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임용 2022총론/창체/통합 역량/모형 수학 사회/도덕 실과 국어 영어 음악 미술 체육 과학 #중등임용 2022총론/창체 국어 수학 도덕 기술가정/정보 미술 체육 한문 #특수임용 특수임용 #한국사, 한자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한자 자격증 공부 알림 [오온완] 오늘의 온라인암기장 완료 챌린지! [안내] 온라인암기장 프린트 기능 추가 [안내] 통합교과 단원개발도구 8가지 반영 완료 [안내] 원하시는 포스팅 주제가 있으시다면 방명록에 남겨주세요. 한국 전통 도자기 기법, 도자기 이름 붙이는 순서 1. 한국의 전통도자기 기법가. 상감: 그릇의 표면에 문양을 파내고 백토를 채워넣는 기법나. 귀얄: 백토를 바른 붓으로 그릇에 칠해 무늬를 만드는 기법다. 덤벙: 백토를 탄 물에 그릇을 담갔다 꺼내는 기법라. 철화: 백토 분장 위에 철분이 들어간 안료로 그림을 그려넣는 기법 참고 청화: 흰색 도자기에 파란색 안료로 무늬를 꾸미는 방법; 백자에 사용한 기법마. 박지: 백토로 덮은 뒤 문양을 그리고 그 외 부분을 긁어내는 기법바. 인화: 도장을 표면에 찍고 백토를 메우는 기법사. 조화: 원하는 무늬를 긁어 새기는 기법 //박지 기법과 조화 기법의 차이 숙지하기 참고그외 무늬가 튀어나오도록 새기면 양각, 무늬가 들어가도록 새기면 음각, 구멍을 뚫어 무늬만 남기면 투각이라고 부릅니다. 2. 도자기에 이름 붙이는.. 2024. 10. 2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