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용고시 대비 온라인암기장/교과교육론&모형

음악과 평가 방법

by 온암 2024. 3. 26.

온암의 생각상자

참고 2015 음악과 교육과정, 2022 음악과 교육과정은 교육과정정보센터(ncic.re.kr)를 참고하였습니다.

음악과 평가 방법

1. 실음 지필 평가: 음악을 들려 주고 음악에 대한 지식을 적는 평가

2. 면접 평가: 음악적 요소나 개념 등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발표하는 평가

3. 관찰 평가: 학생들의 음악적 장면을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관찰하는 평가

4. 자기 평가: 어떤 주제나 영역에 대한 학습 과정이나 결과에 대한 평가 보고서를 작성/제출한 후 교사가 평가하는 방법

5. 포트폴리오 평가: 학생의 작품을 체계적으로 누적한 서류철이나 작품집을 평가하는 방법

6. 상호 평가: 학생들이 서로 평가하는 방법

7. 연구 보고서 평가: 어떤 주제를 선택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 종합한 보고서를 평가하는 방법

* 실기 평가: 표현 영역에서 사용 가능; 채점자가 주관성이 반영될 수 있으므로 주의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평가 요소

1. 표현 영역: 노래  부르기, 악기 연주하기, 음악 만들기 등 표현 활동은 (1)기능, (2)표현, (3)태도 등을 골고루 반영하여 평가 

  참고 사용할 수 있는 방법: 실기 평가, 관찰, 포트폴리오, 상호 평가/자기 평가 등 학생의 평가

2. 감상 영역: (1)음악에 대한 포괄적 이해의 정도, (2)태도

  참고 사용할 수 있는 방법: 실음 지필 평가, 관찰, 포트폴리오, 보고서, 상호 평가/자기 평가 등 학생의 평가

3. 생활화 영역: (1)학교 내외의 음악 활동에 참여하는 정도, (2)음악에 대한 태도, (3)생활화의 실천 정도

  참고 사용할 수 있는 방법: 관찰, 포트폴리오, 보고서, 상호 평가/자기 평가 등 학생의 평가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평가 요소

1. 연주 영역: 실기 평가, 관찰 평가, 포트폴리오 평가, 자기 평가, 동료 평가, 온라인 평가 등 다양한 유형의 방법을 적절히 활용하여 노래 부르기, 악기 연주하기 등의 활동에 (1)지식/이해, (2)과정/기능, (3)가치/태도 를 골고루 반영한 역량 함양 평가

2. 감상 영역: 실음 지필 평가, 보고서 평가, 포트폴리오 평가, 토의/토론 평가, 자기 평가, 동료 평가, 온라인 평가 등 다양한 유형의 방법을 적절히 활용하여 (1)음악에 대한 포괄적 이해 정도와 반응 과정, (2)음악에 대한 내면화 등을 균형 있게 반영한 역량 함양 평가

3. 창작 영역: 실기 평가, 관찰 평가, 프로젝트 평가 자기 평가, 동료 평가, 디지털 기반 평가 등 다양한 유형의 방법을 적절히 활용하여 음악 만들기, 매체 적용 창작 활동 등에 필수적인 (1)지식/이해와 (2)참여 과정, (3)주도적 소통의 정도를 종합적으로 반영한 역량 함양 평가

 

음악과 평가 방법, 음악과 교육과정 평가 요소 빈칸 연습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음악과 평가 방법과 영역별 평가 요소를 복습해봅시다.

음악과 평가 방법

1. 실음 지필 평가: 음악을 들려 주고 음악에 대한 지식을 적는 평가

2. 면접 평가: 음악적 요소나 개념 등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발표하는 평가

3. 관찰 평가: 학생들의 음악적 장면을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관찰하는 평가

4. 자기 평가: 어떤 주제나 영역에 대한 학습 과정이나 결과에 대한 평가 보고서를 작성/제출한 후 교사가 평가하는 방법

5. 포트폴리오 평가: 학생의 작품을 체계적으로 누적한 서류철이나 작품집을 평가하는 방법

6. 상호 평가: 학생들이 서로 평가하는 방법

7. 연구 보고서 평가: 어떤 주제를 선택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 종합한 보고서를 평가하는 방법

* 실기 평가: 표현 영역에서 사용 가능; 채점자가 주관성이 반영될 수 있으므로 주의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평가 요소

1. 표현 영역: 노래  부르기, 악기 연주하기, 음악 만들기 등 표현 활동은 (1)기능, (2)표현, (3)태도 등을 골고루 반영하여 평가 

2. 감상 영역: (1)음악에 관한 포괄적 이해의 정도, (2)태도

3. 생활화 영역: (1)학교 내외의 음악 활동에 참여하는 정도, (2)음악에 대한 태도, (3)생활화의 실천 정도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평가 요소

1. 연주 영역: 실기 평가, 관찰 평가, 포트폴리오 평가, 자기 평가, 동료 평가, 온라인 평가 등 다양한 유형의 방법을 적절히 활용하여 노래 부르기, 악기 연주하기 등의 활동에 (1)지식/이해, (2)과정/기능, (3)가치/태도 를 골고루 반영한 역량 함양 평가

2. 감상 영역: 실음 지필 평가, 보고서 평가, 포트폴리오 평가, 토의/토론 평가, 자기 평가, 동료 평가, 온라인 평가 등 다양한 유형의 방법을 적절히 활용하여 (1)음악에 관한 포괄적 이해 정도와 반응 과정, (2)음악에 대한 내면화 등을 균형 있게 반영한 역량 함양 평가

3. 창작 영역: 실기 평가, 관찰 평가, 프로젝트 평가 자기 평가, 동료 평가, 디지털 기반 평가 등 다양한 유형의 방법을 적절히 활용하여 음악 만들기, 매체 적용 창작 활동 등에 필수적인 (1)지식/이해와 (2)참여 과정, (3)주도적 소통의 정도를 종합적으로 반영한 역량 함양 평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