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암의 생각상자
<살펴보아야 할 문제>
1. 배려 윤리와 정의 윤리는 도덕 교육과정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을까?
2. 콜버그의 주장에 대해 길리건은 어떻게 반박할 수 있을까? (길리건의 주장에 대해 콜버그는 어떻게 반박할 수 있을까?)
3. 콜버그의
가. 정의 윤리
콜버그의 정의 윤리는 개인이 분리된 존재임을 규정한다.
도덕 명령은 '정의'에서 비롯하고, 도덕적 문제는 권리 충돌로 발생한다.
콜버그의 철학은 합리와 보편성을 지향한다.
- [참고] 도덕적 판단은 곧 합리성에 기반한다.
- [참고] 콜버그가 주장한 심층적 질문 중 '보편적인 결과 고려해보기 질문'이 있음
나. 배려 윤리
길리건의 배려 윤리는 개인이 타인과의 관계 속에 연결되어있다고 규정한다.
도덕 명령은 비폭력적 배려와 책임에서 비롯하고, 도덕적 문제는 관계에 대한 위협에서 발생한다.
길리건의 철학은 상황적 상대주의다. 콜버그는 보편성에 근거하여 일관된 논리를 적용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길리건은 타인과의 관계를 중시하였다. 사람에 따라 관계의 경중은 달라지기 마련이다. 따라서 상황에 따라 도덕적 딜레마에 대한 태도가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상황적 상대주의는 자연스럽게 귀납적 사고와 연결된다.
다. 콜버그와 길리건의 도덕성 발달 단계
1) 콜버그의 3수준 6단계(전기 이론)
- 3수준 : 인습 이전 수준, 인습 수준, 인습 이후 수준
- 6단계 : 처벌과 복종 정향, 도구적 상대주의 정향, 착한 아이 정향, 사회 유지의 정향, 사회 계약적 정향, 보편적/윤리적 정향
- 처벌과 복종 정향 : 혼나지 않으려고, 자신이 피해를 입지 않으려고 도덕적 행동을 한다.
- 도구적 상대주의 정향 : 타인과 자신이 이익을 주고받는데 초점을 둔다. 나에게 이익이 되는 행동은 좋은 행동이다.
- 착한 아이 정향 : 다른 사람에게 좋은 인상을 심어주는 데 초점을 둔다. 좋은 행동을 하는 까닭은 다른 사람들이 긍정적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 사회 유지의 정향 :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행동을 하려고 한다. 사회 구성원으로서 법과 질서를 지키려고 노력한다.
- 사회 계약적 정향 : 법은 사회적 계약에 의한 것이다. 불가피한 경우 법과 규칙에 유연하게 대처해야 한다.
- 보편적/윤리적 정향 : 인간의 존엄적 가치/정의에 따라 행동한다. 사회의 법보다는 자신의 윤리적 원칙에 따라 행동한다.
2) 길리건의 배려 도덕성 발달 단계
- 1단계 : 자기생존과 이기성
- 1~2단계(과도기) : 이기심 -> 책임감
- 2단계 : 책임과 자기 희생
- 2~3단계(과도기) : 동조 -> 새로운 내적 판단
- 3단계 : 비폭력적 배려와 책임
'기타 공부 > 초등임용 공부했던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월 18일 오답노트 (0) | 2021.06.18 |
---|---|
여러 지역의 국악 문화재 (1) | 2021.06.18 |
[교육과정] 사회 내용체계 영역+핵심개념 (4) | 2021.06.10 |
[교육과정] 사회 뒷교 (0) | 2021.06.10 |
[교육과정] 국어 문학 영역 내체표 (0) | 2021.06.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