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암의 생각상자
상공회의소 한자 1급 대비 - ㅁ
한자 | 뜻/음 | 용례 | 비고 |
摩 | 비빌 마 | 마천루(摩天樓), 마찰(摩擦), 안마(按摩) | |
瑪 | 마노 마 | ||
罵 | 욕할 매 | 매도(罵倒), 타매(唾罵) | |
邈 | 멀 막 | 막원(邈遠) | |
娩 | 낳을 만 | 분만(分娩) | |
冕 | 면류관 면 | 면류관(冕旒冠), 관면(冠冕) | |
万 | 일만 만 | ||
漫 | 흩어질 만 | 방만(放漫), 만화(漫畫), 낭만(浪漫) | |
巒 | 뫼 만 | ||
彎 | 굽을 만 | 만월(彎月), 측만(側彎) | |
灣 | 물굽이 만 | 항만(港灣), 대만(臺灣) | |
蠻 | 오랑캐 만 | 만촉지쟁(蠻觸之爭): 쓸데 없이 싸움, 야만(野蠻), 만용(蠻勇), 만행(蠻行) | |
瞞 | 속일 만 | 기만(欺瞞), 만폐(瞞蔽), 만보(瞞報) | |
鏋 | 황금 만 | ||
饅 | 만두 만 | 만두(饅頭) | |
鰻 | 뱀장어 만 | ||
曼 | 끌 만 | 만려(曼麗): 아름답고 예쁨, | |
蔓 | 덩굴 만 | 만연(蔓延), 나만(蘿蔓): 담쟁이덩굴 | |
茉 | 말리 말 | ||
抹 | 지울 말 | 말소(抹消), 말살(抹殺) | |
沫 | 거품 말 | 비말(飛沫), 포말(泡沫), 포말몽환(泡沫夢幻): 덧없는 꿈, 분말(噴沫): 물방울을 내뿜음 | |
靺 | 말갈 말 | ||
襪 | 버선 말 | 양말(洋襪), 사십초말(四十初襪): 늦게 일을 해 봄 | |
蔑 | 업신여길 멸 | 멸시(蔑視), 경멸(輕蔑), 능멸(凌蔑), 모멸(侮蔑) | |
莽 | 우거질 망 | 노망(魯莽): 어리석고 미련함, 황망(荒莽): 거칠고 촌스럽다 | |
輞 | 바퀴테 망 | ||
邙 | 산이름 망 | ||
氓 | 백성 맹 | ||
網 | 그물 망 | 망거목수(網擧目隨): 어떤 일을 하면 다른 일도 따라서 이루어짐, 촉망(觸網), 추망(投網) | |
芒 | 까끄라기 망 | 망종(芒種): 24절기 중 하나(6월 쯤),망리(芒履): 짚신 | |
寐 | 잠잘 매 | 몽매(夢寐), 오매불망(寤寐不忘), 숙흥야매(夙興夜寐): 일을 열심히 부지런히 함 | |
昧 | 어두울 매 | 애매(曖昧), 우매(愚昧), 무지몽매(無知蒙昧) | |
魅 | 도깨비 매 | 매혹(魅惑), 매료(魅力) | |
煤 | 그을음 매 | 매연(煤煙), 매비(煤肥): 그을음으로 만든 비료 | |
邁 | 갈 매 | 매진(邁進) | |
陌 | 두렁 맥 | 항맥(巷陌): 길거리, 천맥(阡陌): 밭 사이에 난 길 | |
貊 | 북방종족 맥 | 예맥(濊貊) | |
枚 | 낱 매 | 매수(枚數) | |
膜 | 막 막 | 망막(網膜), 격막(膈膜), 점막(粘膜), 공막(鞏膜) | |
寞 | 고요할 막 | 적막(寂寞), 낙막(落寞): 마음이 쓸쓸함 | |
驀 | 말탈 맥 | 맥진(驀進) | |
冪 | 덮을 멱 | 승멱(乘冪): 거듭제곱 | |
摸 | 본뜰 모 | 모색(摸索), 맹인모상(盲人摸象): 일부분을 알고 전체를 아는 척함 | |
摹 | 베낄 모 | ||
謀 | 꾀 모 | 도모(圖謀), 모함(謀陷), 모면(謀免), 무모(無謀), 모의(謀議), 권모술수(權謀術數), 중상모략(中傷謀略) | |
覓 | 찾을 멱 | 멱거(覓去): 찾아감, 멱래(覓來): 찾아옴 | |
眄 | 곁눈질할 면 | 좌고우면(左顧右眄): 쉽사리 결정하지 못함, 영면(英眄): 아름다운 외모 | |
沔 | 물흐를 면 | ||
卍 | 만자 만 | ||
緬 | 가는실/멀 면 | 하면(遐緬): 아득하게 멈 | |
麵 | 국수 면 | 면복(麵腹): 좋은 일이 오래 가지 못함 | |
螟 | 마디충 명 | 명령(螟蛉): 양아들 | |
暝 | 어두울 명 | ||
瞑 | 눈감을 명 | 명상(瞑想), 명현(瞑眩): 눈앞이 캄캄함 | |
蓂 | 명협 명 | ||
慏 | 너그러울 명 | ||
溟 | 어두울 명 | 창명(滄溟): 넓은 바다 | |
椧 | 홈통 명 | ||
皿 | 그릇 명 | ||
瑁 | 서옥 모 | 대모(玳瑁) | |
帽 | 모자 모 | ||
茗 | 차싹 명 | 명로(茗爐): 찻물을 끓이는데 사용하는 화로 | |
酩 | 술취할 명 | 명정(酩酊): 매우 취함 | |
洺 | 강이름 명 | ||
袂 | 소매 몌 | 몌별(袂別): 섭섭히 헤어짐 | |
姆 | 유모 모 | 보모(保姆) | |
拇 | 엄지손가락 무 | 무지(拇指): 엄지손가락, 무인(拇印): 손도장 | |
牟 | 소우는소리 모 | ||
眸 | 눈동자 모 | 명모(明眸): 미인, 명모호치(明眸皓齒): 미인 | |
耗 | 소모할 모 | 마모(磨耗), 소모(消耗) | |
芼 | 우거질 모 | ||
鶩 | 집오리 목 | 야목(野鶩): 청둥오리 | |
楙 | 무성할 무 | ||
懋 | 힘쓸 무 | 무학(懋學): 학업에 힘씀 | |
矛 | 창 모 | 모순(矛盾) | |
茅 | 띠 모 | 모문(茅門), 모옥(茅屋): 초가집, 수간모옥(數間茅屋): 오두막집 | |
沐 | 목욕할 목 | 즐목(櫛沐): 머리를 빗고 목욕함, 목욕(沐浴), 즐풍목우(櫛風沐雨): 오랜세월 고생함 | |
穆 | 화목할 목 | ||
歿 | 죽을 몰 | 진몰(盡歿): 다 죽음, 전몰(戰歿) | |
蒙 | 어두울 몽 | 계몽(啓蒙), 몽진(蒙塵): 임금이 난리를 피함 | |
朦 | 흐릴 몽 | 몽롱(朦朧), 몽혼(朦昏): 약물로 감각을 잃음 | |
昴 | 별이름 묘 | 묘수(昴宿) | 昻(오를 앙)과 헷갈리기 쉬움 |
杳 | 아득할 묘 | 묘연(杳然): 행방을 알 수 없음 | |
渺 | 아득할 묘 | 묘연(渺然): 아득히 멈 | |
竗 | 땅이름 묘 | ||
錨 | 닻 묘 | 양묘(揚錨): 닻을 올림, 발묘(拔錨): 배가 떠남 | |
描 | 그릴 묘 | 묘사(描寫), 소묘(素描), 묘파(描破): 끝까지 그려냄, 묘호류견(描虎類犬): 끝까지 하지 않아 조롱을 받음 | |
猫 | 고양이 묘 | 묘항현령(猫項懸鈴) | |
撫 | 어루만질 무 | 군맹무상(群盲撫象): 좁은 소견으로 사물을 함부로 판단함, 무마(撫摩) | |
憮 | 어루만질 무 | 회무(懷憮): 잘 달램 | |
蕪 | 거칠 무 | 황무지(荒蕪地), 무초(蕪草): 자신의 초고를 낮추어 이르는 말 | |
巫 | 무당 무 | ||
誣 | 거짓 무 | 무고(誣告), 교무(矯誣), 혹세무민(惑世誣民) | |
无 | 없을 무 | ||
毋 | 말 무 | ||
珷 | 옥돌 무 | ||
鵡 | 앵무새 무 | ||
繆 | 얽을 무 | 주무(綢繆): 미리 꼼꼼하게 준비함 | |
畝 | 이랑 무 | ||
們 | 들 문 | ||
刎 | 목벨 문 | 자문(自刎), 문경지교(刎頸之交) | |
沕 | 아득할 물 | ||
吻 | 입술 문 | ||
紊 | 어지러울 문 | 문뇨(紊撓): 어지럽게 섞임, 풍기문란(風紀紊亂) | |
蚊 | 모기 문 | 문승(蚊蠅): 모기와 파리, 견문발검(見蚊拔劍) | |
雯 | 구름무늬 문 | ||
炆 | 따뜻할 문 | ||
旼 | 하늘 민 | ||
旻 | 하늘 민 | 창민(蒼旻): 가을 하늘 | |
玟 | 아름다운돌 민 | ||
忞 | 힘쓸 민 | ||
潣 | 물졸졸흘러내릴 민 | ||
砇 | 옥돌 민 | ||
閔 | 성씨 민 | ||
汶 | 물이름 문 | ||
媚 | 아첨할 미 | 미소(媚笑), 호미(狐媚): 아첨함 | |
嵋 | 산이름 미 | ||
楣 | 문미 미 | ||
湄 | 물가 미 | ||
梶 | 나무끝 미 | ||
彌 | 미륵 미 | 미봉(彌縫) | |
悶 | 답답할 민 | 고민(苦悶), 번민(煩悶), 우민(憂悶) | |
謎 | 수수께끼 미 | 미제(謎題) | |
媄 | 아름다울 미 | ||
渼 | 물놀이 미 | ||
躾 | 가르칠 미 | ||
嵄 | 산 미 | ||
靡 | 쓰러질 미 | 풍미(風靡), 기미(綺靡): 화려함 | |
磨 | 갈 마 | 마모(磨耗), 연마(硏磨), 마부위침(磨斧爲針), 절차탁마(切磋琢磨) | |
痲 | 저릴 마 | 마취(痲醉), 마비(痲痺) | |
魔 | 마귀 마 | 마술(魔術), 호사다마(好事多魔) | |
黴 | 곰팡이 미 | ||
媺 | 아름다울 미 | ||
薇 | 장미 미 | 장미(薔薇), | |
岷 | 산이름 민 | ||
泯 | 망할 민 | ||
珉 | 옥돌 민 | ||
緡 | 낚싯줄 민 | ||
暋 | 굳셀 민 | ||
敃 | 강인할 민 | ||
䃉 | 옥돌 민 | ||
䪸 | 강할 민 | ||
愍 | 근심할 민 | ||
𩔉 | 단단한머리 민 | ||
慜 | 총명할 민 | ||
謐 | 고요할 밀 | 정밀(靜謐): 고요하고 편안함 |
연습문제
[1~10] 다음 한자의 뜻/음은?
1. 陌 2. 巫 3. 䃉 4. 湄 5. 竗
6. 靺 7. 繆 8. 網 9. 旼 10. 們
[11~20] 다음 뜻/음을 가진 한자는?
11. 홈통 명 12. 없을 무 13. 덮을 멱 14. 옥돌 민 15. 말 무
16. 거짓 무 17. 아득할 물 18. 가는실/멀 면 19. 강이름 명 20. 황금 만
[21~35] 다음 한자의 음은?
21. [描] ① 면 ② 망 ③ 명 ④ 묘 ⑤ 민
22. [茗] ① 묘 ② 문 ③ 미 ④ 명 ⑤ 말
23. [矛] ① 무 ② 명 ③ 면 ④ 몽 ⑤ 모
24. [錨] ① 미 ② 문 ③ 마 ④ 망 ⑤ 묘
25. [芒] ① 묘 ② 만 ③ 망 ④ 말 ⑤ 명
26. [謐] ① 만 ② 망 ③ 마 ④ 무 ⑤ 밀
27. [鵡] ① 만 ② 명 ③ 무 ④ 문 ⑤ 미
28. [䪸] ① 만 ② 망 ③ 민 ④ 마 ⑤ 밀
29. [蒙] ① 문 ② 맥 ③ 무 ④ 만 ⑤ 몽
30. [魔] ① 목 ② 막 ③ 무 ④ 마 ⑤ 모
31. [敃] ① 맹 ② 말 ③ 문 ④ 매 ⑤ 민
32. [旻] ① 미 ② 몌 ③ 멸 ④ 민 ⑤ 막
33. [昴] ① 미 ② 묘 ③ 무 ④ 마 ⑤ 문
34. [万] ① 민 ② 미 ③ 만 ④ 무 ⑤ 문
35. [茉] ① 몽 ② 모 ③ 민 ④ 맥 ⑤ 말
[36~50] 다음 한자의 뜻은?
36. [閔] ① 성씨 ② 베낄 ③ 하늘 ④ 총명할 ⑤ 어두울
37. [寞] ① 고요할 ② 꾀 ③ 백성 ④ 닻 ⑤ 수수께끼
38. [痲] ① 저릴 ② 오랑캐 ③ 우거질 ④ 힘쓸 ⑤ 뫼
39. [緡] ① 근심할 ② 낚싯줄 ③ 그물 ④ 곁눈질할 ⑤ 갈
40. [愍] ① 근심할 ② 어지러울 ③ 물졸졸흘러내릴 ④ 엄지손가락 ⑤ 그물
41. [鶩] ① 가는실/멀 ② 저릴 ③ 아름다울 ④ 집오리 ⑤ 서옥
42. [罵] ① 욕할 ② 업신여길 ③ 어두울 ④ 산이름 ⑤ 너그러울
43. [酩] ① 하늘 ② 얽을 ③ 입술 ④ 모자 ⑤ 술취할
44. [襪] ① 가르칠 ② 산이름 ③ 하늘 ④ 버선 ⑤ 강할
45. [瑁] ① 서옥 ② 쓰러질 ③ 가는실/멀 ④ 하늘 ⑤ 옥돌
46. [芼] ① 우거질 ② 멀 ③ 백성 ④ 뱀장어 ⑤ 막
47. [潣] ① 강인할 ② 거짓 ③ 들 ④ 닻 ⑤ 물졸졸흘러내릴
48. [卍] ① 땅이름 ② 앵무새 ③ 거칠 ④ 이랑 ⑤ 만자
49. [貊] ① 북방종족 ② 물가 ③ 유모 ④ 그릴 ⑤ 만자
50. [枚] ① 거짓 ② 아득할 ③ 산이름 ④ 말리 ⑤ 낱
[51~55] 다음 한자의 용례를 보고 □에 들어갈 한자를 쓰시오.
51. 명상(□想), 명현(□眩): 눈앞이 캄캄함 瞑
52. 보모(保□) 姆
53. 무지(□指): 엄지손가락, 무인(□印): 손도장 拇
54. 즐목(櫛□): 머리를 빗고 목욕함, 목욕(□浴), 즐풍목우(櫛風□雨): 오랜세월 고생함 沐
55. 마모(□耗), 연마(硏□), 마부위침(□斧爲針), 절차탁마(切磋琢□) 磨
정답: 1) 두렁 맥 , 2) 무당 무 , 3) 옥돌 민 , 4) 물가 미 , 5) 땅이름 묘 , 6) 말갈 말 , 7) 얽을 무 , 8) 그물 망 , 9) 하늘 민 , 10) 들 문 , 11) 椧, 12) 无, 13) 冪, 14) 珉, 15) 毋, 16) 誣, 17) 沕, 18) 緬, 19) 洺, 20) 鏋, 21) ④, 22) ④, 23) ⑤, 24) ⑤, 25) ③, 26) ⑤, 27) ③, 28) ③, 29) ⑤, 30) ④, 31) ⑤, 32) ④, 33) ②, 34) ③, 35) ⑤, 36) ①, 37) ①, 38) ①, 39) ②, 40) ①, 41) ④, 42) ①, 43) ⑤, 44) ④, 45) ①, 46) ①, 47) ⑤, 48) ⑤, 49) ①, 50) ⑤, 51) 瞑, 52) 姆, 53) 拇, 54) 沐, 55) 磨
첨부파일
'한자 공부 > 상공회의소 한자 1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공회의소 한자] 한자 1급 배정한자 공부 - ㅅ (2) | 2024.01.09 |
---|---|
[상공회의소 한자] 한자 1급, 2급 배정한자 연습 - ㅂ (1) | 2024.01.08 |
[상공회의소 한자] 상공회의소 한자 1급 배정한자 연습장 - ㄹ (1) | 2024.01.05 |
[상공회의소 한자] 한자 1급 배정한자 연습 - ㄴ,ㄷ (2) | 2024.01.04 |
[상공회의소 한자] 1급 대비 배정한자 연습 - ㄱ (5) | 2024.01.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