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 이 연습장은 상공회의소 한자 1급과 2급 배정한자를 섞어 만들었습니다. 2급 한자만 공부하실 분은 상공회의소 한자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참고] 연습문제는 이 글에서 다룬 배정한자를 잘 학습했는지 확인하는 용도로 만들었습니다.
상공회의소 한자 1급 대비 -
한자 | 뜻/음 | 용례 | 비고 |
総 | 다 총 | ||
樞 | 지도리 추 | 추축(樞軸): 가장 중요한 부분, 중추(中樞), 추기경(樞機卿) | 근원 |
黜 | 내칠 출 | 폐출(廢黜) | |
擅 | 멋대로할 천 | 독천(獨擅) | |
闡 | 밝힐 천 | 천명(闡明) | |
侘 | 낙망할 차 | 차제(侘傺): 낙망하여 멍함 | |
姹 | 자랑할 차 | 자랑할 타 | |
邨 | 마을 촌 | ||
寵 | 사랑할 총 | 은총(恩寵), 총애(寵愛) | |
陟 | 오를 척 | 진척(進陟): 일이 진행되어 감 | |
酢 | 초 초 | 어초(魚酢): 생선젓 | |
奲 | 관대할 차 | ||
痔 | 치질 치 | 치질(痔疾) | |
馳 | 달릴 치 | 배치(背馳) | |
寨 | 목책 채 | ||
蹠 | 밟을 척 | 대척점(對蹠點) | |
遮 | 가릴 차 | 차양(遮陽), 차폐(遮蔽), 차단(遮斷) | |
茜 | 꼭두서니 천 | ||
竄 | 숨을 찬 | ||
坧 | 기지 척 | ||
甛 | 달 첨 | ||
懺 | 뉘우칠 참 | 참회(懺悔) | |
讖 | 예언 참 | 도참(圖讖): 예언서 | |
籤 | 제비 첨 | 추첨(抽籤), 당첨(當籤) | |
睫 | 속눈썹 첩 | 미첩(眉睫), 순첩(眴睫): 눈 깜짝할 사이에 | |
捷 | 이길 첩 | 첩경(捷徑): 지름길, 대첩(大捷), 민첩(敏捷) | |
苕 | 완두 초 | ||
貂 | 담비 초 | 속초(續貂): 좋은 것 뒤에 나쁜 것이 뒤따름 | |
岧 | 높을 초 | ||
釥 | 좋은쇠 초 | ||
炒 | 볶을 초 | ||
剿 | 죽일 초 | 초습(剿襲): 남의 것을 뺏어서 씀, 초토(剿討) | |
囑 | 부탁할 촉 | 위촉(委囑), 촉탁(囑託) | |
撰 | 지을 찬 | 칙찬(勅撰): 임금이 글을 지음 | |
饌 | 반찬 찬 | 진수성찬(珍羞盛饌) | |
椒 | 산초나무 초 | ||
墜 | 떨어질 추 | 추락(墜落), 실추(失墜) | |
幟 | 기 치 | ||
熾 | 성할 치 | 치열(熾熱), 치열(熾烈) | |
穿 | 뚫을 천 | 수적천석(水滴穿石), 천착(穿鑿), 천공(穿孔) | |
剔 | 바를 척 | 척결(剔抉) | |
堞 | 성가퀴 첩 | ||
牒 | 편지 첩 | 통첩(通牒) | |
諜 | 염탐할 첩 | 첩자(諜者), 방첩(防諜), 간첩(間諜) | |
昶 | 해길 창 | ||
贅 | 혹 췌 | 췌서(贅壻): 데릴사위, 췌언(贅言): 군더더기말 | |
脆 | 연할 취 | 취약(脆弱), 유취(柔脆) | |
彰 | 드러날 창 | 표창(表彰), 욕개미창(欲蓋彌彰): 숨기면 더 드러남 | |
漲 | 넘칠 창 | 창일(漲溢), 창만(漲滿) | |
脹 | 부을 창 | 팽창(膨脹), 창만(脹滿) | |
沾 | 더할 첨 | ||
砧 | 다듬잇돌 침 | 침저(砧杵): 다듬잇방망이 | |
站 | 역마을 참 | 역참(驛站) | |
帖 | 문서 첩 | 수첩(手帖), 공명첩(空名帖) | |
貼 | 붙일 첩 | 첩부(貼付), 반첩(反貼) | |
擲 | 던질 척 | 건곤일척(乾坤一擲), 투척(投擲), 포척(抛擲) | |
締 | 맺을 체 | 체결(締結) | |
諦 | 살필 체 | 체념(諦念): 아주 단념함, 요체(要諦): 핵심 | |
剃 | 머리깎을 체 | 체발(剃髮), 체도(剃刀) | |
涕 | 눈물 체 | 체루(涕淚), 유체(流涕) | |
蔡 | 성씨 채 | ||
滌 | 씻을 척 | 세척(洗滌), 척탕(滌蕩) | |
齪 | 악착할 착 | 악착(齷齪) | |
琗 | 주옥광채 채 | 주옥광채 쉬 | |
悴 | 파리할 췌 | 초췌(憔悴) | |
倜 | 기개있을 척 | 척당(倜儻): 뜻이 크고 기개가 있음 | |
矗 | 우거질 촉 | ||
蟄 | 숨을 칩 | 경칩(驚蟄), 칩거(蟄居) | |
醋 | 초 초 | 식초(食醋), 초장(醋醬) | |
釵 | 비녀 채 | 금채(金釵), 옥채(玉釵) | 비녀 차 |
叉 | 갈래 차 | 교차(交叉) | |
嗟 | 탄식할 차 | 차악(嗟愕): 슬픈 일을 당해 놀람 | |
嵯 | 우뚝솟을 차 | 차아(嵯峨): 높고 험함 | |
磋 | 갈 차 | 절차탁마(切磋琢磨) | |
蹉 | 미끄러질 차 | 차질(蹉跌) | |
瑳 | 고울 차 | ||
砦 | 울타리 채 | ||
硨 | 옥돌 차 | 차거(硨磲): 아름다운 돌 | |
搾 | 짤 착 | 착즙(搾汁), 착유(搾乳), 압착(壓搾), 착취(搾取) | |
窄 | 좁을 착 | 협착(狹窄), 착박(窄迫) | |
鑿 | 뚫을 착 | 천착(穿鑿), 굴착(掘鑿) | |
纂 | 모을 찬 | 편찬(編纂) | ★ |
澯 | 맑을 찬 | ||
璨 | 빛날 찬 | ||
粲 | 정미 찬 | ||
燦 | 빛날 찬 | 찬란(燦爛) | |
鑽 | 뚫을 찬 | 연찬(硏鑽) | |
攢 | 모일 찬 | ||
巑 | 산뾰족할 찬 | ||
瓚 | 옥잔 찬 | ||
纘 | 이을 찬 | 찬승(纘承) | |
餐 | 밥 찬 | ||
篡 | 빼앗을 찬 | ||
刹 | 절 찰 | 사찰(寺刹), 찰나(刹那) | |
擦 | 비빌 찰 | 마찰(摩擦), 찰과상(擦過傷) | |
紮 | 감을 찰 | 긴찰(緊紮), 찰전(紮纏) | |
札 | 편지 찰 | 낙찰(落札), 서찰(書札) | |
塹 | 구덩이 참 | 참호(塹壕) | |
斬 | 벨 참 | 참수(斬首), 부관참시(剖棺斬屍), 읍참마속(泣斬馬謖) | |
讒 | 참소할 참 | 참언(讒言): 거짓으로 남을 헐뜯는 말, 참기(讒譏): 참소하고 욕함 | |
僭 | 주제넘을 참 | 참람(僭濫), 참의(僭衣): 신분에 넘어선 옷을 입음 | |
愴 | 슬플 창 | 비창(悲愴), 창명(愴冥) | |
艙 | 부두 창 | 선창(船艙) | |
槍 | 창 창 | 죽창(竹槍) | |
滄 | 큰바다 창 | 창해일속(滄海一粟), 창상지변(滄桑之變) | |
瘡 | 부스럼 창 | 욕창(褥瘡), 만신창이(滿身瘡痍) | |
廠 | 헛간 창 | 병기창(兵器廠) | |
敞 | 시원할 창 | ||
猖 | 미쳐날뛸 창 | 피로연(披露宴), 창피(猖披), 창궐(猖獗) | |
倡 | 광대 창 | ||
娼 | 창녀 창 | ||
菖 | 창포 창 | 창포(菖蒲) | |
埰 | 영지 채 | ||
寀 | 녹봉 채 | ||
棌 | 참나무 채 | ||
婇 | 여자의자 채 | ||
綵 | 비단 채 | ||
采 | 캘 채 | ||
柵 | 울타리 책 | 방책(防柵), 철책(鐵柵) | |
凄 | 쓸쓸할 처 | 처량(凄涼), 처연(凄然) | |
悽 | 슬퍼할 처 | 처참(悽慘) | |
慽 | 근심할 척 | 척비(慽悲) | |
蹙 | 닥칠 축 | 빈축(嚬蹙), 축알(蹙頞): 눈살을 찌푸림 | |
逐 | 쫓을 축 | 각축(角逐), 방축(放逐), 축척(逐斥) | |
瘠 | 파리할 척 | 수척(瘦瘠), 척박(瘠薄) | |
脊 | 등마루 척 | 척추(脊椎), 척삭(脊索) | |
隻 | 외짝 척 | ||
仟 | 일천 천 | ||
阡 | 두렁 천 | 천맥(阡陌): 밭 사이의 길 | |
喘 | 숨찰 천 | 천식(喘息), 천명(喘鳴): 쌕쌕거림 | |
玔 | 옥고리 천 | ||
釧 | 팔찌 천 | ||
舛 | 어그러질 천 | 천박(舛駁), 천와(舛訛) | |
韆 | 그네 천 | 추천(鞦韆) | |
凸 | 볼록할 철 | 요철(凹凸), 철경(凸鏡): 볼록거울 | |
喆 | 밝을 철 | ||
撤 | 거둘 철 | 철수(撤收), 철회(撤回), 철거(撤去), 불철주야(不撤晝夜) | |
澈 | 맑을 철 | 징철(澄澈), 형철(瑩澈) | |
徹 | 통할 철 | 철야(徹夜) | |
轍 | 바퀴자국 철 | 당랑거철(螳螂拒轍), 전거복철(前車覆轍): 앞 선례를 조심할 것 | |
輟 | 그칠 철 | ||
綴 | 엮을 철 | 편철(編綴), 철자(綴字), 점철(點綴) | |
僉 | 다 첨 | ||
簽 | 제비 첨 | ||
瞻 | 볼 첨 | 첨성대(瞻星臺), 첨망(瞻望) | |
詹 | 이를 첨 | ||
疊 | 겹쳐질 첩 | 중첩(重疊), 첩첩산중(疊疊山中) | |
輒 | 문득 첩 | 봉인첩설(逢人輒說): 만나는 사람마다 소문을 퍼뜨리고 다님 | |
鯖 | 청어 청 | ||
菁 | 우거질 청 | ||
楚 | 초나라 초 | ||
憔 | 파리할 초 | 초췌(憔悴), 초쇠(憔衰) | |
樵 | 나무할 초 | 초부(樵夫) | |
焦 | 탈 초 | 초미(焦眉): 매우 급함, 초토화(焦土化), 노심초사(勞心焦思) | |
蕉 | 파초 초 | 파초(芭蕉), 난초(蘭蕉) | |
醮 | 제사지낼 초 | 초례(醮禮) | |
梢 | 나뭇가지끝 초 | 말초(末梢): 사물의 끝 | |
稍 | 점점 초 | 초잠식지(稍蠶食之): 조금씩 먹어들어감 | |
哨 | 망볼 초 | 초계(哨戒), 보초(步哨), 전초(前哨) | |
硝 | 화약 초 | ||
礁 | 암초 초 | 암초(暗礁), 산호초(珊瑚礁) | |
艸 | 풀 초 | ||
蜀 | 나라이름 촉 | ||
忖 | 헤아릴 촌 | 촌탁(忖度): 마음을 헤아림 | |
叢 | 모일 총 | 총서(叢書) | |
塚 | 무덤 총 | 패총(貝塚) | |
悤 | 바쁠 총 | 총망(悤忙) | |
憁 | 바쁠 총 | ||
蔥 | 파 총 | ||
摠 | 다 총 | ||
崔 | 성씨 최 | ||
撮 | 사진찍을 촬 | 촬영(撮影) | |
湫 | 다할 추 | ||
萩 | 사철쑥 추 | ||
鰍 | 미꾸라지 추 | 추어(鰍魚) | |
楸 | 가래나무 추 | ||
皺 | 주름 추 | 추미(皺眉): 눈썹을 찡그림, 추면(皺面) | |
雛 | 병아리 추 | 와룡봉추(臥龍鳳雛): 때를 기다리는 인재 | |
騶 | 말먹이는사람 추 | ||
芻 | 꼴 추 | 반추(反芻) | |
趨 | 달아날 추 | 귀추(歸趨), 추세(趨勢) | |
槌 | 망치 추 | 철퇴(鐵槌) | 망치 퇴 |
椎 | 쇠몽치 추 | 척추(脊椎), 경추(頸椎), 요추(腰椎) | |
筑 | 악기이름 축 | ||
瑃 | 옥이름 춘 | ||
賰 | 넉넉할 춘 | ||
珫 | 귀고리옥 충 | ||
膵 | 췌장 췌 | 췌장(膵臟), 췌암(膵癌) | |
萃 | 모을 췌 | 발췌(拔萃) | |
諏 | 물을 추 | ||
嘴 | 부리 취 | ||
驟 | 달릴 취 | ||
梔 | 치자나무 치 | ||
峙 | 언덕 치 | 대치(對峙), 치립(峙立) | |
嗤 | 비웃을 치 | ||
蚩 | 어리석을 치 | ||
淄 | 검은빛 치 | ||
緇 | 검을 치 | ||
輜 | 짐수레 치 | 치중(輜重), 치차(輜車) | |
厠 | 뒷간 측 | 측간(廁間) | |
惻 | 슬퍼할 측 | 측은지심(惻隱之心), 간측(懇惻) | |
飭 | 신칙할 칙 | 신칙(申飭): 단단히 타일러서 조심함 | |
柒 | 일곱 칠 | ||
琛 | 보배 침 | ||
諂 | 아첨할 첨 | 아첨(阿諂), 첨유(諂諛) | |
箚 | 찌를 차 | ||
炊 | 불땔 취 | 취사(炊事), 궐취(闕炊): 밥을 거름, 자취(自炊) | |
夬 | 터놓을 쾌 | ||
灘 | 여울 탄 | ||
朶 | 늘어질 타 | ||
帑 | 금고 탕 | ||
慝 | 사특할 특 | 사특(邪慝): 사악하고 간악함 | |
憚 | 꺼릴 탄 | 염탄(厭憚), 탄복(憚服): 두려워서 복종함 | |
坦 | 평탄할 탄 | 평탄(平坦), 탄복(坦腹): 사위, 순탄(順坦) | |
搭 | 탈 탑 | 탑재(搭載), 탑승(搭乘) | |
馱 | 짐 타 | ||
咤 | 꾸짖을 타 | 질타(叱咤) | |
垞 | 언덕 타 | ||
頹 | 무너질 퇴 | 퇴폐(頹廢), 퇴세(頹勢) | |
慟 | 서러워할 통 | 통곡(慟哭) | |
筒 | 대통 통 | 필통(筆筒) | |
攄 | 펼 터 | 터득(攄得) | |
闖 | 엿볼 틈 | 틈문(闖門), 틈입(闖入) | |
妬 | 질투할 투 | 질투(嫉妬), 투기(妬忌) | |
宕 | 호탕할 탕 | 호탕(豪宕), 질탕(跌宕) | |
唾 | 침 타 | 타액(唾液), 타매(唾罵) | 垂 |
惰 | 게으를 타 | 타성(惰性), 권타(倦惰) | |
楕 | 길쭉할 타 | 타원(楕圓) | |
拖 | 끌 타 | ||
鐸 | 방울 탁 | 목탁(木鐸), 탁령(鐸鈴) | |
桶 | 통 통 | 목통(木桶), 철통(鐵桶) | |
偸 | 훔칠 투 | ||
撑 | 버틸 탱 | 지탱(支撑) | |
撐 | 버틸 탱 | 상하탱석(上下撐石): 임시변통 | |
擢 | 뽑을 탁 | 발탁(拔擢), 탁발난수(擢髮難數): 너무 많음 | |
綻 | 터질 탄 | 파탄(破綻), 탄로(綻露) | |
坼 | 터질 탁 | 개탁(開坼), 탁봉(坼封) | |
柝 | 딱따기 탁 | 격탁(擊柝), 경탁(警柝): 경계하기 위해 쓰는 막대기 | |
槌 | 망치 퇴 | 철퇴(鐵槌), 추타(槌打) | 망치 추 |
堆 | 쌓을 퇴 | 퇴적(堆積), 퇴비(堆肥) | |
琢 | 쫄 탁 | 조탁(雕琢), 절차탁마(切磋琢磨) | |
舵 | 키 타 | 조타(操舵) | |
陀 | 비탈질 타 | ||
駝 | 낙타 타 | 타락죽(駝駱粥), 낙타(駱駝) | |
倬 | 클 탁 | ||
晫 | 밝을 탁 | ||
琸 | 사람이름 탁 | ||
啄 | 쫄 탁 | ||
託 | 부탁할 탁 | 청탁(請託), 부탁(付託) | |
呑 | 삼킬 탄 | 감탄고토(甘呑苦吐) | |
耽 | 즐길 탐 | 탐닉(耽溺), 탐혹(耽惑) | |
眈 | 노려볼 탐 | 호시탐탐(虎視眈眈) | |
榻 | 걸상 탑 | 탑상(榻床) | |
蕩 | 방탕할 탕 | 방탕(放蕩), 탕진(蕩盡) | * 쓸어버릴 탕 |
兌 | 바꿀 태 | ||
台 | 별 태 | ||
笞 | 볼기칠 태 | 태형(笞刑), 태벌(笞罰) | |
胎 | 아이밸 태 | 잉태(孕胎), 태아(胎兒) | |
苔 | 이끼 태 | 감태(甘苔), 선태(蘚苔) | |
跆 | 밟을 태 | 태권도(跆拳道) | |
邰 | 나라이름 태 | ||
颱 | 태풍 태 | 태풍(颱風) | |
汰 | 일 태 | 도태(淘汰): 쓸모 없는 부분이 없어지게 함, 사태(沙汰) | |
兎 | 토끼 토 | 토사구팽(兎死狗烹), 교토삼굴(狡免三窟) | |
腿 | 넓적다리 퇴 | 퇴골(腿骨), 대퇴(大腿) | |
褪 | 바랠 퇴 | ||
套 | 덮개 투 | 봉투(封套) | |
嘆 | 탄식할 탄 |
연습문제
[1~10] 다음 한자의 뜻/음은?
1. 摠 2. 搭 3. 琛 4. 婇 5. 趨
6. 鑿 7. 廠 8. 硨 9. 淄 10. 桶
[11~20] 다음 뜻/음을 가진 한자는?
11. 사람이름 탁 12. 사진찍을 촬 13. 악착할 착 14. 성가퀴 첩 15. 꼭두서니 천
16. 풀 초 17. 주제넘을 참 18. 옥이름 춘 19. 맑을 찬 20. 사철쑥 추
[21~35] 다음 한자의 음은?
21. [砦] ① 채 ② 찬 ③ 첩 ④ 토 ⑤ 창
22. [釥] ① 철 ② 채 ③ 탐 ④ 초 ⑤ 퇴
23. [奲] ① 추 ② 채 ③ 촉 ④ 태 ⑤ 차
24. [柒] ① 찬 ② 측 ③ 초 ④ 태 ⑤ 칠
25. [賰] ① 첨 ② 춘 ③ 척 ④ 천 ⑤ 채
26. [胎] ① 취 ② 총 ③ 채 ④ 태 ⑤ 타
27. [梢] ① 초 ② 태 ③ 탁 ④ 투 ⑤ 축
28. [脆] ① 탱 ② 측 ③ 채 ④ 추 ⑤ 취
29. [讒] ① 촌 ② 춘 ③ 추 ④ 채 ⑤ 참
30. [撰] ① 척 ② 추 ③ 천 ④ 찬 ⑤ 창
31. [攄] ① 터 ② 탁 ③ 초 ④ 최 ⑤ 췌
32. [紮] ① 찰 ② 차 ③ 첩 ④ 추 ⑤ 탕
33. [舵] ① 태 ② 체 ③ 창 ④ 채 ⑤ 타
34. [窄] ① 착 ② 치 ③ 척 ④ 최 ⑤ 채
35. [炒] ① 찬 ② 척 ③ 초 ④ 총 ⑤ 철
[36~50] 다음 한자의 뜻은?
36. [菖] ① 창포 ② 검을 ③ 기개있을 ④ 구덩이 ⑤ 볼
37. [蟄] ① 산뾰족할 ② 기 ③ 말먹이는사람 ④ 나라이름 ⑤ 숨을
38. [湫] ① 다할 ② 파리할 ③ 거둘 ④ 가릴 ⑤ 터놓을
39. [駝] ① 신칙할 ② 갈래 ③ 낙타 ④ 바쁠 ⑤ 탄식할
40. [鐸] ① 파초 ② 서러워할 ③ 게으를 ④ 엮을 ⑤ 방울
41. [撤] ① 쇠몽치 ② 창 ③ 침 ④ 거둘 ⑤ 맺을
42. [蔥] ① 성가퀴 ② 우뚝솟을 ③ 예언 ④ 파 ⑤ 모을
43. [輟] ① 그칠 ② 일 ③ 옥고리 ④ 더할 ⑤ 초나라
44. [饌] ① 외짝 ② 반찬 ③ 다 ④ 고울 ⑤ 자랑할
45. [醋] ① 구덩이 ② 악착할 ③ 초 ④ 파리할 ⑤ 볶을
46. [箚] ① 멋대로할 ② 치자나무 ③ 살필 ④ 넉넉할 ⑤ 찌를
47. [汰] ① 일 ② 악착할 ③ 딱따기 ④ 뚫을 ⑤ 파리할
48. [坼] ① 터질 ② 파리할 ③ 마을 ④ 엿볼 ⑤ 탈
49. [託] ① 꾸짖을 ② 갈 ③ 팔찌 ④ 부탁할 ⑤ 빼앗을
50. [瑳] ① 고울 ② 사진찍을 ③ 바퀴자국 ④ 치자나무 ⑤ 여울
[51~55] 다음 한자의 용례를 보고 □에 들어갈 한자를 쓰시오.
51. 침저(□杵): 다듬잇방망이 砧
52. 체루(□淚), 유체(流□) 涕
53. 탑재(□載), 탑승(□乘) 搭
54. 건곤일척(乾坤一□), 투척(投□), 포척(抛□) 擲
55. 중첩(重□), 첩첩산중(□□山中) 疊
정답: 1) 다 총, 2) 탈 탑, 3) 보배 침, 4) 여자의자 채, 5) 달아날 추, 6) 뚫을 착, 7) 헛간 창, 8) 옥돌 차, 9) 검은빛 치, 10) 통 통, 11) 琸, 12) 撮, 13) 齪, 14) 堞, 15) 茜, 16) 艸, 17) 僭, 18) 瑃, 19) 澯, 20) 萩, 21) ①, 22) ④, 23) ⑤, 24) ⑤, 25) ②, 26) ④, 27) ①, 28) ⑤, 29) ⑤, 30) ④, 31) ①, 32) ①, 33) ⑤, 34) ①, 35) ③, 36) ①, 37) ⑤, 38) ①, 39) ③, 40) ⑤, 41) ④, 42) ④, 43) ①, 44) ②, 45) ③, 46) ⑤, 47) ①, 48) ①, 49) ④, 50) ①, 51) 砧, 52) 涕, 53) 搭, 54) 擲, 55) 疊
첨부파일
'한자 공부 > 상공회의소 한자 1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공회의소 한자] 한자 1급 배정한자 연습장 - ㅍ,ㅎ (3) | 2024.01.19 |
---|---|
[상공회의소 한자] 한자 1급 선정한자 모음 연습장 - ㅈ (3) | 2024.01.12 |
[상공회의소 한자] 한자 1급 공부 - 음이 ㅇ인 한자 모음 연습장 (2) | 2024.01.10 |
[상공회의소 한자] 한자 1급 배정한자 공부 - ㅅ (2) | 2024.01.09 |
[상공회의소 한자] 한자 1급, 2급 배정한자 연습 - ㅂ (1) | 2024.01.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