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공부/초등임용 공부했던 자료

[교육과정] 즐생 뒷교 청킹

by 온암 2021. 4. 15.

온암의 생각상자

 

영통연학효극

교과역량

놀표공감 표기습함

5누 신건예경 체음미

일다소재 놀표중

사대현문다표 몸마음 건강한 사람 성장

다교학방

단시시 탄운

계실평 능수참유

 

교기영 일관성

학수능 교내기 평내다

개노진 자평활

평상 수평동 학촉


 

가. 교수・학습 방향

 

영통연학효극

‘즐거운 생활’과는 ‘바른 생활’과, ‘슬기로운 생활’과와 영역(대주제)별로 통합하여 지도하며 국어과 또는 수학과와도 연계하여 학습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교과역량

‘즐거운 생활’과의 교수・학습에서는 학생들이 궁극적으로 심미적 감성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의사소통 역량 등의 교과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놀표공감 표기습함

‘즐거운 생활’과의 교수・학습에서는 놀이하기, 표현하기, 공연・전시하기, 감상하기 등의 표현 기능을 습득하고 함양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5누 신건예경 체음미

5세 누리과정의 신체운동, 건강, 예술 경험 등의 내용 영역과 3학년 이상의 체육과, 음악과, 미술과 등의 내용 영역과 연계가 되도록 지도한다.

일다소재 놀표중

‘즐거운 생활’과의 교수・학습에서는 일상에서 찾을 수 있는 다양한 소재와 재료를 이용하여 놀이하고 표현하는 활동을 중심으로 지도한다. 즉, 학생들의 생활 소재가 수업 소재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둔다.

사대현문다표 몸마음 건강한 사람 성장

‘즐거운 생활’과의 교수・학습에서는 사람, 대상, 현상 및 문화를 다양하게 표현하면서 몸과 마음이 건강한 사람으로 성장하는 데 초점을 둔다.

다교학방

프로젝트 학습, 협력학습, 문제 해결 학습, 탐구 학습, 온라인 활용 학습과 같은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한다.

단시시 탄운

단위 시수의 시량은 융통성 있게 계획하여 탄력적으로 운영한다.

계실평 능수참유

계획-실행-평가에 이르는 교수・학습의 전 과정에 학생을 참여시켜 학생의 능동적인 수업 참여를 유도한다.

 

나. 평가 방향

교기영 일관성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교과 역량, 기능, 영역(대주제) 간의 일관성을 유지하도록 하며 ‘즐거운 생활’과의 심미적 감성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의사소통 역량 등의 세 가지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평가한다.

학수능 교내기 평내다

학생들의 수준과 능력을 고려하여 교과 내용의 기준을 설정하고 평가의 내용에 따라 동료 평가, 관찰 평가, 면담 평가, 누가기록(체크리스트), 일화 기록, 포트폴리오 등 다양한 평가 방법을 활용한다.

개노진 자평활

각 영역(대주제)의 표현 활동에서 학생 개인의 노력과 진보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자기 평가를 활용한다.

평상 수평동 학촉

실제 교수・학습 상황에서 ‘즐거운 생활’과의 기능인 놀이하기, 표현하기, 감상하기를 평가할 수 있는 상황을 설정하여 수업과 평가를 동시에 하며, 평가를 학습 촉진의 계기로 활용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