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 도덕과 교육과정] 2. 성격 및 목표 | 초등임용 대비 온라인암기장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 2) 성격 및 목표 가. 성격 * 도덕 교과는 학생들이 도덕성을 함양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나은 삶과 사회를 지향하게 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교과 * 도덕성은 사회 규범으로서 도덕과 각 개인의 내면에서 작동하는 도덕성 사이의 긴장과 갈등, 조화의 과정과 결과로 구체화 → 도덕성 함양을 위해서는 (1)도덕 현상에 관한 탐구와 (2)내면의 도덕성에 관한 성찰, (3)일상의 실천이라는 도덕적 지식과 실천의 연계 과정이 지니는 세 구성요소가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으로 포함되어야 함 //도덕적 지식과 실천의 연계과정 세 요소? * 도덕적 지식과 실천의 연계 과정 기반 (1) 도: 인간으로서 지향해야 하는 가치 (2) 덕: 그 도에 이르고자 하는 실천 역량 (3) 도와 덕을 바탕으로.. 2024. 2. 14.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 1) 교육과정 설계의 개요 / 초등임용 온라인암기장 2022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 교육과정 설계의 개요 참고 본 온라인암기장은 문답개조식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원문과 함께 공부하시길 권장합니다. 주요 키워드 도덕과 교육과정의 목적, 도덕과 역량, 내용영역 설정 기준,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서의 변경사항, 핵심 아이디어, 내용 체계 범주별 주안점 ○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의 목적? >> 총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인간상인 포용성과 창의성을 갖춘 주도적인 사람을 가치와 도덕의 차원에서 뒷받침함 ○ (A)와(과) (B)은(는) 도덕과 교육과정이 목표로 하는 ‘도덕적인 인간’이 지니고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도덕성의 핵심적인 요소 >> (A):포용성, (B):주도성 ○ (C)에는 도덕적 상상력의 함양을 통해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D)은(는).. 2024. 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