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5 개정) 수학 밑교 5~6학년군 빈칸연습 / 초등임용 수학 수와 연산 ● 교학방유 1. 자연수의 혼합계산은 무엇에 중점을 두어야하는가? 계산 순서 [참고] 지나치게 복잡한 혼합계산은 다루지 않음 2. 약수와 배수는 실생활에서 활용되는 경우를 찾아 자연수 범위에서 다룸 3.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는 세 수에 대해서 구하게 할 수 있다. (O,X) X 4. 분모가 다른 분수의 크기를 비교할 때 무엇을 이용하여 추론하고 토론하는 활동을 하게할 수 있는가? 수 감각 5. 분수의 나눗셈 3가지 유형? (분수)÷(자연수), (분수)÷(분수), (자연수)÷(분수) 6. 소수의 곱셈과 나눗셈은 어떤 수준에서 다루어야하는가? 계산 원리를 이해하는 수준에서 간단히 [참고] 복잡한 계산은 계산기를 사용하게 할 수 있음 7. 수와 연산 영역의 문제 상황에서 문제 해결 전략 비교하기,.. 2023. 8. 13.
(2015 개정) 수학 교육과정 밑교 연습문제: 3~4학년군 / 초등임용 수학 수와 연산 ◎ 교학방유 1. 큰 수에 대한 양감을 기르고 필요성을 인식하게 하기 위한 활동은? → 실생활에서 10000 이상의 큰 수가 쓰이는 경우를 찾고 큰 수와 관련하여 이야기하는 활동 2. 10000 이상의 수를 비교하면서 수의 크기를 비교하는 방법을 찾아 설명하게 한다. 3. 덧셈은 세 자리 수의 범위에서 다루되, 합이 네 자리 수인 경우도 포함한다. 4. 3~4학년 군의 곱셈은 ~~~을 포함한다. 빈칸에 들어갈 유형 4가지는? → '(두 자리 수)×(한 자리 수)', '(세 자리 수)×(한 자리 수)', '(두 자리 수)×(두 자리 수)', '(세 자리 수)×(두 자리 수)' 5. 나누는 수가 한 자리인 나눗셈과 나누는 수가 두 자리인 나눗셈에서 각각 무엇을 지도해야 하는가? → 나누는 수가 한.. 2023. 8. 12.
대화의 원리: 협력의 원리, 공손성의 원리 들어가며 우리는 다른 사람과 대화하며 친교, 정보 전달, 정서 표현, 설명 등 여러 목적을 달성하곤 합니다. 성공적인 대화를 위해서는 무엇을 지켜야할까요? 대화 활동을 하는 중 고려해야 할 대화의 원리 2가지를 살펴봅시다. 협력의 원리 협력의 원리란, 대화하는 사람의 말과 목적 또는 요구와 어울리도록 해야 한다는 원리 1. 양의 격률: 대화 목적에 필요한 정보만을 제공 //TMI는 양의 격률 위배 2. 질의 격률: 불확실한 정보(증거 불충분한 경우)나 거짓된 정보를 제공하지 말 것 //거짓말은 질의 격률에 위배 3. 관련성의 격률: 대화의 주제에 알맞은 말을 할 것 //탕수육을 찍먹할 것인가 부먹할 것인가 토의하는 중 갑자기 짜장면이 짬뽕보다 좋다고 말하는 경우 관련성의 격률 위배 //딴소리하면 관련성의.. 2023. 8. 9.
미술 교과교육론 인출 연습문제표 참고 미술 교과교육론 파트를 잘 학습했는지 점검하는 연습문제표입니다. 모두 20문제입니다. 복습해야 할 부분이 어디인지 파악하시고 채우시면 좋겠습니다. 1 인류와 자연의 공존을 지향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관점에 기초한 미술교육은? 생태학적 미술 교육 2 [조형원리] (??) : 선이나 형의 패턴에서 생기는 것으로 경쾌한 리듬감을 준다. 율동 3 [로웬펠드] 난화기의 종류 3가지 1) (ㄱ)한 난화기: 무의식적으로 표현하는 단계 2) (ㄴ)하는 난화기: 일정한 선을 반복하는 등 손과 뇌의 협응이 이루어지는 단계 3) (ㄷ)하는 난화기: 난화에 이름을 붙이기 시작하는 단계 무질서, 조절, 명명 4 가드너의 감상 능력 발달 단계 5단계를 설명하시오. (ㄱ) - 상징인식의 단계 - 사실적 단계 - 탈사실적 단계 .. 2023. 8. 6.
판화 종류, 판화 특징 정리 참고 이 글은 초등임용고시를 준비하는 예비선생님을 대상으로 작성한 서브 노트입니다. 1. 판화의 종류 // 각 판화의 특징과 종류 파악하기! 가. 볼록 판화: 고무판화, 목판화, 지판화, 직판화, 리놀륨판화 1) 볼록 판화는 파내지 않은 볼록한 부분에 잉크를 발라 찍는 판화 2) 판과 찍힌 면의 좌우가 바뀜 3) 도장에 활용됨(옛날에는 낙관에 활용) - 음각: 백문인(흰 글씨가 나오므로); 성명인으로 사용 - 양각: 주문인(붉은 글씨가 나오므로); 자호인으로 사용 - 양음각: 주백문상간인(음각과 양각이 같이 있어 붉은 글씨와 흰 글씨가 모두 있음) 참고 목판화와 리놀륨판의 차이점: 목판은 나뭇결 때문에 주어진 방향으로 파야 하지만, 리놀륨판은 결이 없어 자유롭게 판을 팔 수 있음 참고 목판화 종류: 우드.. 2023. 8. 5.
붓 잡는 법, 붓 글씨 쓰는 법 | 미술 서예 파트 정리 서브노트 1. 붓 잡는 자세(완법) // 팔의 자세는 어떠한가? 가. 현완법: 팔이 겨드랑이에 붙지 X, 팔꿈치를 들고 씀 참고 현완법으로 쓴 글씨는 글씨체가 활달함 나. 제완법: 붓을 쥔 쪽 팔꿈치를 책상에 대고 씀 다. 침완법: 붓을 쥔 쪽 손을 반대 손으로 받쳐 씀 2. 붓 쥐는 법(집필법) // 붓을 어떻게 잡을 것인가? 가. 단구법: 엄지+집게손가락으로 붓대 잡음 참고 판본체의 집필법: 단구법 / 판본체의 완법: 침완법(안정감 있음) 나. 쌍구법: 엄지+집게+가운뎃손가락으로 붓대 잡음 3. 붓 글씨 기초 가. 용필법 단계: 점 또는 획을 쓰는 방법 관련; 기필 - 행필 - 수필 1) 기필: 붓을 쓰기 시작하는 부분 - 노봉: 붓끝을 드러냄; 꼬리 부분의 붓을 눌렀다 뗌 - 장봉: 붓끝을 숨김; 누에 머리.. 2023. 8.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