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등임용 대비) 2022 실과 성격 및 목표 빈칸연습 2022 실과 교육과정 - 성격 및 목표가. 성격참고 2022개정 실과 영역명 복습하기: 인간 발달과 주도적 삶, 생활환경과 지속가능한 선택, 기술적 문제해결과 혁신, 지속가능한 기술과 융합, 디지털 사회와 인공지능 실과(기술/가정)의 '인간 발달과 주도적 삶', '생활환경과 지속가능한 선택' 영역은 개인과 가족이 일상생활에서 가족은 물론 친구 및 이웃을 비롯한 다양한 수준의 생활환경과 건강한 관계를 형성하여 삶을 주도해 가는데 필요한 생활역량 함양을 지향 최근의 예측 불가능한 사회 및 생태환경의 변화가 '좋은 삶'의 기초가 되는 일상생활을 위협하였지만, 오히려 자립적 생활인으로의 자기 관리와 매일의 일상을 공유하는 가족 및 생활환경과 건강한 관계 형성이 인간 삶의 행복의 기초임을 성찰하도록 함 이에 학.. 2024. 11. 29.
2015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빈칸 - 성격 • 사회과는 학생들이 사회생활에 필요한 지식과 기능을 익혀 이를 토대로 (1)사회현상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2)민주 사회 구성원에게 요구되는 가치와 태도를 지님으로써 민주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갖추도록 하는 교과 •  사회과에서 육성하고자 하는 민주 시민 -> 사회현상을 이해하고 사회생활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지식의 습득을 바탕으로 (1)인권 존중, (2)관용과 타협의 정신, (3)사회 정의의 실현, (4)공동체 의식, (5)참여와 책임 의식 등의 민주적 가치와 태도를 함양하고, 나아가 개인적, 사회적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길러 개인의 발전은 물론, 사회, 국가, 인류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자질을 갖춘 사람 •  사회과는 지리, 역사 및 제 사회과학의 개념과 원리, 사회 제도와 문화, 사.. 2024. 10. 6.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1) : 성격 | 같이 보면 좋은 글 -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배경, 수학 교과 역량 | 목차 I. 수학과의 의미 II. 수학과의 의의 III. 수학과 교육과정의 영역 IV. 초등수학의 중요성 V. 수학에서 배워야 할 것 VI. 수학 교육의 기대효과 (참고문헌 : 수학과 교육과정(2015), 교육부) | 수학과의 성격 I. 수학과의 의미 수학과는 다음 6가지를 배우는(기르는) 교과이다. (1) 수학의 개념, 원리, 법칙을 이해 (2) 수학의 기능 습득 (3) 주변의 여러 현상을 관찰하고 해석 // 추론의 '관찰과 추측' 정보처리의 '정보의 해석 및 활용'과 관련 (4) 논리적으로 사고 // 추론의 '논리적 절차 수행'과 관련 (5) 합리적 문제 해결 능력 // 문제 해결 역량 (6) 태도 수학과는 (1)수학의 개념, .. 2020. 7.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