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1~2학년군 성취기준 초등임용 온라인연습장 : (3) 도형과 측정 (3) 도형과 측정▣ 입체도형의 모양[2수03-01] 교실 및 생활 주변에서 여러 가지 물건을 관찰하여 직육면체, 원기둥, 구의 모양을 찾고, 이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모양을 만들 수 있다.[2수03-02] 쌓기나무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입체도형의 모양을 만들고, 그 모양에 대해 위치나 방향을 이용하여 말할 수 있다.  (해설) 쌓기나무로 만든 입체도형의 모양에 대해서 '~의 앞', '~의 오른쪽', '~의 위', '2층' 등을 사용하여 말하게 한다.  예) 초록색 쌓기나무는 노란색 쌓기나무의 오른쪽에 있습니다.▣ 평면도형과 그 구성 요소[2수03-03] 교실 및 생활 주변에서 여러 가지 물건을 관찰하여 삼각형, 사각형, 원의 모양을 찾고, 이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모양을 만들 수 있다.[2수03-04].. 2023. 5. 13.
수학 성취기준 빈칸연습 초등학교 1~2학년군 - (2) 변화와 관계 | 2022 개정 교육과정 (2) 변화와 관계▣ 규칙 찾기[2수02-01] 물체, 무늬, 수 등의 배열에서 규칙을 찾아 여러 가지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다.  (해설) 물체, 무늬, 수 등의 배열을 관찰하여 일정하게 반복되거나 증가하는 규칙을 찾고 말, 수, 그림, 기호, 구체물, 행동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하게 한다. 그리고 물체, 무늬, 수의 배열에서 다음에 올 것이나 중간에 빠진 것을 추측하게 한다.[2수02-02] 자신이 정한 규칙에 따라 물체, 무늬, 수 등을 배열할 수 있다. ▣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 사항● 학생이 스스로 만든 규칙에 따라 물체, 무늬, 수 등을 배열하는 활동을 통해 수학에 대한 흥미를 느끼게 할 수 있다. ● 수의 배열뿐만 아니라 수 배열표, 덧셈표, 곱셈표를 활용하여 수의 다양한 규칙을 찾게 한.. 2023. 5. 13.
(2022 개정 교육과정) 수학과 성취기준 빈칸연습장 #1 - 초등학교 1~2학년군 (1) 수와 연산▣ 네 자리 이하의 수[2수01-01] 수의 필요성을 인식하면서 0과 100까지의 수 개념을 이해하고, 수를 세고 읽고 쓸 수 있다.[2수01-02] 일, 십, 백, 천의 자릿값과 위치적 기수법을 이해하고, 네 자리 이하의 수를 읽고 쓸 수 있다.  (참고) 자연수의 특징: 위치적 기수법으로 수를 나타냄[2수01-03] 네 자리 이하의 수의 범위에서 수의 계열을 이해하고, 수의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2수01-04] 하나의 수를 두 수로 분해하고 두 수를 하나의 수로 합성하는 활동을 통하여 수 감각을 기른다.  (참고) 가르기, 모으기  ▣ 두 자리 수 범위의 덧셈과 뺄셈[2수01-05] 덧셈과 뺄셈이 이루어지는 실생활 상황과 연결하여 덧셈과 뺄셈의 의미를 이해한다.  (관련 물음) 덧.. 2023. 5. 12.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1) - 설계의 개요 | 초등임용 대비 온라인암기장 ★ 1. 수학 교과 역량: 문제해결, 추론, 의사소통, 연결★, 정보처리  가. 총론의 핵심역량과 연계하여 수학 교과 역량을 설정함  나. 내용 체계를 핵심 아이디어,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 3가지 범주로 구성 2. 수학과 교육과정의 구성  가. 성격: 수학과의 고유한 특성과 수학 학습의 필요성  나. 목표: 총괄 목표+세부 목표    [참고] 세부 목표는 수학 교과 역량 각각 언급  다. 내용 체계: 영역별 핵심 아이디어,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 3가지 범주    1) 지식/이해 범주는 학년군에 따라 위계성을 가지고, 영역 간에도 위계성을 고려함.    2) 과정/기능 범주는 교과 역량이 발현되는 사고 과정이나 기능    3) 가치/태도 범주는 수학을 학습하면서 학생들이 가지는.. 2023. 5. 9.
[초등 임용고시 대비] 2022개정 교육과정 총론 #5 - 학교 교육과정 지원 | 총론 온라인암기장 [참고] 원문은 국가교육과정 정보센터(ncic.re.kr)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 포스트는 2022개정 교육과정 총론을 학습하는 예비선생님을 위해 만들었습니다. 휴대폰이나 태블릿으로 반복학습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자료 출처: ncic 국가교육과정 정보센터) 교육과정 질 관리국가 수준의 지원  1) 이 교육과정의 질 관리를 위하여 주기적으로 학업 성취도 평가,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관한 평가, 학교와 교육 기관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교육과정 개선에 활용한다.     가) 교과별, 학년(군)별 학업 성취도 평가를 실시하고, 평가 결과는 학생의 학습 지원, 학력의 질 관리, 교육과정의 적절성 확보 및 개선 등에 활용한다.     나) 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과 교육청의 교육과정 지원 상황을 파악.. 2023. 4. 30.
[초등임용 온라인암기장] 2022개정 총론 #4 - 초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기준 [참고] 이 온라인 암기판은 초등교원임용경쟁시험(이하 임용고시라 함)을 준비하는 예비선생님들을 위해 만들었습니다. 암기판에 질문이 있으실 경우, 방명록에 남겨주세요. (자료 출처: ncic 국가교육과정 정보센터) 기본사항  가. 초등학교 1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공통 교육과정과 고등학교 1학년부터 3학년까지의 *학점 기반 선택 중심 교육과정으로 편성⋅운영한다.  * 고교학점제  나. 학교는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계획을 바탕으로 학년(군)별 교육과정 및 교과(군)별 교육과정을 편성할 수 있다.  다. 학년 간 상호 연계와 협력을 통해 학교 교육과정을 유연하게 편성⋅운영할 수 있도록 학년군을 설정한다.  라. 공통 교육과정의 교과는 교육 목적상의 근접성, 학문 탐구 대상 또는 방법상의 인접성, 생활.. 2023. 4.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