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자 공부/명심보감

명심보감 원문 해석 - 1. 계선편

by 온암 2024. 6. 6.

온암의 생각상자

명심보감 원문 해석
계선편 천명편 순명편 효행편 정기편
안분편 존심편 계성편 근학편 훈자편
성심편(상) 성심편(하) 입교편 치정편 치가편
안의편 존심편 언어편 교우편 부행편
증보편 팔반가 효행편2 염의편 근학편

 

子曰 爲善者天報之以福하고 爲不善者天報之爲禍니라

 

해석  공자가 말하길, 착한 일을 행하는 자에게는 하늘이 복으로써 보답하고 착하지 아니한 일을 하는 자에게는 하늘이 재앙으로서 갚는다고 하였다.

 

 

 

漢昭烈 將終 後主曰勿以善小而不爲하고 勿以惡小而爲之하라

 

해석  한나라의 소열황제가 죽을 때 후주에게 조칙을 내려 말하길, 선이 작다 하더라도 행하지 않으면 안 되고 악이 작다 하더라도 그것을 행해서는 안 된다고 하였다.

참고  操飭(조칙)을 의미합니다. 어떤 것을 경계하여 삼감을 뜻합니다.

 

 

 

3. 莊子曰 一日不念善이면 諸惡 皆自起니라

 

해석  장자가 말하길, 하루라도 착한 일을 생각하지 않으면 모든 악한 일이 저절로 일어난다고 하였다.

참고  一日不~은 "하루라도 ~을 하지 않으면..."을 의미합니다.

 

 

 

太公曰 見善如渴하고 聞惡如聾하라 又曰 善事 須貪하고 惡事 莫樂하라

 

해석  태공이 말하길, 착한 일을 보거든 목마를 때 물을 본 것 같이 하며 악한 일을 보거든 귀가 먼 것 같이 하라. 또 말하기를 착한 일이란 모름지기 탐내어 하고 악한 일이란 즐겨하지 말라.

 

 

 

馬援曰 終身行善이라도 善猶不足이요 一日行惡이라도 惡者猶餘니라.

 

해석  마원이 말하기를 평생 착한 일을 하더라도 착한 것은 오히려 부족하고 하루라도 악한 일을 행하더라도 악한 일은 오히려 남는다고 하였다.

참고  終身(종신)은 '한평생'을 의미합니다.

 

 

 

6. 司馬溫公 積金以遺子孫이라도 未必子孫 能盡守 積書以遺子孫 이라도 未必子孫 能盡讀이니 不如積陰德於冥冥之中하야 以爲子孫之計也니라

 

해석  사마온 공이 말하기를 돈을 모아 자손에게 남겨준다 하더라도 자손이 반드시 모두 지킨다고 볼 수 없으며, 책을 모아 자손에게 남겨준다 하더라도 자손이 반드시 모두 다 읽는다고 볼 수도 없다. 남이 모르는 가운데 덕을 쌓아 자손을 위한 계획을 세우는 것만 같지 못한다

참고  不如는 '~만 같지 못한다'는 의미입니다. 陰德(음덕)은 '남에게 알려지지 않은 덕행'을 의미합니다.

 

 

 

景行錄 恩義 廣施하라 人生何處不相逢이니 讐怨 莫結하라 路逢狹處 難回避니라.

 

해석  <경행록>에 이르길 은헤와 의미를 널리 베풀라, 인생은 어느 곳이든지 서로 만나지 않겠는가? 원수와 원한을 맺지 말라. 길이 좁은 곳에서 만나면 피하기 어렵다.

참고  何~ 不...?: 어느 ~든지 ...하지 않겠는가?

 

 

 

莊子曰 於我善者 我亦善之하고 於我惡者 我亦善之니라 我旣於人 無惡이면 人能於我 無惡哉인저

 

해석  장자가 말하기를 나에게 착한 일을 하는 자에게도 나 또한 착하게 하고 나에게 악한 일을 하는 자에게도 나 또한 착하게 할 것이다. 내가 이미 남에게 악하지 아니하였다면 남은 나에게 악하게 할 수 없을 것이다.

참고  人은 '누군가', '남'을 의미합니다.

 

 

 

9. 東岳聖帝垂訓 一日行善이라도 福雖未至 禍者遠矣 一日行惡이라도 禍雖未至 福者遠矣 行善之人 如春園之草하여 不見其長이라도 日有所增하고 行惡之人 如磨刀之石하여 不見其損이라도 日有所虧니라

 

해석  동악성제가 훈계를 내려 말하기를 하루 착한 일을 행하더라도 비록 복은 당장 이르지 아니하나 재앙(화)는 멀어지고, 하루 악한 일을 행하더라도 비록 재앙(화)는 당장 이르지 아니하나 복은 멀어지니 선을 행하는 사람은 봄 동산의 풀과 같아서 그 자라남이 보이지 않으나 날로 더해지는 바가 있고 악함을 행하는 사람은 칼을 카는 숫돌과 같아서 그 닳음이 보이지 않더라도 날로 이지러지는 바가 있다.

참고  虧(이지러질 휴)는 '이지러지다', '줄어들다'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10. 子曰 見善如不及하고 見不善如探湯하라

 

해석  공자가 말하길, 착한 것을 보거든 그에 미치지 못함 같이 하고, 악한 것을 보거든 뜨거운 물을 만지는 것 같이 하라고 하였다.

참고  探은 '만지다'라는 의미입니다.

 

 

 

복습 퀴즈

* 太公曰 見善如__하고 聞惡如__하라 又曰 善事란 須貪하고 惡事란 莫樂하라

답: 渴, 聾

* 다음 밑줄 친 부분을 국역하시오.

景行錄에  恩義를 廣施하라 人生何處不相逢이니 

답: 인생은 어느 곳이든지 서로 만나지 않겠는가?

* 行善之人은 如春園之__하여 不見其長이라도 日有所增하고 行惡之人은 如磨刀之石하여 不見其__이라도 日有所虧니라.

답: 草, 損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