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암의 생각상자
[3028음] 트라이앵글 연주법
ⓐ 아랫변 가운데를 친다.
ⓑ 여린 소리를 내기 위해서는 변의 모서리가 열린 곳을 친다.
[3034수] [2수01-08] 두 자리 수의 범위에서 세 수의 덧셈과 뺄셈을 할 수 있다.
예) 13+41+6 (O)
예) 56+103+3 (X)
[3038체] 초등학교 3~4학년군의 표현 영역은 자신의 감정이나 느낌을 표현한 것을 바탕으로 그것의 수행 이유, 내용, 방법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3044국] 과정 중심 듣기 지도의 '듣기 중 단계'중 <보기>에 해당하는 단계: 비판 및 감상 단계
<보기> 이야기에서 감명 깊은 부분 찾아내기
[3070미]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사항: 서로의 작품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다양한 내용과 방법 등에 관심을 가지도록 지도한다.
[3167국] 3~4학년군 문법 영역 교수학습방법 및 유의사항: 한글의 창제 과정, 한글의 우수성을 보여주는 다양한 매체 자료를 활용하여 자연스럽게 한글을 소중히 여기는 태도를 기를 수 있게 한다.
[3203음] 포구락
ⓐ 포구문을 세워 놓고 풍류 안에 채구를 넣음
ⓑ 풍류안에 채구가 들어간 경우: 봉화가 꽃
ⓒ 풍류안에 채구가 들어가지 않은 경우: 봉필이 먹점
[3211국] 가치 탐구 학습 모형: 문제 분석하기 - 가치 확인하기 - 가치 평가하기 - 가치 일반화하기
[3239미] 교수학습방향: 정보 통신 기술과 사진, 영상, 멀티미디어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학습의 효과를 높인다.
[3256사] 한국국제협력단=KOICA; 외교통상부 산하 기관
[3287음] 경토리의 주요 장단: 세마치장단, 굿거리장단
[3328도] 도덕 이야기 수업 모형
ⓐ 도덕 이야기의 탐구 및 자신의 도덕적 경험 발표와 공유: 자기 연관이 중요한 이유는 더 진지하게 참여하고 가치에 대한 이해와 감동 그리고 내면화가 더 깊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3362국] 가치 탐구 학습 모형
ⓐ 문제 분석하기 단계
- 동기 유발
- 학습 문제 확인
- 학습의 필요성 및 중요성 확인
- 문제 상황 분석
[3375과] '~을(를) 바꾸면 어떻게 될까?'는 관찰의 유형 중 조작 관찰에 해당한다.
[3381사] 시간 인지 발달 단계
시원의식-고금/대비의식-변천의식-인과의식-시대의식
[3416도] 모범 감화형 과정
ⓐ 학습 문제 인식 및 동기 유발
ⓑ 도덕적 모범 제시 및 관련 내용 파악
ⓒ 도덕적 모범의 탐구 및 감동 감화
ⓓ 도덕적 정서 및 의지의 강화
ⓔ 정리 및 확대 적용과 실천 생활화
[3438국] 과정 중심 읽기 지도 > 추론하기 전략은 추론한 내용을 글을 통해 직접 확인이 불가능하다.
[3506국] 과정 중심 듣기 지도 > 듣기 중 활동 중 '참여 태도' 단계는 듣기 중 과정 전체에 적용될 수 있다.
[3553즐] 핵심 개념 '우리 동네'에 해당하는 내용 요소: 동네 모습 표현, 직업 놀이
[3629음] 평가 방향: 평가 계획을 구체적으로 수립하여 학년 초 또는 학기 초에 평가의 내용, 기준 및 방법을 학생에게 예고한다.
[3681음] 총괄 목표) 음악은 음악적 정서 함양 및 표현력 계발을 통해 자기 표현 능력을 신장시키고 자아정체성을 형성하며, 문화의 다원적 가치 인식을 통해 타인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소통 능력을 지닌 인재 육성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우리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세계 시민으로서 문화적 소양을 지닌 전인적 인간 육성에 이바지한다 .
[3694영] ALM> The target linguistic system will be learned throughout the patterns of the system.
[3774영] 교사언어의 기능: 인지적 기능/언어적 기능/정의적 기능
[3809음] 취타의 12박 구음
덩_덩_덩_덩쿵쿵_더러러러_
[3817국] 문제 해결 학습 모형: 학습자의 자발적인 학습 참여를 유도하고 학습자의 탐구력을 신장시키는 데 유리함
[3834사] 하우드 교사의 유형
ⓐ 공정한 의장형: 학생들과 다양한 시각을 토론하되, 교사의 의견을 말하지 않는다.
[3857국] 관심 있는 주제에 대해 자신의 의견 쓰기
ⓐ 읽기 영역의 사실과 의견 구분하기 활동과 연계
ⓑ 듣기 말하기 영역의 인과 관계를 고려한 말하기 활동과 연계
[3944음] [4음01-01], [4음01-02] 해설
- 악곡에 포함된 3~4학년 수준의 음악 요소를 활동과 연계하여 학습하면서 음악 개념을 형성하고, 특히 악곡의 특징을 살려서 노래부르거나 악기로 연주하며, 느낌을 자연스럽게 표현하고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3958국] 전문가 협동 학습 모형: 계획하기 - 탐구하기 - 서로 가르치기 - 발표 및 정리하기
[3974슬] 총괄목표) 주변의 생활 세계에 관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탐구하여 사회현상과 자연현상에 대한 이해를 넓힌다.
'기타 공부 > 초등임용 공부했던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D-23) 10월 21일 오답노트 (0) | 2021.10.21 |
---|---|
D-24) 10월 20일 오답노트 (0) | 2021.10.20 |
D-25) 10월 19일 오답노트 (0) | 2021.10.19 |
영어 성취기준 앞글자 (0) | 2021.08.27 |
[체육교육론] 무스카 무스톤의 수업 스펙트럼 (0) | 2021.06.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