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 이 연습장은 상공회의소 한자 1급과 2급 배정한자를 섞어 만들었습니다. 2급 한자만 공부하실 분은 상공회의소 한자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참고] 연습문제는 이 글에서 다룬 배정한자를 잘 학습했는지 확인하는 용도로 만들었습니다.
상공회의소 한자 1급 대비 - ㅅ
한자 | 뜻/음 | 용례 | 비고 |
乍 | 잠깐 사 | ||
糸 | 실 사 | ||
僿 | 잘게부술 사 | 사설(僿說): 자질구레한 말 | |
唆 | 부추길 사 | 교사(敎唆), 시사(示唆) | |
梭 | 북 사 | ||
嗣 | 이을 사 | 후사(後嗣) | |
伺 | 엿볼 사 | ||
祠 | 사당 사 | 사당(祠堂), 사원(祠院) | |
飼 | 먹일 사 | 사육(飼育), 사료(飼料) | |
奢 | 사치할 사 | 호사(豪奢), 화사(華奢), 사치(奢侈) | |
俟 | 기다릴 사 | 사하청(俟河淸): 되지 않을 일을 기다림 | |
砂 | 모래 사 | ||
紗 | 깁 사 | 면사(面紗) | |
娑 | 춤출 사 | 파사(婆娑): 가냘픈 모양 | |
莎 | 향부자 사 | ||
乷 | 음역자 살 | ||
徙 | 옮길 사 | 이사(移徙), 조천모사(朝遷暮徙) | |
柶 | 수저 사 | ||
泗 | 물이름 사 | ||
駟 | 사마 사 | 사불급설(駟不及舌): 말조심하기 | |
渣 | 찌꺼기 사 | ||
篩 | 체 사 | ||
蓑 | 도롱이 사 | 사의(蓑衣) | |
瀉 | 쏟을 사 | 일사천리(一瀉千里), 사혈(瀉血), 설사(泄瀉), 吐瀉(토사): 상토하사 | |
潟 | 개펄 석 | 간석(干潟), 석호(潟湖) | |
獅 | 사자 사 | ||
肆 | 방자할 사 | 사종(肆縱): 방자하게 굶, 방사(放肆): 제멋대로 하여 어려움성이 없음 | |
赦 | 용서할 사 | 사면(赦免), 사죄(赦罪), 사유(赦宥) | |
麝 | 사향노루 사 | 사향(麝香) | |
傘 | 우산 산 | 우산(雨傘), 양산(陽傘) | |
珊 | 산호 산 | 산호(珊瑚) | |
刪 | 깎을 산 | 개산(改刪), 산만(刪蔓): 편지 첫머리에 쓰는 말, 증산(增刪), 산삭(刪削) | |
汕 | 오구 산 | ||
疝 | 산증 산 | ||
蒜 | 마늘 산 | ||
撒 | 뿌릴 살 | 살수(撒水), 살포(撒布) | |
霰 | 싸라기눈 살 | 산탄(霰彈) | |
煞 | 죽일 살 | 역마살(驛馬煞), 독살(毒煞), 흉살(凶煞) | |
薩 | 보살 살 | ||
芟 | 벨 삼 | ||
杉 | 삼나무 삼 | 삼판(杉板) | |
森 | 빽빽할 삼 | 삼림(森林), 삼엄(森嚴), 삼라만상(森羅萬象) | |
蔘 | 인삼 삼 | 홍삼(紅蔘), 삼포(蔘圃): 인삼을 재배하는 밭 | |
衫 | 적삼 삼 | ||
滲 | 스밀 삼 | 삼입(滲入), 삼투(滲透) | |
揷 | 꽂을 삽 | 재삽(栽揷), 삽화(揷畫), 삽입(揷入) | |
澁 | 떫을 삽 | 난삽(難澁), 삽미(澁味) | |
鈒 | 창 삽 | 삽금(鈒金), 삽혜(鈒鞋), 삽자(鈒刺): 죄인의 몸에 글자를 새김 | |
颯 | 바람소리 삽 | 삽불(颯拂): 옷자락이 나부낌, 삽랄(颯辣): 힘차고 굳셈 | |
橡 | 상수리나무 상 | 상실(橡實): 도토리, 구반상실(狗飯橡實): 개밥의 도토리 | |
庠 | 학교 상 | 상서(庠序): 학교, 향서(鄕庠): 서당 | |
翔 | 날 상 | 비상(飛翔), 활상(滑翔) | |
湘 | 강이름 상 | ||
孀 | 과부 상 | 청상과부(靑孀寡婦): 어린 나이에 과부가 됨 | |
箱 | 상자 상 | 서상(書箱), 상자(箱子) | |
峠 | 고개 상 | ||
爽 | 시원할 상 | 건상(健爽), 상쾌(爽快), 상화(爽和): 병이 듦 | |
塽 | 높고밝은땅 상 | 상개(塽塏) | |
牀 | 평상 상 | 상슬(牀蝨): 빈대 | |
觴 | 잔 상 | 남상(濫觴): 모든 일의 근원 | |
璽 | 도장 새 | 국새(國璽), 옥새(玉璽) | |
賽 | 굿할 새 | ||
嗇 | 아낄 색 | 인색(吝嗇), 진색(珍嗇): 몸을 아낌 | |
穡 | 거둘 색 | 무자가색(務玆稼穡) | |
誠 | 정성 성 | 정성(精誠) | |
牲 | 희생 생 | 희생(犧牲) | |
甥 | 생질 생 | 생질(甥姪), 구생(舅甥): 장인과 사위 | |
貹 | 재물 생/성 | ||
甦 | 깨어날 소 | 소생(甦生) | |
穌 | 깨어날 소 | ||
笙 | 생황 생 | 생황(笙簧), 고슬취생(鼓瑟吹笙): 풍류 | |
胥 | 서로 서 | ||
壻 | 사위 서 | 동서(同壻), 서랑(壻郞): 남의 사위를 높여부름, 췌서(贅壻): 데릴사위 | |
諝 | 슬기 서 | ||
㥠 | 슬기 서 | ||
嶼 | 섬 서 | 도서(島嶼), 서초(嶼草) | |
㠘 | 섬 서 | ||
藇 | 아름다울 서 | ||
抒 | 풀 서 | 서정(抒情) | |
墅 | 농막 서 | ||
舒 | 펼 서 | 서부(舒鳧): 집오리, 진서(振舒): 떨쳐서 폄 | |
薯 | 참마 서 | 번서(蕃薯): 감자, 서시(薯豉): 감자로 담근 된장 | |
曙 | 새벽 서 | 서광(曙光), 서경(曙景) | |
棲 | 살 서 | 서식(棲息), 유서(幽棲): 은자의 거주 | |
捿 | 살 서 | ||
栖 | 깃들일 서 | ||
犀 | 무소 서 | ||
瑞 | 상서로울 서 | 상서(祥瑞), 서기(瑞氣) | |
筮 | 점대 서 | 괘서(卦筮): 점을 침 | |
鋤 | 호미 서 | 경전서후(耕前鋤後): 부부가 도우며 일함 | |
黍 | 기장 서 | 서리(黍離): 망한 나라의 황폐한 풍경 | |
絮 | 솜 서 | 서어(絮語): 긴 말, 유서지재(柳絮之才): 여자의 글재주 | |
鼠 | 쥐 서 | 묘서동처(猫鼠同處): 도둑을 잡을 사람과 도둑이 한편이 됨, 궁서설묘(窮鼠齧猫): 궁지에 몰린 쥐가 고양이를 물음 | |
奭 | 클 석 | ||
晳 | 밝을 석 | 명석(明晳) | |
淅 | 일 석 | 석력(淅瀝): 비나 눈이 내리는 소리 | |
蓆 | 자리 석 | ||
汐 | 조수 석 | 조석(潮汐), 석담(汐曇) | |
碩 | 클 석 | 위석(偉碩): 덩치가 큼, 석사(碩士), 석학(碩學) | |
鉐 | 놋쇠 석 | ||
錫 | 주석 석 | 주석(朱錫) | |
僊 | 춤출 선 | ||
扇 | 부채 선 | 하선동력(夏扇冬曆): 물품이 계절에 맞음, 하로동선(夏爐冬扇): 아무 소용 없는 재주나 물건 | |
煽 | 부채질할 선 | 선정(煽情), 선동(煽動), 선양(煽揚) | * '선정적'의 '선정'을 한자로 쓰면? {{煽情}} |
璿 | 구슬 선 | 선원(璿源): 임금의 집안 | |
璇 | 옥 선 | ||
琁 | 옥 선 | ||
嫙 | 예쁠 선 | ||
癬 | 옴 선 | 농개(膿疥), 개선(疥癬), 건선(乾癬), 선창(癬瘡) | |
蘚 | 이끼 선 | 선태(蘚苔), 선류(蘚類) | |
繕 | 기울 선 | 수선(修繕) | |
膳 | 반찬 선 | 선물(膳物), 선사(膳賜), 문안시선(問安視膳): 웃어른을 모심 | |
饍 | 반찬 선 | ||
鐥 | 복자 선 | 주선(酒鐥): 술을 담는 복자 | |
墡 | 백토 선 | ||
敾 | 기울 선 | 고치다 | |
渲 | 바림 선 | 선염(渲染) | 그라데이션 |
瑄 | 도리옥 선 | ||
愃 | 너그러울 선 | ||
羨 | 부러워할 선 | 선어무망(羨魚無網): 노력없이 날로 먹으려 함 | |
腺 | 샘 선 | 선종(腺腫), 누선(淚腺), 임파선(淋巴腺) | |
蟬 | 매미 선 | 선탈(蟬脫), 춘와추선(春蛙秋蟬): 쓸모없는 언론, 당랑규선(螳螂窺蟬): 앞으로 닥칠 재해를 의식하지 않음 | |
嬋 | 고울 선 | 선연화(嬋娟花): 진달래꽃 | |
詵 | 많을 선 | ||
珗 | 옥돌 선 | ||
跣 | 맨발 선 | ||
銑 | 무쇠 선 | 선철(銑鐵): 무쇠 | |
卨 | 사람이름 설 | ||
禼 | 사람이름 설 | ||
屑 | 가루 설 | 거설(鋸屑): 톱밥, 설진(屑塵): 먼지, 죽두목설(竹頭木屑): 쓸모없는 것도 모으면 요긴함 | |
宵 | 밤 소 | 달소(達宵): 밤을 새움, 가소(佳宵): 아름다운 밤 | |
逍 | 노닐 소 | 소요(逍遙) | |
䨭 | 하늘 소 | ||
銷 | 녹일 소 | 의기소침(意氣銷沈) | |
褻 | 더러울 설 | 외설(猥褻), 설의(褻衣): 속옷 | |
楔 | 문설주 설 | 문설주(門楔柱) | |
泄 | 샐 설 | 누설(漏泄), 배설(排泄), 설사(泄瀉) | |
渫 | 파낼 설 | 준설(浚渫): 배가 지나가도록 강/바다 바닥을 팜 | |
貰 | 세낼 세 | 전세(傳貰), 세입자(貰入者), 셋방(貰房) | |
侁 | 걷는모양 신 | ||
笹 | 조릿대 세 | ||
篠 | 조릿대 소 | ||
忕 | 사치할 태/세 | ||
洩 | 샐 설 | 천기누설(天機漏洩) | |
薛 | 성씨 설 | 궁서설묘(窮鼠齧猫), 설치류(齧齒類) | |
齧 | 물 설 | ||
蔎 | 향초 설 | ||
暹 | 해돋을 섬 | 섬라(暹羅): 태국 | |
纖 | 가늘 섬 | 섬세(纖細), 섬유(纖維), 섬섬옥수(纖纖玉手) | |
殲 | 다죽일 섬 | 섬멸(殲滅), 섬박(殲撲) | |
蟾 | 두꺼비 섬 | 섬광(蟾光): 달빛을 달리 이르는 말 | |
贍 | 넉넉할 섬 | 섬휼(贍卹): 어려운 사람들을 구제함, 부섬(富贍) | |
閃 | 번쩍일 섬 | 섬광(閃光), 섬요(閃燿), 동섬서홀(東閃西忽): 동에 번쩍 서에 번쩍 | |
陜 | 고을이름 합/섬 | 합천 | |
剡 | 땅이름 섬 | ||
燮 | 불꽃 섭 | 섭벌(燮伐): 힘을 합쳐 정벌함 | |
惺 | 깨달을 성 | ||
猩 | 성성이 성 | ||
醒 | 깰 성 | 각성(覺醒) | |
腥 | 비릴 성 | 성취(腥臭): 비린내, 초성(草腥): 풀비린내 | |
瑆 | 옥빛 성 | ||
宬 | 서고 성 | ||
娍 | 아름다울 성 | ||
晟 | 밝을 성 | ||
珹 | 옥이름 성 | ||
筬 | 바디 성 | 성구(筬簆): 베틀 | 베틀 |
塑 | 흙빚을 소 | 소성(塑性), 조소(彫塑) | |
遡 | 거스를 소 | 소급(遡及), 소구(遡求) | |
溯 | 거슬러올라갈 소 | 소강(溯江): 강을 거슬러 올라감, 소원(溯源): 물 근원지를 찾기 위해 거슬러 올라감 | |
巢 | 새집 소 | 난소(卵巢), 소굴(巢窟) | |
梳 | 빗 소 | 소즐(梳櫛): 빗, 빗질, 주침야소(晝寢夜梳): 자연 섭리에 거스르면 좋지 않음 | * 트인(疏) 머리카락을 빗질(梳)하려니 슬픔 |
疏 | 트일 소 | 소통(疏通), 소원(疏遠), 생소(生疏) | |
沼 | 못 소 | 용소(龍沼): 폭포에서 물이 떨어지는 부분, 소반(沼畔): 연못가 | |
邵 | 땅이름 소 | ||
韶 | 풍류이름 소 | 소안(韶顔): 동안인 노인의 얼굴 | |
紹 | 이을 소 | 소개(紹介), 계소(繼紹): 이어받음 | |
卲 | 높을 소 | 휘소(徽卲): 덕행이 아름답고 높음 | |
笹 | 조릿대 세 | ||
篠 | 조릿대 소 | ||
忕 | 사치할 태/세 | ||
洩 | 샐 설 | 천기누설(天機漏洩) | |
薛 | 성씨 설 | 궁서설묘(窮鼠齧猫), 설치류(齧齒類) | |
齧 | 물 설 | ||
蔎 | 향초 설 | ||
暹 | 해돋을 섬 | ||
纖 | 가늘 섬 | 섬세(纖細), 섬유(纖維), 섬섬옥수(纖纖玉手) | |
殲 | 다죽일 섬 | 섬멸(殲滅), 섬박(殲撲) | |
蟾 | 두꺼비 섬 | ||
贍 | 넉넉할 섬 | 섬휼(贍卹): 어려운 사람들을 구제함, 부섬(富贍) | |
閃 | 번쩍일 섬 | 섬광(閃光), 섬요(閃燿), 동섬서홀(東閃西忽): 동에 번쩍 서에 번쩍 | |
陜 | 고을이름 합/섬 | 합천 | |
剡 | 땅이름 섬 | ||
燮 | 불꽃 섭 | 섭벌(燮伐): 힘을 합쳐 정벌함 | |
惺 | 깨달을 성 | ||
猩 | 성성이 성 | ||
醒 | 깰 성 | 각성(覺醒) | |
腥 | 비릴 성 | 성취(腥臭): 비린내, 초성(草腥): 풀비린내 | |
瑆 | 옥빛 성 | ||
宬 | 서고 성 | ||
娍 | 아름다울 성 | ||
晟 | 밝을 성 | ||
珹 | 옥이름 성 | ||
筬 | 바디 성 | 성구(筬簆): 베틀 | 베틀 |
塑 | 흙빚을 소 | 소성(塑性), 조소(彫塑) | |
遡 | 거스를 소 | 소급(遡及), 소구(遡求) | |
溯 | 거슬러올라갈 소 | 소강(溯江): 강을 거슬러 올라감, 소원(溯源): 물 근원지를 찾기 위해 거슬러 올라감 | |
巢 | 새집 소 | 난소(卵巢), 소굴(巢窟) | |
梳 | 빗 소 | 소즐(梳櫛): 빗, 빗질, 주침야소(晝寢夜梳): 자연 섭리에 거스르면 좋지 않음 | |
疏 | 트일 소 | 소통(疏通), 소원(疏遠), 생소(生疏) | |
沼 | 못 소 | 용소(龍沼): 폭포에서 물이 떨어지는 부분, 소반(沼畔): 연못가 | |
邵 | 땅이름 소 | ||
韶 | 풍류이름 소 | ||
紹 | 이을 소 | 소개(紹介), 계소(繼紹): 이어받음 | |
卲 | 높을 소 | 휘소(徽卲): 덕행이 아름답고 높음 | |
炤 | 밝을 소 | ★ | |
柖 | 흔들릴 소 | ||
玿 | 아름다운옥 소 | ||
愫 | 정성 소 | ||
釗 | 쇠 쇠 | 발쇠(發釗): 쇠뇌를 쏨 | |
潇 | 강이름 소 | ||
簫 | 퉁소 소 | 단소(短簫), 억취소악(憶吹簫樂): 억지 추측 | |
嘯 | 휘파람 소 | 소풍농월(嘯風弄月): 자연을 감상함 | ★ |
潚 | 깊고맑을 숙 | ||
橚 | 줄지어설 숙 | ||
蕭 | 맑은대쑥 소 | 쓸쓸하다 | |
壽 | 목숨 수 | 백수(白壽): 99세 | |
繡 | 수놓을 수 | 자수(刺繡), 금수(錦繡), 수의야행(繡衣夜行): 영광스러운 일을 남에게 알리지 않음 | |
贖 | 속죄할 속 | 속죄(贖罪), 속량(贖良), 대속(代贖) | |
涑 | 헹굴 속 | ||
悚 | 두려울 송 | 죄송(罪悚), 송구(悚懼), 황송(惶悚) | |
謖 | 일어날 속 | 읍참마속(泣斬馬謖) | |
搔 | 긁을 소 | 격화소양(隔靴搔癢): 정곡을 찌르지 못해 답답함 | |
瘙 | 종기 소 | ||
巽 | 손괘 손 | 손괘(巽卦) | |
遜 | 겸손할 손 | 공손(恭遜), 겸손(謙遜), 오만불손(傲慢不遜) | |
蓀 | 향풀이름 손 | ||
篒 | 대밥통 식 | ||
飡 | 저녁밥 손 | ||
宋 | 송나라 송 | ||
淞 | 강이름 송 | ||
鎖 | 쇠사슬 쇄 | 폐쇄(閉鎖), 봉쇄(封鎖) | |
灑 | 뿌릴 쇄 | 소쇄(瀟灑): 맑고 깨끗함, 쇄락(灑落): 개운하고 깨끗함 | |
碎 | 부술 쇄 | 쇄신(碎身), 분쇄(粉碎) | |
嫂 | 형수 수 | 제수(弟嫂), 형수(兄嫂) | |
瘦 | 파리할 수 | 수척(瘦瘠), 수구(瘦軀) | |
戍 | 지킬 수 | 위수(衛戍) | |
狩 | 사냥할 수 | 수렵(狩獵), 야수(野狩): 들에서 사냥함 | |
洙 | 강이름 수 | ||
銖 | 저울눈 수 | 치수(錙銖): 작은 무게 단위 | |
茱 | 수유 수 | 수유(茱萸) | |
蓚 | 수산 수 | 수산(蓚酸) | 수산=옥살산 |
邃 | 깊을 수 | 심수(深邃), 수학(邃學): 깊이 있는 학식 | |
漱 | 양치질할 수 | 수석침류(漱石枕流): 말잘못을 그럴듯하게 꾸밈 | |
嗽 | 기침할 수 | 수세(嗽洗): 양치질하고 세수함, 담수(痰嗽): 담이 껴 기침이 나는 병 | |
隋 | 수나라 수 | ||
髓 | 골수 수 | 골수(骨髓), 정수(精髓), 척수(脊髓) | |
燧 | 부싯돌 수 | 봉수(烽燧) | |
璲 | 패옥 수 | ||
脩 | 포 수 | 포수(脯脩): 얇게 잘라서 말린 고기, 속수(束脩): 입학할 때 내는 돈 | |
琇 | 옥돌 수 | ||
岫 | 산굴 수 | ||
峀 | 산굴 수 | ||
穗 | 이삭 수 | 일경구수(一莖九穗): 상서로운 곡물, 낙수(落穗): 어떤 일의 뒷이야기, 맥수(麥穗): 망한 나라에 대한 탄식 | |
竪 | 세울 수 | 수립(竪立), 수관(竪罐), 횡설수설(橫說竪說) | |
粹 | 순수할 수 | 국수주의(國粹主義), 순수(純粹) | |
綏 | 편안할 수 | 정수(靖綏): 편안하거나 편안하게 함 | |
綬 | 끈 수 | ||
羞 | 부끄러울 수 | 수치(羞恥), 참수(慙羞): 부끄러워함, 진수성찬(珍羞盛饌), 폐월수화(閉月羞花): 미인, 수오지심(羞惡之心) | |
隧 | 길 수 | ||
銹 | 녹슬 수 | 철수(鐵銹): 철에 생기는 녹 | |
蒐 | 모을 수 | 수집(蒐輯): 자료를 모아 편집함, 수집(蒐集): 여러 가지를 찾아 모음, 수록(蒐錄) | |
藪 | 늪 수 | ||
袖 | 소매 수 | 협수(夾袖), 수수방관(袖手傍觀), 첨수(尖袖): 좁은 소매 | |
讐 | 원수 수 | 원수(怨讐) | |
酬 | 갚을 수 | 보수(報酬), 응수(應酬), 수작(酬酌): 술잔을 주고받음 | * '보수'의 동음이의어: 保□/報□ 각 빈칸에 들어갈 한자는? {{守, 酬}} |
濉 | 물이름 수 | ||
鬚 | 수염 수 | 수염(鬚髥), 용수철(龍鬚鐵), 부지거수(仆地據鬚): 우연히 상황이 겹쳐 의심을 받음 | |
塾 | 글방 숙 | 서숙(書塾), 숙당(塾堂), 숙사(塾師) | |
夙 | 일찍 숙 | 숙취(夙就): 일찍 이룸, 숙기(夙起): 일찍 일어남 | |
琡 | 옥이름 숙 | ||
菽 | 콩 숙 | 숙맥(菽麥), 숙맥불변(菽麥不辨): 어리석은 사람, 숙수(菽水): 변변치 못한 음식 | |
楯 | 난간 순 | 순좌(楯座): 별자리 이름, 순각(楯桷): 순각판 | |
洵 | 참으로 순 | ||
筍 | 죽순 순 | 석순(石筍), 죽순(竹筍), 치순(稚筍): 어린 죽순, 우후죽순(雨後竹筍) | |
荀 | 풀이름 순 | ||
徇 | 주창할 순 | ||
恂 | 정성 순 | 순연(恂然): 갑자기, 순율(恂慄): 두려워 떪 | |
栒 | 가름대 순 | ||
珣 | 옥이름 순 | ||
詢 | 물을 순 | 자순(諮詢):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의견을 물음, 근순(謹詢): 삼가 물음 | |
䳠 | 새매 수 | ||
賥 | 재물 수 | ||
璹 | 옥그릇 숙 | ||
淳 | 순박할 순 | 순후(淳厚), 순실(淳實), 순박(淳朴) | |
醇 | 진한술 순 | 순화(醇化) | |
舜 | 순임금 순 | ||
橓 | 무궁화나무 순 | ||
蕣 | 무궁화 순 | ||
馴 | 길들일 순 | 순록(馴鹿), 순량(馴良): 길이 잘들어 순함, 아순(雅馴): 말씨가 의젓함 | |
崇 | 높을 숭 | 숭상(崇尙), 숭배(崇拜) | |
諄 | 타이를 순 | 순유(諄諭): 좋게 타이름 | |
錞 | 악기이름 순 | ||
瑟 | 거문고 슬 | 금슬(琴瑟), 교주고슬(膠柱鼓瑟): 융통성이 없음 | |
璱 | 푸른구슬 슬 | ||
膝 | 무릎 슬 | 슬하(膝下) | |
蝨 | 이 슬 | 상슬(床蝨): 빈대 | |
褶 | 주름 습 | 습곡(褶曲), 균습(菌褶): 버섯주름 | |
丞 | 도울 승 | 승상(丞相) | |
升 | 되 승 | ||
陞 | 오를 승 | 승등(陞等), 승천(陞天), 승보시(陞補試): 과거시험 중 하나 | |
繩 | 줄 승 | 포승(捕繩), 자승자박(自繩自縛) | |
蠅 | 파리 승 | ||
榺 | 잉아 승 | 잉아: 베틀의 굵은 실 | |
塍 | 밭두둑 승 | 승봉(塍封): 두렁 | |
蓴 | 순채 순 | ||
鉥 | 돗바늘 술 | ||
崧 | 우뚝솟을 숭 | ||
氶 | 이을 승 | ||
恃 | 믿을 시 | 호시(怙恃): 부모, 긍시(矜恃): 내 행동에 긍지를 가짐 | * 恃의 독음은? [사/시/지/치] {{시}} |
蒔 | 모종낼 시 | ||
嘶 | 울 시 | ||
猜 | 시기할 시 | 시기(猜忌), 시투(猜妬), 시의(猜疑), 혐시(嫌猜) | |
蓍 | 시초 시 | 시초(蓍草): 톱풀 | |
豕 | 돼지 시 | ||
豺 | 승냥이 시 | 시랑(豺狼): 승냥이와 이리; 탐욕이 많은 사람, 시호(豺虎): 승냥이와 호랑이; 난폭한 사람 | |
匙 | 숟가락 시 | 십시일반(十匙一飯), 시저(匙箸): 숟가락과 젓가락 | |
媤 | 시집 시 | 시댁(媤宅), 시숙(媤叔) | |
尸 | 주검 시 | ||
屎 | 똥 시 | 시뇨(屎尿): 똥오줌 | |
弑 | 죽일 시 | 시해(弑害), 시살(弑殺) | |
識 | 알 식 | * '적을 지'로도 쓰임-標識(표지) | |
軾 | 수레앞턱가로나무 식 | ||
偲 | 굳셀 시 | ||
拭 | 닦을 식 | 불식(拂拭), 소식(掃拭): 쓸고 닦음, 고순식설(膏脣拭舌): 남을 비방할 준비가 되어있음 | |
些 | 적을 사 | 사소(些少), 사략(些略) | |
柴 | 섶 시 | 시비(柴扉): 사립문, 시요(柴窯): 주나라 때 사용한 가마 | |
薪 | 섶 신 | 와신상담(臥薪嘗膽), 배수거신(杯水車薪):아무 소용이 없음 | |
翅 | 날개 시 | ||
諡 | 시호 시 | 시호(諡號): 죽은 사람에게 주는 이름 | |
柿 | 감나무 시 | 건시(乾柿), 삽시(澁柿) | |
埴 | 찰흙 식 | ||
殖 | 번식할 식 | 번식(繁殖), 증식(增殖) | |
湜 | 물맑을 식 | ||
蝕 | 좀먹을 식 | 월식(月蝕), 부식(腐蝕), 침식(浸蝕) | |
寔 | 이 식 | ||
娠 | 아이밸 신 | 임신(妊娠) | |
紳 | 큰띠 신 | 신사(紳士) | |
熄 | 꺼질 식 | 식멸(熄滅), 종식(終熄) | |
腎 | 콩팥 신 | 신장(腎臟) | |
栻 | 점치는기구 식 | ||
訊 | 물을 신 | 신문(訊問), 심신(審訊): 조사를 목적으로 물음 | |
迅 | 빠를 신 | 신속(迅速), 신풍(迅風) | |
悉 | 다 실 | 실개(悉皆): 모두 다, 상실(詳悉): 자세하게 앎 | |
瀋 | 즙 심 | ||
什 | 열사람 십 | 십장(什長) | |
宸 | 집 신 | 신한(宸翰): 임금이 쓴 편지, 신의(宸意): 임금의 뜻 | |
蜃 | 무명조개 신 | 신기루(蜃氣樓) | |
莘 | 족두리 신 | ||
燼 | 깜부기불 신 | 신멸(燼滅), 신회(燼灰): 타고 남은 재 | |
藎 | 조개풀 신 | ||
璶 | 옥돌 신 | ||
沁 | 스며들 심 | ||
芯 | 골풀 심 | ||
諶 | 미더울 심 | 난심(難諶): 믿기 어려움 |
연습문제
[1~10] 다음 한자의 뜻/음은?
1. 陜 2. 閃 3. 瑆 4. 蓴 5. 庠
6. 遡 7. 璽 8. 渫 9. 陞 10. 藇
[11~20] 다음 뜻/음을 가진 한자는?
11. 옥돌 선 12. 새매 수 13. 콩 숙 14. 길들일 순 15. 속죄할 속
16. 아낄 색 17. 기장 서 18. 녹슬 수 19. 거둘 색 20. 인삼 삼
[21~35] 다음 한자의 음은?
21. [肆] ① 사 ② 생 ③ 소 ④ 삽 ⑤ 수
22. [贍] ① 순 ② 섬 ③ 신 ④ 서 ⑤ 성
23. [璱] ① 슬 ② 생 ③ 선 ④ 승 ⑤ 섬
24. [嬋] ① 서 ② 섬 ③ 승 ④ 선 ⑤ 삽
25. [娍] ① 서 ② 식 ③ 수 ④ 살 ⑤ 성
26. [乷] ① 섭 ② 선 ③ 소 ④ 살 ⑤ 사
27. [篒] ① 식 ② 섬 ③ 사 ④ 손 ⑤ 선
28. [洩] ① 새 ② 합 ③ 섬 ④ 설 ⑤ 수
29. [峀] ① 선 ② 생 ③ 수 ④ 신 ⑤ 서
30. [扇] ① 속 ② 시 ③ 성 ④ 슬 ⑤ 선
31. [寔] ① 쇠 ② 식 ③ 사 ④ 설 ⑤ 수
32. [潟] ① 석 ② 삽 ③ 신 ④ 성 ⑤ 식
33. [燮] ① 소 ② 시 ③ 성 ④ 실 ⑤ 섭
34. [醇] ① 세 ② 성 ③ 순 ④ 소 ⑤ 사
35. [泄] ① 설 ② 수 ③ 성 ④ 상 ⑤ 합
[36~50] 다음 한자의 뜻은?
36. [尸] ① 예쁠 ② 섬 ③ 주검 ④ 글방 ⑤ 열사람
37. [巢] ① 새집 ② 무명조개 ③ 번쩍일 ④ 실 ⑤ 잘게부술
38. [娠] ① 아이밸 ② 새집 ③ 해돋을 ④ 손괘 ⑤ 스며들
39. [瑟] ① 거문고 ② 기다릴 ③ 길 ④ 물 ⑤ 도장
40. [溯] ① 거슬러올라갈 ② 적삼 ③ 우산 ④ 재물 ⑤ 샐
41. [衫] ① 밝을 ② 속죄할 ③ 파리 ④ 적삼 ⑤ 사당
42. [灑] ① 뿌릴 ② 번쩍일 ③ 삼나무 ④ 옥돌 ⑤ 사자
43. [笙] ① 생황 ② 바디 ③ 깰 ④ 사치할 ⑤ 산증
44. [笹] ① 도울 ② 지킬 ③ 조릿대 ④ 돼지 ⑤ 싸라기눈
45. [蒐] ① 모을 ② 옥돌 ③ 저울눈 ④ 북 ⑤ 가름대
46. [剡] ① 거슬러올라갈 ② 생황 ③ 기울 ④ 많을 ⑤ 땅이름
47. [玿] ① 맑은대쑥 ② 보살 ③ 산굴 ④ 아름다운옥 ⑤ 아름다울
48. [丞] ① 불꽃 ② 조수 ③ 줄 ④ 도울 ⑤ 정성
49. [岫] ① 산굴 ② 거슬러올라갈 ③ 모래 ④ 다죽일 ⑤ 시원할
50. [孀] ① 섶 ② 긁을 ③ 풀이름 ④ 과부 ⑤ 강이름
[51~55] 다음 한자의 용례를 보고 □에 들어갈 한자를 쓰시오.
51. 건시(乾□), 삽시(澁□) 柿
52. 신기루(□氣樓) 蜃
53. 삼림(□林), 삼엄(□嚴), 삼라만상(□羅萬象)
54. 서정(□情) 抒
55. 사종(□縱): 방자하게 굶, 방사(放□): 제멋대로 하여 어려움성이 없음 肆
정답: 1) 고을이름 합/섬, 2) 번쩍일 섬, 3) 옥빛 성, 4) 순채 순, 5) 학교 상, 6) 거스를 소, 7) 도장 새, 8) 파낼 설, 9) 오를 승, 10) 아름다울 서, 11) 珗, 12) 䳠, 13) 菽, 14) 馴, 15) 贖, 16) 嗇, 17) 黍, 18) 銹, 19) 穡, 20) 蔘, 21) ①, 22) ②, 23) ①, 24) ④, 25) ⑤, 26) ④, 27) ①, 28) ④, 29) ③, 30) ⑤, 31) ②, 32) ①, 33) ⑤, 34) ③, 35) ①, 36) ③, 37) ①, 38) ①, 39) ①, 40) ①, 41) ④, 42) ①, 43) ①, 44) ③, 45) ①, 46) ⑤, 47) ④, 48) ④, 49) ①, 50) ④, 51) 柿, 52) 蜃, 53) 森, 54) 抒, 55) 肆
첨부파일
'한자 공부 > 상공회의소 한자 1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공회의소 한자] 한자 1급 선정한자 모음 연습장 - ㅈ (3) | 2024.01.12 |
---|---|
[상공회의소 한자] 한자 1급 공부 - 음이 ㅇ인 한자 모음 연습장 (2) | 2024.01.10 |
[상공회의소 한자] 한자 1급, 2급 배정한자 연습 - ㅂ (1) | 2024.01.08 |
[상공회의소 한자] 1급 배정한자 연습장 - ㅁ (1) | 2024.01.06 |
[상공회의소 한자] 상공회의소 한자 1급 배정한자 연습장 - ㄹ (1) | 2024.01.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