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려 전기 왕과 주요 업적을 알아볼까요 고려 전기 왕과 주요 업적참고 사료는 한국사데이터베이스(https://db.history.go.kr/)자료를 활용하였습니다. 태조(왕건) (918~943)• 민생 안정 정책: 구휼 목적으로 흑창을 설치함, 조세를 10%로 줄임• , , 를 저술해 고려의 가이드라인 마련• 청천강에서 영흥에 이르는 지역까지 영토를 넓힘• 발해 유민에게는 우호적, 거란에게는 비우호적 태도로 접근 //거란이 선물로 보낸 낙타를 굶겨죽임• 호족 회유 정책과 견제 정책을 동시에 시행함     (1) 호족 회유 정책: 호족 세력의 딸과 결혼함, 사성 정책(왕씨 성을 하사함), 후삼국 통일의 공적이 있는 자에게 역분전을 지급     (2) 호족 견제 정책: 기인 제도(호족의 자제를 수도에 머물게 함), 사심관 제도(지방에 살던 관리가.. 2024. 11. 16.
후삼국의 등장과 고려의 통일 후삼국의 등장과 고려의 통일불안정한 후기 통일 신라• 호족의 등장: 지방 세력의 힘이 커지면서 독자적인 군사력과 행정력을 행사하는 호족이 등장함 //호족 출신인 견훤이 후백제를 건국• 호족은 불교 사상 중 선종을 받아들여 성장함• 경덕왕 시기(757) 녹읍이 부활하고 왕권이 약화함• 혜공왕(780)이 반란 중 피살당함참고 혜공왕이 난 중에 피살되다夏四月, 上大䓁金良相與伊飡敬信擧兵, 誅志貞䓁, 王與后妃, 爲亂兵所害. 良相䓁謚王爲惠恭.- [삼국사기]해석) 여름 4월, 상대등 김양상이 이찬 경신(원성왕)과 함께 군사를 일으켜 (김)지정 등을 죽였으나 왕과 왕비가 반란군에게 죽임을 당하였다. 김양상 등이 왕의 시호를 혜공이라 지었다. * 爲...所~: ...에게 ~를 당하다 ** 원문을 통해 원성왕이 혜공왕 다.. 2024. 11.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