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임용 2022총론/창체/통합 역량/모형 수학 사회/도덕 실과 국어 영어 음악 미술 체육 과학 #중등임용 2022총론/창체 국어 수학 도덕 기술가정/정보 미술 체육 한문 #특수임용 특수임용 #한국사, 한자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한자 자격증 공부 알림 [오온완] 오늘의 온라인암기장 완료 챌린지! [안내] 온라인암기장 프린트 기능 추가 [안내] 통합교과 단원개발도구 8가지 반영 완료 [안내] 원하시는 포스팅 주제가 있으시다면 방명록에 남겨주세요. 명심보감 원문 해석 - 17. 존심편 명심보감 원문 해석계선편천명편순명편효행편정기편안분편존심편계성편근학편훈자편성심편(상)성심편(하)입교편치정편치가편안의편존심편언어편교우편부행편증보편팔반가효행편2염의편근학편 子曰 居家有禮故로 長幼辨하고 閨門有禮故로 三族和하고 朝廷有禮故로 官爵序하고 田獵有禮故로 戎事閑하고 軍旅有禮故로 武功成이니라 해석 공자가 말하기를, 집안에 예가 있으므로 어른과 어린이가 분별이 있고, 안방에 예가 있으므로 삼족이 화목하고, 조정에 예가 있으므로 관등의 차례가 있고, 밭에서 사냥하는데 예가 있으므로 수렵에 때가 있으며, 군대에 예가 있으므로 무공이 이루어 진다고 하였다.참고 戎事(융사): 군사일, 활 쏘는 일, 사냥의 의미로 해석 子曰 君子 有勇而無禮면 爲亂하고 小人이 有勇而無禮면 爲盜니라 해석 공자가 말하길, 군자가.. 2024. 6. 2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