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암의 생각상자
참고 이 글은 2022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다루고 있습니다. 준비하시는 초등임용시험의 범위를 꼭 숙지하시고 학습하시길 권장합니다.
※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도표 ★★ //교육과정 원문을 보고 위치별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
가. 추구하는 인간상 : 자기주도적인 사람, 창의적인 사람, 교양 있는 사람, 더불어 사는 사람
나. 총론 역량 : 심미적 감성(역량), 창의적 사고(역량), 자기 관리(역량), 공동체(역량), 협력적 소통(역량), 지식 정보 처리(역량)
다. 음악 교과 역량
- 감성(역량): 음악적 아름다움, 정서와 가치 공감
- 소통(역량): 서로 다른 음악 표현 존중, 협력, 교류
- 공동체(역량): 다양한 음악문화 개방, 포용, 공동체 발전
- 자기 주도성(역량): 음악적 자신감, 자발적 음악 참여, 음악적 삶
- 창의성(역량): 음악적 새로움 독창, 연계, 융합
라. 영역
- 연주: 목소리, 악기, 매체 등으로 표현하는 활동
- 감상: 음악을 듣고 반응, 이해하는 활동
- 창작: 느낌과 의도를 음악으로 만드는 활동
마. 영역별 핵심 아이디어의 3가지 측면
- 음악 고유의 원리
- 생활 속 활용
- 사회 문화적 맥락
1. 2022 개정 음악 교과 교육과정은 학생들이 무엇을 발휘하여 음악 활동을 하는 데 중점을 두고 설계하였는가?(3가지) 감성, 창의성, 자기주도성
2.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은 총론의 인간상 및 핵심 역량과 연계하여 음악 교과 역량 5가지를 설정하고, 영역 및 내용 체계를 구성함으로써 핵심 아이디어 기반 역량 함양 교육과정이 체계적으로 구현되도록 하였다.
3. 총론의 핵심 역량 중 지식 정보 처리 역량은 음악 교과를 특성에 맞게 음악 교과 역량으로 재구성하였다. (O,X) X
4. 세 영역 활동은 생활 속 맥락에서 음악의 고유한 원리나 특성에 따라 이루어지고 다양하게 활용된다.
5. 범주별 내용 요소
지식/이해
1) 음악 유형이나 장르를 포함하는 음악 범위
2) 내용적 지식 + 음악 교과에서는 수행 자체가 주요 지식이고 절차가 중요하다는 점에서 절차적 지식
3) 학습 시 초점을 두어야 할 핵심 요소나 관점
과정/기능
1) 신체적/실천적 기능: 노래/연주 등
2) 인지적/연계적 기능: 설명/활용 등
가치/태도
1) 개인의 음악적 태도/가치: 흥미 등
2) 사회적/문화적/정서적 가치: 존중/협력 등
6. 영역별 내용 체계는 연주 영역을 먼저 제시하고, 창작 영역은 다른 활동을 기반으로 쉽게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마지막에 제시된다.
7. 학년군 및 학교급별 내용 구성과 위계
초3~4 | 기초/흥미 | 생활 주변의 음악 만남 |
초5~6 | 다양/공감 | 생활 속, 문화 속 음악 경험 |
중1~3 | 활용/협력 | 세계 속 음악 경험 확장 |
고1~3 | 응용/소통 | 평생 삶 속 음악 경험 활용 |
'임용고시 대비 온라인암기장 > (초등) 2022 개정 교육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초등임용대비) 초등교육과정 역량 퀴즈 (0) | 2023.11.23 |
---|---|
(초등임용 대비) 2022 음악과 교육과정 성격, 목표 (1) | 2023.11.21 |
음악 요소와 개념 체계표 온라인암기장 / 초등임용 대비, 2022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1) | 2023.11.05 |
2022개정 교육과정) 국어 성취기준 온라인암기장 #1 - 1~2학년군 (0) | 2023.10.22 |
[2022개정] 초등임용 즐생 평가의 방향, 평가 방법 워드마스킹 암기장 (1) | 2023.10.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