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자 공부/명심보감

명심보감 원문 해석 - 4. 효행편

by 온암 2024. 6. 9.

온암의 생각상자

명심보감 원문 해석
계선편 천명편 순명편 효행편 정기편
안분편 존심편 계성편 근학편 훈자편
성심편(상) 성심편(하) 입교편 치정편 치가편
안의편 존심편 언어편 교우편 부행편
증보편 팔반가 효행편2 염의편 근학편

 

 

時曰 父兮生我하시고 母兮鞫我하시니 哀哀父母 生我삿다 欲報深恩인대 昊天罔極이로다

 

해석 시경에 이르길, 아버지는 나를 낳으시고 어머니는 나를 기르시니 애달프다, 부모님이시어! 나를 낳아 기르시느라 애쓰고 수고하시었다. 그 깊은 은혜를 갚고자 한다면 넓은 하늘도 끝이 없네라 하였다.

참고 鞠(=鞫):기를 국, 昊:하늘 호 

 

 

子曰 孝子之事親也 居則致其敬하고 養則致其樂하고 病則致其憂하고 喪則致其哀하고 祭則致其嚴이니라

 

해석 공자가 말하길, 효자의 부모 섬기기란 거함에는 그 공경함을 다하고 봉양함에는 그 즐거움을 다하고, 병이 드시면 그 근심을 다하고 상중에는 그 슬픔을 다하고 제사에는 그 엄숙함을 다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참고 親은 부모를 예절을 갖추어 모신다는 의미

 

 

子曰 父母在어시든 不遠遊하며 遊必有方이니라

 

해석 공자가 말하길, 부모가 살아계시거든 멀리 떨어져 놀지 마라. 놀 때에는 반드시 방향이 있어야 한다라고 하였다.

 

 

子曰 父命召어시든 唯而不諾하고 食在口則吐之니라

 

해석 공자가 말하길 아버지께서 명하여 부르시거든 즉시 대답하여 꾸물거리지 말아야한다. 음식이 입에 있다면 즉시 뱉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참고 唯는 대답하는 소리, 諾은 우물쭈물거린다는 의미

 

 

太公 孝於親이면 子亦孝之하나니 身旣不孝 子何孝焉이리오

 

해석 태공이 말하길, 부모에게 효도하면 자식 또한 효도하니, 자신이 이미 효도하지 않았다면 자식이 어찌 효도하겠는가라고 하였다.

 

 

孝順 還生孝順子 還生忤逆子하나니 不信커든 但看頭水하라 點點滴滴不差移니라

 

해석 효순은 효순한 자식을 도로 낳는 것이요 거스르고 거역하는 사람은 거스르고 거역하는 자식을 도로 낳는 것이다. 믿을 수 없거든 다만 저 처마의 물을 보라. 방울져 떨어짐에 어긋남이 없으니라.

참고 簷은 '처마 첨'입니다.

참고 還이 부사로 쓰이면 '도리어'로 해석합니다.

 

 

 

📚 복습 퀴즈

* 다음을 국역하시오.

 子曰 孝子之事親也에 居則致其敬하고 養則致其樂하고 病則致其憂하고 喪則致其哀하고 祭則致其嚴이니라

답: 거함에는 그 공경함을 다하고 봉양함에는 그 즐거움을 다하고

 

* 子曰 父命__어시든 唯而不諾하고 食在口則__ 之니라

답: 召, 吐

* 孝順은 __生孝順子요 五逆은 __生五逆子하나니

답: 還, 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