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련
들어가며
안녕하세요? 온암의 생각상자 관리자입니다. 수학과 교육과정은 수학 교육을 실시할 때 나침반과 같은 존재입니다. 어떤 내용 체계를 가르쳐야 하고, 도달해야할 성취기준은 무엇이며, 이때 고려해야 할 사항이 무엇인지 등 적혀있기 때문입니다.
한편 임용고시를 준비하는 선생님들에게는 반드시 학습해야 할 범위이기도 합니다.
아울러 지금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2022 개정 교육과정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새로운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을 학습하시는 선생님들에게 도움을 드리고자 새로운 교육과정 온라인암기장을 만들었습니다.
이 글은 초등/중등임용에서 수학과 교육과정의 어느 부분이 출제되었는지 간단히 살펴보고,
준비한 빈칸연습장을 나눔하는 순서로 글을 작성하였습니다.
초등/중등임용 수학과 교육과정 출제 포인트
아무래도 중등임용의 중학교 수학 교육과정문서와 초등임용 수학과 교육과정 문서가 같기 때문에, 중등임용 출제 포인트도 함께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아래는 두 시험에서 기출된 포인트들입니다.
참고 꼭 기출문제 원본을 탐독해보시길 권장합니다. 기출 사항 중 눈여겨볼 내용을 간추렸습니다.
2021초등 - 교수학습방향 중 창의융합 역량 중점 사항(소재로 출제)
2021중등 - 교수학습방법 중 협력 학습
2021중등 - 평가 중 프로젝트 평가
2019중등 - 교수학습방향 중 의사소통/태도 및 실천 역량 중점 사항
2018초등 - 교과역량(의사소통)
2018중등 - 교수학습방법 및 유의사항에 적힌 내용을 바탕으로 지도방안 쓰기
2018중등 - 교수학습방향 중 문제해결능력(수학적 모델링)/의사소통 능력 역량 중점 사항
2018중등 - 내용 체계 변경 사항
2016중등 - 폴리아의 수학 추론과 관계있는 교수학습방향
2015초등 - 교과역량(창의융합)
2014초등 - 교수학습방향 중 창의융합 역량 중점 사항
2009초등 - 평가 중 자기 평가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1. 교육과정 설계의 개요
2. 성격 및 목표
3. 내용 체계(내체표)
4. 성취기준 온라인암기장
4-1. 1~2학년군 성취기준
• 수와 연산 영역
4-2. 3~4학년군 성취기준
• 수와 연산 영역
5. 교수/학습 및 평가
5-1. 교수/학습
5-2. 평가
마치며
지금까지 2022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중요성과 빈칸연습자료를 나누어보았습니다. 선생님들의 공부에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임용고시 대비 온라인암기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임용 미술 교육과정(2022개정) 빈칸연습 자료 나눔 (4) | 2024.02.22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