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개정 교육과정 온라인암기장 - 수학 | |
초등학교 수학 | • 교육과정 설계의 개요 • 성격 및 목표 • 내용 체계 • 성취기준 - 1~2학년군 수와 연산 변화와 관계 도형과 측정 자료와 가능성 - 3~4학년군 수와 연산 변화와 관계 도형과 측정 자료와 가능성 - 5~6학년군 수와 연산 변화와 관계 도형과 측정 자료와 가능성 • 교수/학습 및 평가 - 교수/학습 - 평가 |

참고 수학 기호(×, ÷ 등)는 'ㄷ'에 [한자] 키를 입력하여 표기할 수 있습니다.
예) × → 'ㄷ'키에 [한자] 키를 입력 후 7
예) ÷ → 'ㄷ'키에 [한자] 키를 입력 후 8
(1) 수와 연산
[6수01-01]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의 혼합 계산에서 계산하는 순서를 알고, 혼합 계산을 할 수 있다.
[6수01-02] 실생활과 연결하여 이상, 이하, 초과, 미만의 의미와 쓰임을 알고, 이를 활용하여 수의 범위를 나타낼 수 있다.
[6수01-03] 어림값을 구하기 위한 방법으로 올림, 버림, 반올림의 의미와 필요성을 알고, 이를 실생활에 활용함으로써 수학의 유용성을 인식할 수 있다.
[6수01-04] 약수, 공약수, 최대공약수를 이해하고 구할 수 있다.
[6수01-05] 배수, 공배수, 최소공배수를 이해하고 구할 수 있다.
[6수01-06] 크기가 같은 분수를 만드는 방법을 이해하고, 분수를 약분, 통분할 수 있다.
[6수01-07] 분모가 다른 분수의 크기를 비교하고 그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6수01-08] 분모가 다른 분수의 덧셈과 뺄셈의 계산 원리를 탐구하고 그 계산을 할 수 있다.
[6수01-09] 분수의 곱셈의 계산 원리를 탐구하고 그 계산을 할 수 있다.
[6수01-10] '(자연수)÷(자연수)'에서 나눗셈의 몫을 분수로 나타낼 수 있다.
[6수01-11] 분수의 나눗셈의 계산 원리를 탐구하고 그 계산을 할 수 있다.
해설분수의 나눗셈은 '(분수)÷(자연수)', '(자연수)÷(분수)', '(분수)÷(분수)'를 다룸
[6수01-12] 분수와 소수의 관계를 이해하고 크기를 비교하며 그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6수01-13] 소수의 곱셈의 계산 원리를 탐구하고 그 계산을 할 수 있다.
[6수01-14] '(자연수)÷(자연수)'에서 나눗셈의 몫을 소수로 나타낼 수 있다.
[6수01-15] 소수의 나눗셈의 계산 원리를 탐구하고 그 계산을 할 수 있다.
해설소수의 나눗셈은 '(소수)÷(자연수)', '(자연수)÷(소수)', '(소수)÷(소수)'를 다룬다.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 사항
• '수와 연산' 영역에서는 용어와 기호로 '이상, 이하, 초과, 미만, 올림, 버림, 반올림, 약수, 공약수, 최대공약수, 배수, 공배수, 최소공배수, 약분, 통분, 기약분수'를 다룸
• 자연수의 혼합 계산은 계산 순서에 중점을 두고, 지나치게 복잡한 혼합 계산은 다루지 않음
• 수의 범위와 올림, 버림, 반올림은 측정 상황과 같이 수나 양의 어림이 필요한 여러 가지 실생활 사례를 통하여 그 의미를 알게 함
• 약수와 배수는 실생활에서 활용되는 경우를 찾아 자연수 범위에서 다룸
• 약수와 배수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약수와 배수의 관계를 이해하게 함
•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는 두 수에 대하여 약수와 배수를 각각 나열하여 공통된 약수와 배수를 찾는 방법으로 그 의미를 이해하게 하고, 평가에서 소인수의 곱으로 나타내어 구하는 방법은 다루지 않음
• 구체물이나 그림 등을 이용하여 크기가 같은 분수를 만든 후 분모는 분모끼리, 분자는 분자끼리 비교하는 활동을 통해 크기가 같은 분수를 만드는 방법을 이해하게 함
• 분모가 다른 분수의 크기를 비교할 때 수 감각을 이용하여 추론하고 토론하는 활동을 하게 함
• 분수의 사칙계산에서 기약분수로 나타낼 것을 요구하지 않을 경우, 계산 결과를 기약분수가 아닌 분수로 나타내는 것도 허용
• 분수를 통분할 때는 공통분모로 최소공배수뿐만 아니라 분모의 곱과 같은 공배수도 이용하게 할 수 있음
• 분수의 곱셈과 나눗셈, 소수의 곱셈과 나눗셈은 계산 원리를 탐구하여 이해하는 수준에서 다룸
• 소수의 곱셈과 나눗셈에서 복잡한 계산은 계산기를 사용하게 할 수 있다.
• 소수의 곱셈과 나눗셈에서 계산 결과를 어림할 필요가 있는 상황, 정확한 계산 대신에 어림셈으로 비교가 가능한 상황 등 어림셈이 필요한 여러 가지 실생활 상황을 제시하여 어림셈의 필요성과 유용성을 알게 함
• '수와 연산' 영역의 문제 상황에서 ①문제해결 전략 비교하기, ②주어진 문제에서 필요 없는 정보나 부족한 정보 찾기, ③조건을 바꾸어 새로운 문제 만들기, ④문제해결 과정의 타당성 검토하기 등을 통하여 문제해결 역량을 기르게 함
• '수와 연산' 영역에서 자신의 문제해결 과정을 논리적으로 설명하고 다른 친구의 문제해결 과정과 비교함으로써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태도를 기르게 함
'임용고시 대비 온라인암기장 > (초등) 2022 개정 교육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학교 56학년군 수학과 성취기준 온라인암기장 #3 도형과 측정 - 2022개정 교육과정 초등임용 대비 (3) | 2024.12.11 |
---|---|
2022개정 교육과정) 수학과 성취기준 초등학교 5~6학년군 - #2 변화와 관계 (0) | 2024.12.09 |
2022 실과 교육과정 부록 - 학교 자율시간 등을 활용한 정보 교육 내용 (초등임용 온라인암기장) (4) | 2024.12.04 |
(초등임용 빈칸연습) 2022개정 실과 교육과정 - 교수학습 및 평가 파트 (2) | 2024.12.03 |
(초등임용) 2022 실과 성취기준 빈칸 (2) | 2024.12.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