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구집-51
魚戱新荷動 | 어희신하동 |
물고기 희롱에 새 잎 살랑이고 | |
鳥散餘花落 | 조산여화락 |
새가 흩어지니 남은 꽃 떨어진다 | |
琴潤絃猶響 | 금윤현유향 |
거문고 젖었어도 줄은 소리를 울리고 | |
爐寒火尙存 | 노한화상존 |
화로 차가워도 불은 그대로 남아 있다 |
* 추구집-52
春北秋南雁 | 춘북추남안 |
봄에는 북쪽 가을엔 남쪽에 기러기가 있고 | |
朝西暮東虹 | 조서모동홍 |
아침에는 서쪽 저녁엔 동쪽에 무지개가 있다 | |
柳幕鶯爲客 | 유막앵위객 |
버들막엔 꾀꼬리가 손님이 되고 | |
花房蝶作郞 | 화방접작랑 |
꽃방엔 나비가 신랑이 된다 |
* 추구집-53
日華川上動 | 일화천상동 |
햇빛은 시냇물 위에서 넘실거리고 | |
風光草際浮 | 풍광초제부 |
바람 빛은 풀 사이에 떠 있다 | |
明月松間照 | 명월송간조 |
밝은 달은 소나무 사이로 비추고 | |
淸泉石上流 | 청천석상류 |
맑은 샘은 돌 위를 흐른다 |
* 추구집-54
靑松夾路生 | 청송협로생 |
푸른 소나무는 길에 자라고 | |
白雲宿簷端 | 백운숙첨단 |
흰 구름은 처마 끝에 머문다 | |
荷風送香氣 | 하풍송향기 |
연꽃 바람은 향기를 보내고 | |
竹露滴淸響 | 죽로적청향 |
대나무 이슬은 맑은 소리로 떨어진다 |
* 추구집-55
谷直風來急 | 곡직풍래급 |
골짜기 곧으니 바람이 불어오기가 급하고 | |
山高月上遲 | 산고월상지 |
산 높으니 달 오름도 더디기만 하다 | |
蟋蟀鳴洞房 | 실솔명동방 |
귀뚜라미는 골방에서 울고 있고 | |
梧桐落金井 | 오동락금정 |
오동잎은 가을 우물로 떨어진다 |
연습문제
* 추구집-51연습
魚戱新荷動 | 어희신하동 |
물고기 희롱에 새 잎 살랑이고 | |
鳥散餘花落 | 조산여화락 |
새가 흩어지니 남은 꽃 떨어진다 | |
琴潤絃猶響 | 금윤현유향 |
거문고 젖었어도 줄은 소리를 울리고 | |
爐寒火尙存 | 노한화상존 |
화로 차가워도 불은 그대로 남아 있다 |
* 추구집-52연습
春北秋南雁 | 춘북추남안 |
봄에는 북쪽 가을엔 남쪽에 기러기가 있고 | |
朝西暮東虹 | 조서모동홍 |
아침에는 서쪽 저녁엔 동쪽에 무지개가 있다 | |
柳幕鶯爲客 | 유막앵위객 |
버들막엔 꾀꼬리가 손님이 되고 | |
花房蝶作郞 | 화방접작랑 |
꽃방엔 나비가 신랑이 된다 |
* 추구집-53연습
日華川上動 | 일화천상동 |
햇빛은 시냇물 위에서 넘실거리고 | |
風光草際浮 | 풍광초제부 |
바람 빛은 풀 사이에 떠 있다 | |
明月松間照 | 명월송간조 |
밝은 달은 소나무 사이로 비추고 | |
淸泉石上流 | 청천석상류 |
맑은 샘은 돌 위를 흐른다 |
* 추구집-54연습
靑松夾路生 | 청송협로생 |
푸른 소나무는 길에 자라고 | |
白雲宿簷端 | 백운숙첨단 |
흰 구름은 처마 끝에 머문다 | |
荷風送香氣 | 하풍송향기 |
연꽃 바람은 향기를 보내고 | |
竹露滴淸響 | 죽로적청향 |
대나무 이슬은 맑은 소리로 떨어진다 |
* 추구집-55연습
谷直風來急 | 곡직풍래급 |
골짜기 곧으니 바람이 불어오기가 급하고 | |
山高月上遲 | 산고월상지 |
산 높으니 달 오름도 더디기만 하다 | |
蟋蟀鳴洞房 | 실솔명동방 |
귀뚜라미는 골방에서 울고 있고 | |
梧桐落金井 | 오동락금정 |
오동잎은 가을 우물로 떨어진다 |
반응형
'한자 공부 > 추구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구집 원문 및 해석 - DAY 12 (0) | 2024.08.08 |
---|---|
추구집 원문 및 해석 - DAY 10 (0) | 2024.07.31 |
추구집 원문 독음 해석 - DAY 9 (0) | 2024.07.30 |
추구집 원문 독음 해석 - DAY 8 (1) | 2024.07.29 |
추구집 원문 독음 해석 - DAY 7 (0) | 2024.07.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