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자 공부/추구집

추구집 원문 및 해석 - DAY 10

by 온암 2024. 7. 31.
300x250
728x170

 

* 추구집-46

花紅黃蜂鬧 화홍황봉료
꽃이 붉으니 노란 벌들이 시끄럽고
草錄白馬嘶 초록백마시
풀이 푸르니 백마가 운다
山雨夜鳴竹 산우야명죽
산 비는 밤에 대나무를 울리고
草蟲秋入牀 초충추입상
풀벌레는 가을에 침상으로 기어오른다

참고 鬧: 시끄러울 료

 

 

* 추구집-47

遠水連天碧 원수연천벽
먼 곳의 물은 하늘과 이어져 푸르고
霜楓向日紅 상풍향일홍
서리 맞은 단풍은 해를 향하여 붉다
山吐孤輪月 산토고륜월
산은 외로운 둥근 달을 토하고
江含萬里風 강함만리풍
강은 만리의 바람을 머금는다

 

 

 

* 추구집-48

露凝千片玉 로응천편옥
이슬이 맺히니 천 조각의 구슬이고
菊散一叢金 국산일총금
국화가 흩어지니 한 떨기 금이다
白蝶紛紛雪 백접분분설
흰 나비는 이리저리 흩날리는 눈이고
黃鶯片片金 황앵편편금
누런 꾀꼬리는 조각조각 금이다

참고 白蝶紛紛雪과 黃鶯片片金에 쓰인 수사법은 비유법 중 '은유'에 해당합니다.

 

 

* 추구집-49

洞深花意懶 동심화의라
골 깊으니 꽃의 뜻이 게으르고
山疊水聲幽 산첩산성유
산 깊으니 물소리가 그윽하다
氷解魚初躍 빙해어초약
얼음이 녹으니 물고기가 처음 뛰어오르고
風和雁欲歸 풍화안욕귀
바람이 온화하니 기러기가 돌아가려 한다

 

 

 

* 추구집-50

林風涼不絶 임풍량부절
숲바람 시원함이 끊이지 않고
山月曉仍明 산월효잉명
산에 걸린 달 새벽에도 밝다
竹筍尖如筆 죽순첨여필
죽순은 뾰족하기가 붓끝과 같고
松葉細似針 송엽세사침
솔잎은 가늘어 바늘과 같다

참고 竹筍尖如筆과 松葉細似針에 쓰인 수사법은 비유법 중 '직유'에 해당합니다. 如, 似가 '~처럼'의 역할을 하여 원관념과 보조 관념을 이어줍니다.

 


연습문제

 

* 추구집-46연습

花紅黃蜂鬧 화홍황봉료
꽃이 붉으니 노란 벌들이 시끄럽고
草錄白馬嘶 초록백마시
풀이 푸르니 백마가 운다
山雨夜鳴竹 산우야명죽
산 비는 밤에 대나무를 울리고
草蟲秋入牀 초충추입상
풀벌레는 가을에 침상으로 기어오른다

 

* 추구집-47연습

遠水連天碧 원수연천벽
먼 곳의 물은 하늘과 이어져 푸르고
霜楓向日紅 상풍향일홍
서리 맞은 단풍은 해를 향하여 붉다
山吐孤輪月 산토고륜월
산은 외로운 둥근 달을 토하고
江含萬里風 강함만리풍
강은 만리의 바람을 머금는다

 

* 추구집-48연습

露凝千片玉 로응천편옥
이슬이 맺히니 천 조각의 구슬이고
菊散一叢金 국산일총금
국화가 흩어지니 한 떨기 금이다
白蝶紛紛雪 백접분분설
흰 나비는 이리저리 흩날리는 눈이고
黃鶯片片金 황앵편편금
누런 꾀꼬리는 조각조각 금이다

 

* 추구집-49연습

洞深花意懶 동심화의라
골 깊으니 꽃의 뜻이 게으르고
山疊水聲幽 산첩산성유
산 깊으니 물소리가 그윽하다
氷解魚初躍 빙해어초약
얼음이 녹으니 물고기가 처음 뛰어오르고
風和雁欲歸 풍화안욕귀
바람이 온화하니 기러기가 돌아가려 한다

 

* 추구집-50연습

林風涼不絶 임풍량부절
숲바람 시원함이 끊이지 않고
山月曉仍明 산월효잉명
산에 걸린 달 새벽에도 밝다
竹筍尖如筆 죽순첨여필
죽순은 뾰족하기가 붓끝과 같고
松葉細似針 송엽세사침
솔잎은 가늘어 바늘과 같다

 

300x250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