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후삼국의 등장과 고려의 통일 후삼국의 등장과 고려의 통일불안정한 후기 통일 신라• 호족의 등장: 지방 세력의 힘이 커지면서 독자적인 군사력과 행정력을 행사하는 호족이 등장함 //호족 출신인 견훤이 후백제를 건국• 호족은 불교 사상 중 선종을 받아들여 성장함• 경덕왕 시기(757) 녹읍이 부활하고 왕권이 약화함• 혜공왕(780)이 반란 중 피살당함참고 혜공왕이 난 중에 피살되다夏四月, 上大䓁金良相與伊飡敬信擧兵, 誅志貞䓁, 王與后妃, 爲亂兵所害. 良相䓁謚王爲惠恭.- [삼국사기]해석) 여름 4월, 상대등 김양상이 이찬 경신(원성왕)과 함께 군사를 일으켜 (김)지정 등을 죽였으나 왕과 왕비가 반란군에게 죽임을 당하였다. 김양상 등이 왕의 시호를 혜공이라 지었다. * 爲...所~: ...에게 ~를 당하다 ** 원문을 통해 원성왕이 혜공왕 다.. 2024. 11. 15.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발해 요점정리 통일 신라, 발해의 주요 왕과 업적 통일 신라의 주요 왕과 업적/사건• 태종 무열왕: 648년 진덕여왕 시기 나/당 동맹을 결성함, 진골 출신 첫 왕• 문무왕: 매소성/기벌포 전투에서 승리하여 당나라를 몰아내고 삼국을 통일함• 신문왕    (1) 진골 세력 견제: 김흠돌의 난을 진압함, 녹읍을 폐지하고 관료전을 지급함, 상수리 제도 //지방 귀족 세력 인원을 수도에서 근무하게 한 제도     (2) 집사부를 두어 중앙 행정 조직을 정비함 //집사부의 장관인 시중(중시)의 권한이 강해짐    (3) 9주(지금의 '도'와 비슷한 행정 기능) 5소경(지금의 광역시와 비슷한 기능; 지방 발전에 기여)을 두어 지방 행정 조직을 정비함    (4) 국학을 세워 인재를 양성하는 데 힘씀    (5) 군사 조직으로 9.. 2024. 11. 14.
가야의 등장과 멸망 가야의 등장과 멸망 금관가야(전기 가야 연맹)•전기 가야 연맹의 중심지 기능을 함•수로왕이 가야를 세운 것으로 전해짐•현재의 김해 지역으로, 철을 많이 생산하여 낙랑/왜 등에 수출함•고구려 광개토태왕의 공격으로 세력이 약화 → 대가야로 중심지가 이동 //세력이 약화한 것이지 금관가야가 멸망한 것은 아님!•신라 법흥왕 시기 멸망관련 문화유산(유물) 철제 판금옷 대가야(후기 가야 연맹)•현재의 고령 지역으로, 금관가야가 쇠퇴하자 후기 가야 연맹의 중심지로 기능 //고령 지역이 김해에서 서북쪽(내륙 방향)에 위치•신라 진흥왕 시기에 멸망 //진흥왕이 이사부에게 명령하여 대가야 공격 명령참고 가야가 토기 기술을 전파하며 일본 스에키 토기에 영향 퀴즈로 복습하기1. 금관가야는 현재의 (?)지역, 대가야는 현재의 .. 2024. 11. 13.
백제/고구려의 멸망과 신라의 통일 과정 고구려/백제의 멸망과 신라의 통일과정참고 사료는 한국사데이터베이스(https://db.history.go.kr/)자료를 활용하였습니다. 고구려 후기 흐름 • 수나라와의 전쟁      (1) 수 문제가 30만 대군을 이끌고 고구려를 침입하였으나 실패      (2) 수 양제가 113만 대군을 이끌고 고구려를 2차 침입 → 을지문덕의 살수대첩 //지금의 청천강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큰 승리를 거둠 • 당나라와의 전쟁      (1) 연개소문이 정변을 일으켜 권력을 쥠      (2) 당 태종이 고구려를 침입, 고구려가 안시성에서 승리를 거둠 //안시성 전투(645)참고안시성에서 당나라 군대에 맞서 싸우다(645)安市人望見帝旗蓋, 輙乘城鼓噪. 帝怒, 世勣請克城之日, 男子皆坑之. 安市人聞之, 益堅守, 攻久不下 -.. 2024. 11. 12.
신라 왕별 업적 정리 (통일신라 전까지) 신라 주요 왕과 업적고구려, 백제에 이어 신라의 주요 왕과 업적을 살펴봅시다. 아울러 신라의 사회문화사도 정리해봅시다. 초기 (?~356) • 거서간(박혁거세) • 차차웅: 무당이라는 뜻을 가짐 • 이사금: 연장자라는 뜻을 가짐; 박씨, 석씨, 김씨가 돌아가며 이사금을 뽑음 내물 마립간 (356~402) • 마립간 칭호을 사용함 • 고구려에게 도움을 요청하여 왜를 물리침 //이때 고구려의 왕? 광개토 태왕관련 문화유산(유물) 호우명 그릇 지증왕 (500~514) • 국호를 신라로 정함 • 마립간에서 왕으로 칭호를 바꿈 • 우경(소를 이용하여 짓는 농사)을 장려하여 농업 발전에 기여함 • 이사부가 우산국을 정복하여 울릉도 지역을 복속시킴 • 시장을 감독하기 위해 동시전을 설치함 • 순장을 금지함 법흥왕.. 2024. 11. 11.
[한국사 서브노트] 백제 주요 왕과 업적, 백제의 사회/문화사 백제 주요 왕과 업적 고이왕 (234~286) •목지국 지역을 장악하며 한강 유역을 차지함 •6좌평(관직을 성격에 따라 6가지로 분류), 16관등제를 설치함 •관리의 공복을 제정함 •율령을 반포하여 내정을 정비함 근초고왕 (346~375) - 백제의 전성기 •왕위를 부자가 상속하도록 함 •마한 지역을 정복하고 평양성을 공격하여 고구려 고국원왕을 전사시킴 •박사 고흥에게 역사서 서기를 편찬하게 함참고 삼국의 역사서: 고구려-신집(영양왕), 백제-서기(근초고왕), 신라-국사(진흥왕) 침류왕 (384~385) •동진에서 온 마라난타를 통해 불교를 받아들임 개로왕 (455~475) •북위에 서신을 보내 고구려 공격을 요청함 •장수왕의 공격으로 수도인 한성이 함락함 문주왕 (475~477) •수도를 한성에서 웅진.. 2024. 11.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