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심보감 해석연습장 #18~20 언어편 교우편 부행편 言不中理면 不如不言이니라해석 말이 이치에 맞지 않으면 말하지 아니함만 못한다. 一言不中이면 千語無用이니라해석 한 마디 말이 사리에 맞지 않으면 천 마디 말이 쓸모없다. 口舌者는 禍患之門이요 滅身之斧也이니라해석 입과 혀는 화해와 우환의 문이고, 몸을 망치는 도끼와 같다. 利人之言은 煖如綿絮하고 傷人之語는 利如荊棘하야 一言半句 重値千金이요 一語傷人에 痛如刀割이니라해석 사람을 이롭게 하는 말은 따뜻함이 솜과 같고 사람을 상하게 하는 말은 날카로움이 가시 같아서 한 마디 말이 사람을 이롭게 함은 무겁기가 천금과 같고 한 마디 말이 사람을 다치게 함은 아프기가 칼로 베는 것과 같다. 口是傷人斧요 言是割舌刀니 閉口深藏舌이면 安身處處牢니라해석 입은 사람을 해치는 도끼와 같고 말은 혀를 베는 칼과 같으니 입을 막고 혀.. 2024. 9. 30.
명심보감 원문 해석 - 20. 부행편 명심보감 원문 해석계선편천명편순명편효행편정기편안분편존심편계성편근학편훈자편성심편(상)성심편(하)입교편치정편치가편안의편존심편언어편교우편부행편증보편팔반가효행편2염의편근학편    益智書에 云 女有四德之譽하니 一曰婦德이요 二曰婦容이요 三曰婦言이요 四曰婦工也니라 해석  익지서에 이르길, 여자는 네 가지 덕의 기리는 것이 있으니, 첫째는 부덕을 말하고, 둘째는 부용을 말하고, 세째는 부언을 말하며, 네째는 부공을 말한다고 하였다.    婦德者는 不必才名絶異요 婦容者는 不必顔色美麗요 婦言者는 不必辯口利詞요 婦工者는 不必技巧過人也니라 해석  부덕이라는 것은 반드시 재주와 이름이 뛰어남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부용이라는 것은 반드시 얼굴이 아름답고 고움을 말하는 것이 아니며, 부언이라는 것은 반드시 말솜씨가 좋고 말 잘하.. 2024. 6.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