/경기수행능력 중요 나. 단계가 순환함 다. 기능 학습 전 게임 상황 먼저 경험 //게임 및 전술을 이해하고 의사결정한 뒤 기능을 연습하는 흐름! 라. 범주화 방식 → 전이 촉진 3. 단계별 특징 가. .. 2023. 8. 16.
[초등임용 국어] 고쳐 쓰기 방법, 쓰기 상황 맥락 고쳐쓰기 서브노트 1. 인지주의 작문이론 관점에서 고쳐쓰기 가. 회귀성이 높은 필자일수록 점검/조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함; 회귀성이 높을수록 고쳐쓰기에 적극적 2021중등 나. 능숙한 필자는 고쳐쓰기 단계에 시간 투자 多; 초고쓰기 단계에서는 형식적 완결성이 느슨하고, 고쳐쓰기 단계에서 형식적 완결성을 보완함 2011중등 참고대신 능숙한 필자는 초고를 쓸 때 주제에 벗어난 내용이 적게 작성함; 주제와 통일성을 이루어야 함 다. 상위 인지를 강조하여 프로토콜 분석과 잘 어울림 2. 고쳐쓰기 수준: 글 → 문단 → 문장 및 낱말 수준 (큰 범위에서 작은 범위로) 2021초등 3. 고쳐쓰기 방법★: 첨가, 삭제, 대체, 이동, 재배열 //첨삭대이재 가. 첨가: 새로운 내용을 추가(ø → a) 나. 삭제: 특정한.. 2023. 8.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