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공부/초등임용 공부했던 자료

D-23) 10월 21일 오답노트

by 온암 2021. 10. 21.

온암의 생각상자

[2003도] 도덕적 대인관계 능력: 의사소통 과정에서 타인의 도덕적 요구 인식 및 수용과 이상적인 의사소통 공동체를 지향하면서 타인과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것

* 주의) 도덕적 공동체의식은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소속감'이 키워드임

 

[2020수] (소수)÷(자연수) 지도: 자연수의 나눗셈을 이용하여 소수의 나눗셈 몫 구하기

ⓐ 소수 한 자리 수 나누기 자연수: cm를 mm로 단위변환

ⓑ 소수 두 자리 수 나누기 자연수: m를 cm로 단위변환

 

[2029체] 하키형 게임에서 수비수가 가까이 있을 때에는 숏드리블을 사용한다.

 

[2037슬] [2슬08-03] 동식물의 겨울나기 모습을 살펴보고, 좋아하는 동물의 특성을 탐구한다.

 

[2060음] 수제천은 두 개의 향피리와 대금, 해금, 북, 장구로 연주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근래에는 소금, 아쟁, 박을 덧붙여 연주하기도 한다.

 

[2085수] 한 단위 전략으로 비례배분하기

ⓐ 10을 3:2로 비례배분할 때 5단위가 10이므로 1단위는 2이다.

ⓑ 3단위 대 2단위로 비례배분하면 6:4

 

[2089국] 인사말을 지도할 떄에는 학습자가 경험할 수 있는 여러 상황을 제시하여 연습하게 하고, 생활 속에서 인사말을 자연스럽게 주고받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도한다.

 

[2091체] 족구형 게임의 흐름: 서브-리시브-토스-

 

[2120체] 텐트 세우기: 버팀대를 연결하여 텐트 모양을 고정시켜 세운다.

 

[2130체] 옆으로 나란히 뛰기: 두 사람이 어꺠동무를 하고 줄넘기를 넘는다.

 

[2222음] 지휘 > 큐 사인은 왼손으로 한다.

 

[2223과] 과학 수업 모형을 학습자 중심형과 학습자 지원형으로 나누는 기준: 학습목표의 달성 가능성

 

[2267국]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을 평가할 때에는 참신성과 개성은 물론 공감의 폭을 중요하게 고려한다.

 

[2304국] 존슨과 피어슨의 질문 유형: 명시적 질문, 암시적 질문, 함축적 질문

 

[2318국] 문학 작품의 아름다움은 가치 있는 내용에서도 언어 표현의 참신성이나 함축성에서도 생성된다는 점을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둔다.

 

[2335수] 뺄셈 상황 중 동치 상황: 얼마까지 더하기를 사용한다.

* 뺄셈 상황: 제거, 비교, 동치

[2346총] 다양한 문화 활동을 즐기고 자연과 생활 속에서 아름다움과 행복을 느낄 수 있는 심성을 기른다.

 

[2361체] 육상의 필드 경기 중 뜀뛰기는 도약 경기에 해당한다.

 

[2369국] 글씨 쓰기 지도 체계

ⓐ 준비 단계: 집필 자세

ⓑ 학습 단계: 낱자 쓰기(필순, 모양, 간격)/글자 쓰기(자형, 간격)/문장 쓰기

ⓒ 확장 단계: 일반 정서

 

[2434국] 추론하며 듣기

ⓐ 드러나지 않은 화자의 의도나 관점을 생각하며 듣는다.

ⓑ 생략된 내용을 짐작하며 듣는다.

 

[2470국] [6국03-01] 쓰기는 절차에 따라 의미를 구성하고 표현하는 과정임을 이해하고 글을 쓴다.

 

[2473음] 보허사 악기: 거문고, 가야금, 양금, 장구

 

[2533영] TBLT: learners learn by interacting communicatively and purposefully.

 

[2538국] 설명하는 글을 쓸 때에는 추측하는 말이나 주장하는 말은 어울리지 않는다.

 

[2567체] 다양한 영상 자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안전사고의 예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안전의식을 높일 수 있도록 지도한다.

 

[2631국] 읽기 오류 중 '삭제': 있는 것을 빠뜨리고 읽는 것

 

[2642과] [4과17-01] 물이 이동하거나 상태가 변하면서 순환하는 과정을 생명체, 지표면, 공기 사이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현상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2659음] 종묘제례악에서 노래를 악장이라고 한다.

 

[2694수] 추론 능력의 하위 요소

- 관찰과 추측: 관찰과 탐구 상황에서 귀납, 유추 등의 개연적 추론을 하여 수학적 사실을 추측하는 능력

 

[2718사] 뱅크스 합리적의사결정학습모형의 '가치 탐구'의 하위 단계
가치 문제 및 갈등 확인

대안의 검토와 결과 예측

가치 선택

 

[2738국] 낱말의 짜임을 알면 좋은 점 중: 낱말을 어떻게 만들었는지 이해할 수 있다. 

 

[2742국] 바른 자세로 말하기를 지도할 때에는 말하기 자세와 관련된 매체 자료를 활용하여 바른 자세, 자신 있게 말하기의 특징을 파악하도록 한다.

* 기능: 자료 매체 활용하기

 

[2744영] intercultural competence

attitude

knowledge

skills of interpreting and relating

skills of discovery and interaction

critical cultural consciousness

 

[2752음] 텅잉으로 소리 내기: 혀끝을 앞 윗니 뒤쪽에 가볍게 댄다.

 

[2756영] 수업시간 중에 학습자에게 교사가 하는 질문에 대한 학습자의 응답, 학습자의 소집단 활동과 짝 활동을 통한 과업 수행 여부에 대한 관찰 등의 형성평가를 통해서 교수학습방법이 적절한지를 확인하고 교수학습 개선에 활용한다.

 

[2782영] 성취기준: 일상생활 속 친숙한 주제에 관해 간단히 묻거나 답할 수 있다.

ⓐ 물건 사기, 음식 주문하기(buying, ordering)

ⓑ 영어문화권과 타문화권의 화폐(currency)의 종류를 소개하는 활동

 

[2787사] [4사04-04] 우리 지역과 다른 지역의 물자 교환교류 사례를 조사하여, 지역간 경제활동이 밀접하게 관련되어있음을 탐구한다.

 

[2794영] 간단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내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인물, 행동, 장소, 시간, 감정 등 세부 정보를 파악하도록 한다.

* character, behavior, place, time, feeling

 

[2800국] 토의토론 학습모형

- 절차: 주제 확인하기 - 토의토론 준비하기 - 토의토론하기 - 정리 및 평가하기

 

[2819음] 북의 구음

ⓐ : 복판을 길거나 강하게 친다.

: 복판을 짧거나 약하게 친다.

 

[2828과] 비생물 환경 요인: 빛, 온도, 물

 

[2839국] 읽기 경험과 느낌을 다른 사람과 나누는 태도를 평가할 때에는 교과 수업에서뿐만 아니라 평소에도 읽기 경험을 공유하는지 관찰하여 형식적이고 일회적인 평가가 되지 않도록 유의한다. 

* 기능: 독서 경험 공유하기

 

[2859도] 합리적 의사결정 수업 모형

ⓐ 도덕적 문제 사태의 제시와 분석

ⓑ 관련 규범 확인 및 그 의미와 타당성 파악

여러 대안의 설정과 각 대안의 결과 검토

ⓓ 대안의 선택 및 정당화

ⓔ 대안 선택의 수정 및 잠정적 의사 결정

 

[2865수] 수직적 수학화는 수평적 수학화로 조직한 수학적 본질을 형식화하고 기호화한다.

 

[2943도] 실천 체험 학습 활동의 실행
- 학생들이 피상적으로 가치 규범을 익히지 않고, 도덕적 행동을 몸에 익히고 실천 성향을 높이도록 수업을 구상해야 한다.

 

[2946국] 회의 절차: 개회-주제선정-주제토의-표결-결과발표-폐회

 

[2991국] [4국01-06] 예의를 지켜 듣고 말하는 태도를 지닌다.

- 문자 메시지를 주고받거나 인터넷상에서 의사소통할 때 다른 사람의 기분과 입장을 이해할 수 있도록 매체 언어 예절을 포함하여 지도한다.

 

[2996즐] 즐거운 생활과는 일상생활에 필욯나 기초적인 표현 능력을 기르고 아름다움에 대한 경험과 신체표현 활동을 통해 문화적 소양을 지닌 사람을 기르는 데 초점이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