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심보감 해석 연습장 #13-14 입교편 치정편 立身有義而 孝其本이요 喪祀有禮而 哀爲本이오 戰陣有列而 勇爲本이요 治政有理而 農爲本이요 居國有道而 嗣爲本이요 生財有時而 力爲本이니라해석 입신하는 데 의가 있으니 효도가 그 근본이요, 상사에 예가 있으니 슬퍼함이 그 근본이요, 전쟁에 항렬이 있으니 용맹이 그 근본이 된다. 정사를 다스리는 데 이치가 있으니 농사가 그 근본이 되고, 나라를 다스리는데 도리가 있으니 후사가 그 근본이 되며, 재물은 불리는 데 시기가 있으니 노력이 그 근본이 된다. 爲政之要는 日公與淸이요 成家之道는 日儉與勤이라해석 정사를 다스리는데 요점은 공평하고 청렴함이요, 집안을 일으키는 방도는 검소와 근면이다. 讀書는 起家之本이요 循理는 保家之本이요 勤儉은 治家之本이요 和順은 齊家之本이니라해석 글을 읽는 것은 집을 일으키는 근본이요, 이치에.. 2024. 9. 28.
명심보감 원문 해석 - 15. 치가편 명심보감 원문 해석계선편천명편순명편효행편정기편안분편존심편계성편근학편훈자편성심편(상)성심편(하)입교편치정편치가편안의편존심편언어편교우편부행편증보편팔반가효행편2염의편근학편  司馬溫公이 曰 凡諸卑幼事無大小이요 毋得專行하고 必咨稟於家長이니 해석  사마온공이 말하길, 무릇 손아래 사람들은 일의 크고 작음이 없이 제멋대로 행동하지 말고 반드시 집안 어른께 여쭈어 보고서 해야 한다고 하였다.   待客에 不得不豊이요 治家에 不得不儉이니 해석  손님 접대는 풍성하게 하지 않을 수 없고 살림살이는 검소하지 않을 수 없으니   太公이 曰 痴人은 畏婦고 賢女는 敬夫니 해석  태공이 말하길, 어리석은 사람은 아내를 두려워하고 어진 여자는 남편을 공경한다고 하였다.   奴僕에 先念飢寒이니 해석  무릇 노복을 부리는데는 먼저 그들의.. 2024. 6. 20.
명심보감 원문 해석 - 14. 치정편 명심보감 원문 해석계선편천명편순명편효행편정기편안분편존심편계성편근학편훈자편성심편(상)성심편(하)입교편치정편치가편안의편존심편언어편교우편부행편증보편팔반가효행편2염의편근학편  明道先生이 曰 一命之士 苟 有存心於愛物이면 於人에 必有所濟니라 해석  명도선생이 말하길, 처음으로 벼슬을 얻는 사람이라도 진실로 물건을 사랑하는데 마음을 쓴다면 남에게 반드시 도움을 받는 바가 있다고 하였다.참고  於人는 ‘남에게’로 해석합니다.   唐太宗御製에 云 上有麾之하고 中有乘之하고 下有附之하여 해석  당태종어제에 이르길, 위에는 지시하는 이가 있고 중간에는 그것에 의하여 다스리는 관원이 있고 그 아래에는 그것에 따르는 백성이 있다.참고  麾: 대장기 휘   幣帛衣之요 倉稟食之하니 爾俸爾祿이 民膏民脂니라 下民은 易虐이어니와 上蒼은 .. 2024. 6.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