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 이 연습장은 상공회의소 한자 1급과 2급 배정한자를 섞어 만들었습니다. 2급 한자만 공부하실 분은 상공회의소 한자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참고] 연습문제는 이 글에서 다룬 배정한자를 잘 학습했는지 확인하는 용도로 만들었습니다.
상공회의소 한자 1급 대비 - ㄱ
한자 | 뜻/음 | 용례 | 비고 |
儺 | 역귀쫒을 나 | ||
拏 | 붙잡을 나 | ||
弩 | 쇠뇌 노 | ||
挐 | 붙잡을 나 | ||
駑 | 둔할 노 | 노마십가(駑馬十駕): 재주 없는 사람도 노력하면 할 수 있다는 뜻(둔한 말도 열흘동안 수레를 몰 수 있다) 노둔(駑鈍): 어리석고 둔함 |
|
奈 | 어찌 내/나 | 막무가내(莫無可奈): 어찌할 수 없음 | |
捺 | 누를 날 | 날인(捺印): 도장을 찍음 | |
囊 | 주머니 낭 | 배낭(背囊) 낭중지추(囊中之錐): 훌륭한 사람은 드러내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드러남 |
|
撚 | 비틀 년 | ||
捻 | 비틀 념 | ||
拈 | 집을 념 | 염화미소(拈華微笑) = 이심전심 | |
濃 | 짙을 농 | 농후(濃厚): 일어날 징후가 뚜렷함 농담(濃淡): 짙고 묽음 |
|
膿 | 고름 농 | 농개(膿疥), 화농(化膿): 고름이 생김//화농성 여드름 | |
訥 | 어눌할 눌 | ||
衲 | 기울 납 | ||
紐 | 끈 뉴 | 유대(紐帶) | |
杻 | 감탕나무 뉴 | ||
鈕 | 인꼭지 뉴 | ||
尼 | 여승 니 | ||
柅 | 무성할 니 | ||
溺 | 빠질 닉 | 탐닉(耽溺): 어떤 일에 빠짐 | |
娜 | 아리따울 나 | ||
懦 | 나약할 나 | 나약(懦弱): 의지가 강하지 않음 | |
喇 | 나팔 나 | 나팔(喇叭) | |
嫩 | 어릴 눈 | ||
剌 | 발랄할 랄 | 발랄(潑剌): 활기찬 모양 | |
辣 | 매울 랄 | 신랄(辛辣): 맛이 매움 | |
䏧 | 성길 나, 살찔 치 | ||
𣃽 | 깃발날릴 나 | ||
爹 | 아비 다 | ||
煖 | 따뜻할 난 | ||
枏 | 녹나무 남 | ||
楠 | 녹나무 남 | ||
湳 | 물이름 남 | ||
瑙 | 마노 노 | ||
拿 | 잡을 나 | 나포(拿捕)//선박을 나포하다 | |
尿 | 오줌 뇨 | 당뇨(糖尿) 요도(尿道) |
|
匿 | 숨길 닉 | 은닉(隱匿): 무엇을 숨김 익명(匿名): 이름을 숨김 |
|
捏 | 이길/꾸밀 날 | 날조(捏造): 사실이 아닌 것을 사실인 양 만들어 냄 | |
秊 | 해 년 | ||
恬 | 편안할 념 | 염담(恬澹): 욕심이 없고 담백함 | |
寗 | 차라리 녕 | 冉(나아갈 염)에서 '녕'으로 발음 변함 | |
湍 | 여울 단 | ||
緞 | 비단 단 | 비단(緋緞) | |
袒 | 웃통벗을 단 | ||
疸 | 황달 달 | 황달(黃疸): 간에 문제가 생겨 피부나 소변이 노랗게 변하는 병 | |
亶 | 믿음 단 | ||
簞 | 밥그릇 단 | 단사음표(簞食瓢飮): 조촐한 삶 단표누항(簞瓢陋巷): 시골 생활 |
|
鄲 | 조나라서울 단 | 한단지몽(邯鄲之夢): 허무한 꿈 | |
撻 | 매질할 달 | 편달(鞭撻): 수준을 끌어올리기 위해 나무라고 격려함 | |
澾 | 미끄러울 달 | ||
坍 | 무너딜 담 | ||
彤 | 붉은 동 | ||
覃 | 깊을 담 | ||
譚 | 말씀 담 | 민담(民譚): 사람들 사이에서 구전되어오는 이야기 | |
潭 | 못 담 | 백록담(白鹿潭): 한라산 꼭대기에 있는 화구호 | |
澹 | 맑을 담 | 암담(暗澹): 어둡고 쓸쓸함; 막연함 | |
憺 | 편안할 담 | 참담(慘憺): 딱하고 슬픔 | |
痰 | 가래 담 | 거담(祛痰): 가래를 없앰 | |
毯 | 담요 담 | ||
啖 | 먹을 담 | ||
錟 | 창 담 | ||
蕁 | 지모 담 | ||
沓 | 겹칠 답 | 답답(沓沓): 갑갑함 | |
遝 | 뒤섞일 답 | 답지(遝至): 한곳으로 모여듦 | |
戇 | 어리석을 당 | * 戇窩 - 수식관계 | |
塘 | 못 당 | ||
幢 | 기 당 | ||
撞 | 칠 당 | 당구(撞球) 자가당착(自家撞着): 자신의 말이 모순되어 맞지 않음 |
|
憧 | 동경할 동 | 동경(憧憬): 그리워하여 그것만을 생각함 | |
潼 | 물이름 동 | ||
瞳 | 눈동자 동 | 동공(瞳孔): 눈동자 | |
董 | 감독할 동 | 골동품(骨董品): 옛날 물건 중 보존할 가치가 있는 물건 | |
曈 | 동틀 동 | ||
朣 | 달뜰 동 | ||
棠 | 팥배나무 당 | ||
螳 | 사마귀 당 | 당랑거철(螳螂拒轍): 제 분수를 모르고 강자에게 덤빔 | |
鐺 | 쇠사슬 당 | ||
擡 | 들 대 | 대두(擡頭): 화제로 떠오름 | |
帶 | 띠 대 | 세대(世帶): 가구 | |
坮 | 돈대 대 | ||
垈 | 터 대 | ||
袋 | 주머니 대 | ||
玳 | 대모 대 | 대모(玳瑁): 바다거북 종류 중 하나 | |
岱 | 대산 대 | ||
黛 | 눈썹먹 대 | ||
戴 | 일 대 | 추대(推戴): 높은 지위로 받듦, 남부여대(男負女戴): 가난한 사람이 이리저리 돌아다님 | |
蛋 | 새알 단 | 단백질(蛋白質) | |
曇 | 흐릴 담 | ||
愖 | 즐길 담 | ||
彖 | 판단할 단 | ||
聃 | 귓바퀴없을 담 | ||
旲 | 햇빛 대 | ||
屠 | 죽일 도 | 도축(屠殺): 고기를 얻기 위해 가축을 잡음 | |
賭 | 내기 도 | 도박(賭博): 요행을 바라고 위험한 일에 손을 댐 | |
堵 | 담 도 | 안도(安堵): 마음을 놓음 | * '안도'하다의 '도'를 한자로 표기하면? {{堵}} |
睹 | 볼 도 | 목도(目睹): 어떤 장면을 바라 봄 | |
覩 | 볼 도 | ||
濤 | 물결 도 | 파도(波濤) | |
禱 | 빌 도 | 기도(祈禱) | |
燾 | 비출 도 | ||
蹈 | 밟을 도 | 무도(舞蹈): 춤 | |
鍍 | 도금할 도 | 도금(鍍金): 금이나 은 따위를 얇게 입힘 | |
萄 | 포도 도 | 포도(葡萄) | |
嶋 | 섬 도 | ||
搗 | 찧을 도 | 도정(搗精): 곡식을 찧음 | |
櫂 | 노 도 | ||
棹 | 노 도 | ||
掉 | 흔들 도 | ||
悼 | 슬퍼할 도 | 추도(追悼): 어떤 사람을 생각하며 슬퍼함 애도(哀悼): 어떤 사람의 죽음을 슬퍼함 |
|
瀆 | 더럽힐 독 | 모독(冒瀆): 어떤 존재를 깎아내려 욕되게 함 | * 瀆와 溝는 어떤 공통된 뜻을 가지고 있는가? {{도랑}} |
犢 | 송아지 독 | ||
牘 | 편지 독 | ||
沌 | 엉길 돈 | 혼돈(混沌): 구분이 되지 않아 엉긴 상태 | |
旽 | 밝을 돈 | ||
頓 | 조아릴 돈 | 돈오점수(頓悟漸修): 쉬지 않고 부족함을 닦아야 함 정돈(整頓): 가지런히 바로잡음 |
|
芚 | 싹나올 둔 | ||
墩 | 돈대 돈 | 돈대(墩臺): 평지보다 높은 평평한 땅 | |
惇 | 도타울 돈 | ||
暾 | 아침해 돈 | ||
燉 | 불빛 돈 | ||
焞 | 귀갑지지는불 돈 | ||
仝 | 한가지 동 | ||
桐 | 오동나무 동 | 오동일엽(梧桐一葉): 가을이 옴 | |
胴 | 큰창자 동 | 동체(胴體): 비행기의 몸체 | |
垌 | 항아리 동 | ||
烔 | 뜨거운모양 동 | ||
蝀 | 무지개 동 | ||
棟 | 마룻대 동 | 동량(棟梁): 대들보; 대들보같은 사람 | |
疼 | 아플 동 | ||
杜 | 막을 두 | 두견(杜鵑): 두견이 두문불출(杜門不出): 집에 틀어박혀 나가지 않음 |
|
痘 | 천연두 두 | 천연두(天然痘) | |
逗 | 머무를 두 | ||
荳 | 콩 두 | ||
枓 | 두공 두 | ||
阧 | 가파를 두 | ||
臀 | 볼기 둔 | 둔부(臀部): 엉덩이 | |
遯 | 달아날 둔 | ||
遁 | 달아날 둔 | 은둔(隱遁): 세상에서 달아나 숨음 | |
藤 | 등나무 등 | 갈등(葛藤): 의견 따위가 충돌해 어울리지 못하는 상태/상황 | |
謄 | 베낄 등 | 등사(謄寫): 원본을 베껴 옮김 등본(謄本): 원본을 베낀 서류 |
|
鄧 | 나라이름 등 | ||
橙 | 등자나무 등 | ||
嶝 | 고개 등 | ||
乭 | 이름 돌 | ||
禿 | 대머리 독 | ||
纛 | 둑 독 | 독: 임금 행차 시 사용한 의장기 | |
兜 | 투구 두 |
연습문제
[1~10] 다음 한자의 뜻/음은?
1. 芚 2. 禿 3. 亶 4. 毯 5. 犢
6. 掉 7. 蝀 8. 藤 9. 杻 10. 禱
[11~20] 다음 뜻/음을 가진 한자는?
11. 볼기 둔 12. 기 당 13. 주머니 대 14. 찧을 도 15. 나라이름 등
16. 녹나무 남 17. 못 담 18. 붙잡을 나 19. 말씀 담 20. 인꼭지 뉴
[21~35] 다음 한자의 음은?
21. [旽] ① 담 ② 동 ③ 눌 ④ 독 ⑤ 돈
22. [拈] ① 니 ② 념 ③ 독 ④ 동 ⑤ 등
23. [剌] ① 둔 ② 랄 ③ 대 ④ 뇨 ⑤ 눈
24. [旲] ① 독 ② 도 ③ 남 ④ 대 ⑤ 두
25. [聃] ① 담 ② 동 ③ 당 ④ 니 ⑤ 년
26. [董] ① 도 ② 돈 ③ 담 ④ 두 ⑤ 동
27. [烔] ① 동 ② 돈 ③ 도 ④ 단 ⑤ 두
28. [䏧] ① 나 ② 돈 ③ 담 ④ 니 ⑤ 동
29. [緞] ① 두 ② 동 ③ 니 ④ 도 ⑤ 단
30. [胴] ① 동 ② 등 ③ 도 ④ 년 ⑤ 당
31. [戇] ① 눌 ② 나 ③ 노 ④ 대 ⑤ 당
32. [堵] ① 닉 ② 날 ③ 동 ④ 담 ⑤ 도
33. [沓] ① 담 ② 당 ③ 동 ④ 도 ⑤ 답
34. [杜] ① 두 ② 도 ③ 둔 ④ 단 ⑤ 담
35. [恬] ① 두 ② 동 ③ 뉴 ④ 도 ⑤ 념
[36~50] 다음 한자의 뜻은?
36. [垈] ① 쇠사슬 ② 못 ③ 대모 ④ 이름 ⑤ 터
37. [衲] ① 이름 ② 찧을 ③ 기울 ④ 햇빛 ⑤ 달뜰
38. [捏] ① 무너딜 ② 기 ③ 뒤섞일 ④ 비틀 ⑤ 이길/꾸밀
39. [撻] ① 여울 ② 무너딜 ③ 매질할 ④ 아플 ⑤ 도타울
40. [痘] ① 막을 ② 귀갑지지는불 ③ 잡을 ④ 물이름 ⑤ 천연두
41. [拏] ① 나팔 ② 돈대 ③ 슬퍼할 ④ 붙잡을 ⑤ 편안할
42. [錟] ① 등나무 ② 창 ③ 웃통벗을 ④ 붙잡을 ⑤ 칠
43. [蕁] ① 쇠뇌 ② 찧을 ③ 슬퍼할 ④ 지모 ⑤ 둔할
44. [沌] ① 비틀 ② 엉길 ③ 달뜰 ④ 한가지 ⑤ 귓바퀴없을
45. [囊] ① 주머니 ② 편지 ③ 어리석을 ④ 뜨거운모양 ⑤ 고름
46. [澹] ① 대머리 ② 나라이름 ③ 동경할 ④ 여승 ⑤ 맑을
47. [黛] ① 무너딜 ② 돈대 ③ 눈썹먹 ④ 붙잡을 ⑤ 내기
48. [尼] ① 여승 ② 어릴 ③ 발랄할 ④ 오동나무 ⑤ 매울
49. [兜] ① 달아날 ② 눈썹먹 ③ 마노 ④ 투구 ⑤ 차라리
50. [瀆] ① 더럽힐 ② 달아날 ③ 고개 ④ 조나라서울 ⑤ 비단
[51~55] 다음 한자의 용례를 보고 □에 들어갈 한자를 쓰시오.
51. 날조(□造): 사실이 아닌 것을 사실인 양 만들어 냄 捏
52. 날인(□印): 도장을 찍음 捺
53. 농개(□疥), 화농(化□): 고름이 생김//화농성 여드름 膿
54. 참담(慘□): 딱하고 슬픔 憺
55. 도정(□精): 곡식을 찧음 搗
정답: 1) 싹나올 둔 , 2) 대머리 독 , 3) 믿음 단 , 4) 담요 담 , 5) 송아지 독 , 6) 흔들 도 , 7) 무지개 동 , 8) 등나무 등 , 9) 감탕나무 뉴, 10) 빌 도 , 11) 臀, 12) 幢 , 13) 袋, 14) 搗, 15) 鄧, 16) 枏, 17) 潭 , 18) 挐, 19) 譚 , 20) 鈕, 21) ⑤, 22) ②, 23) ②, 24) ④, 25) ①, 26) ⑤, 27) ①, 28) ①, 29) ⑤, 30) ①, 31) ⑤, 32) ⑤, 33) ⑤, 34) ①, 35) ⑤, 36) ⑤, 37) ③, 38) ⑤, 39) ③, 40) ⑤, 41) ④, 42) ②, 43) ④, 44) ②, 45) ①, 46) ⑤, 47) ③, 48) ①, 49) ④, 50) ①, 51) 捏, 52) 捺, 53) 膿, 54) , 55) 搗
첨부파일
'한자 공부 > 상공회의소 한자 1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공회의소 한자] 한자 1급, 2급 배정한자 연습 - ㅂ (1) | 2024.01.08 |
---|---|
[상공회의소 한자] 1급 배정한자 연습장 - ㅁ (1) | 2024.01.06 |
[상공회의소 한자] 상공회의소 한자 1급 배정한자 연습장 - ㄹ (1) | 2024.01.05 |
[상공회의소 한자] 1급 대비 배정한자 연습 - ㄱ (6) | 2024.01.02 |
상공회의소 한자 1급 후기 (4) | 2024.01.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