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공부/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공부

백제/고구려의 멸망과 신라의 통일 과정

by 온암 2024. 11. 12.
300x250
728x170

 

고구려/백제의 멸망과 신라의 통일과정

참고 사료는 한국사데이터베이스(https://db.history.go.kr/)자료를 활용하였습니다.

 

고구려 후기 흐름

 • 수나라와의 전쟁
      (1) 수 문제가 30만 대군을 이끌고 고구려를 침입하였으나 실패
      (2) 수 양제가 113만 대군을 이끌고 고구려를 2차 침입 → 을지문덕의 살수대첩 //지금의 청천강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큰 승리를 거둠

 • 당나라와의 전쟁
      (1) 연개소문이 정변을 일으켜 권력을 쥠
      (2) 당 태종이 고구려를 침입, 고구려가 안시성에서 승리를 거둠 //안시성 전투(645)

참고 안시성에서 당나라 군대에 맞서 싸우다(645)

安市人望見, 輙乘城鼓噪. 帝怒, 世勣請克城之日, 男子皆坑之. 安市人聞之, 益堅守, 攻久不下 - [삼국사기]

해석) 안시성 사람이 당 황제(태종)의 깃발과 일산(햇빛을 차단하기 위한 덮개)을 보고 곧바로 성에 올라가 북을 두드리고 고함을 질렀다. 황제가 분노하여 세적(이세적; 당나라 장수)이 청하길, "성을 정복하는 날 남자를 모두 묻어버립시다."라고 하였다. 안시성 사람들이 그것을 듣고 더욱 견고히 지켰으니 오래 공격하여도 무너지지 않았다.
* 輙=輒: 문득 첩; [갑자기], [곧장]의 의미

 • 고구려의 멸망(668): 연개소문이 사망 후 연남생이 배신하여 평양성이 함락함

 

백제 후기 흐름

 • 의자왕 초기 시기 신라의 대야성을 빼앗음 //신라 입장에서 위기, 연합할 나라가 필요 → 나/당 동맹으로 연결

 • 신라와 당이 연합군을 편성하여 백제를 공격 → 계백의 군대가 황산벌 전투에서 항전함

 • 백제의 멸망(660): 의자왕이 항복 //백제 멸망(660)이 고구려 멸망(668)보다 8년 빠름

참고 백제 의자왕이 신라에게 항복하다(660)

十八日, 義慈率太子及熊津方領軍等, 自熊津城来降 - [삼국사기]

해석) (음력 7월) 18일, 의자왕이 태자와 웅진방령(대한민국 도지사와 비슷)의 군사를 거느리고 웅진성에서 나와 항복하였다.
* 自: 한문에서 '~에서(=from)'의 의미로 사용

 • 백강 전투(663): 백제 부흥군이 왜군과 연합하여 나/당 연합군과 전투하였으나 패배함

 

고구려와 백제의 부흥 운동

 • 고구려: 고연무/검모잠이 안승을 추대하여 고구려 부흥 운동을 펼침

 • 백제
    (1) 복신/도침이 부여풍을 왕으로 추대함
    (2) 흑치상지가 임존성에서 백제 부흥 운동을 전개함

 

신라의 삼국 통일 과정

 • 나/당 동맹
    (1) 김춘추가 고구려에 가서 동맹을 요청하였으나 실패함
    (2) 김춘추가 당에 가서 나/당 동맹을 결성함(648)

 • 나/당 전쟁
    (1) 나/당 연합군이 백제(660)와 고구려(668)를 멸망시키자, 당나라가 웅진도독부와 계림도독부 설치
    (2) 신라군이 매소성(675), 기벌포(676)에서 당나라 군대를 물리치고 삼국을 통일함 //한국사 첫 통일이라는 의의가 있으나, 외세의 힘을 빌렸다는 점과 대동강~원산만 이북 지역을 잃었다는 한계점 有

 

퀴즈로 복습하기

1. 고구려가 백제보다 8년 일찍 멸망하였다. (O,X)

정답: X

2. 수나라와의 전쟁에서 (?)은 살수에서 수나라 군대를 크게 물리쳤다.

정답: 을지문덕

3. 고연무와 검모잠이 (?)을 추대하여 고구려 부흥 운동을 펼쳤다.

정답: 안승

4. (?)가 임존성에서 백제 부흥 운동을 펼쳤다.

정답: 흑치상지

5. 나/당 전쟁에서 신라군이 (?)과 (?)에서 당나라 군대를 물리치고 삼국을 통일하였다. (연도순대로 쓰시오)

정답: 매소성, 기벌포

300x250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