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즐거운생활 교육과정 목표, 내용체계 / 초등임용 대비 2022개정 교육과정 빈칸연습 안내 즐거운 생활과의 '교육과정 설계의 개요' 항과 '성격' 항의 일부는 바른생활과와 겹쳐 생략하였습니다. 공부하실 때에는 원문을 꼭 지참하셔서 학습하시길 권장합니다. 수정 우리는 어디서 살아갈까 영역의 과정/기능 내용 요소 중 '매체 활용하기'가 잘못 기재된 부분을 수정하였습니다. 성격 및 목표 가. 성격 1) 즐거운 생활과는 학생이 놀이를 통해 ‘지금/여기/우리 삶’의 즐거움을 누리는 ‘놀이 경험 중심 교과’ 2) 즐거운 생활과의 놀이: 학생이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몰입함으로써 자유로움과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모든 활동 3) 즐거운 생활과를 통해 신체 활동과 문화 예술 활동을 경험하며 건강하고 안전하게 생활 + 놀이에 몰입하여 즐김 → 학생은 공동체와 소통하고 감정과 정서를 창의적으로 표현하며 아름다.. 2023. 9. 28.
2022 슬기로운생활 교육과정 - 평가의 방향, 평가 방법 빈칸연습 (초등임용 대비) (1) 평가의 방향 (가) 하나의 활동으로 여러 성취기준에 대한 학생 성취 여부나 정도를 평가할 수 있음 (나)-1 평가는 ① [성취기준이나 교수/학습을 대한 평가], ② [교수/학습을 위한 평가], ③ [교수/학습으로서의 평가]를 포괄 //대.위.서 (나)-2 평가자는 교사일 수 있고, 학생일 수도 있음 (나)-3 평가 목표는 교사, 학생 또는 학생과 교사가 함께 정할 수 있음 (나)-4 학생과 교사는 학습 상황 점검에 참여하고 환류할 수 있음 (나)-5 학생의 지속적인 배움을 위하여 평가 결과를 활용할 수 있음 → 교사는 평가 결과를 교수에 환류; 학생은 자신의 학습에 관류 (다) 슬기로운 생활과는 탐구 경험 중심의 교과 → 학생이 [자신의 일상] + [주변에서 일어나는 변화, 관계, 모습]에 지속적.. 2023. 9. 18.
[초등임용] 슬생 교수학습 파트 빈칸연습 / 2022 개정 슬기로운생활 교육과정 ③ 참고 이 온라인암기장은 2022개정 교육과정 슬기로운생활과의 '교수학습' 항목을 다루고 있습니다. 바른생활과 교육과정과 공통인 부분은 최대한 생략한 점 참고바랍니다. (1) 교수/학습의 방향 (가)-1 슬기로운생활과는 무엇을 중심으로 바른 생활과와 즐거운 생활과를 통합하여 교수/학습을 할 수 있는가? 영역 및 핵심아이디어를 중심으로 공통 (가)-2 무엇을 중심으로 다른 교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합할 수 있는가? 학생의 관심사를 반영한 주제를 중심으로 공통 (나) 슬기로운 생활과의 교수/학습은 학생 내부에서 시작하는 (ㄱ)와 (ㄴ)에 집중한다. (ㄱ)과 (ㄴ)에 들어갈 용어를 쓰시오. 흥미, 관심 참고 바른생활과의 교수/학습: ①덕목 중심 지양 ②맥락과 공동체의 적절한 생위와 판단의 사례 → 윤리적 감각.. 2023. 9. 17.
2022 개정 슬기로운생활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빈칸연습 2022 개정 슬기로운생활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빈칸연습 • 우리는 누구로 살아갈까 [2슬01-01] 학교 안팎의 모습과 생활을 탐색하며 안전한 학교 생활을 한다. └ 고려 사항 유/초 연계 강화 일환으로 입학 초기 적응 활동 중심으로 다룸; 안전 교육이 필요할 때 슬기로운 생활과 모든 성취기준과 함께 적용할 수 있다. [2슬01-02] 나를 탐색하여 나에 대해 설명한다. └ 고려 사항 성취기준과 관련하여 찾아볼 수 있는 3가지? 내가 좋아하는 것, 잘하는 것, 흥미를 갖는 것; 진로 교육의 자기 이해 부분을 다룰 수 있음 [2슬01-03] 가족이나 (A)주변 사람에게 관심을 갖고 함께 살아가는 모습을 탐구한다. └ 해설 (A)은(는) 물리적으로 가까운 사람 + 오가며 지내는 사람, 마음을 나누는 사람 등.. 2023. 9. 13.
(슬생 내체표) 2022 개정 교육과정 - 슬기로운 생활과 목표, 내용체계 워드 마스킹 암기장 안내 슬기로운 생활과의 '교육과정 설계의 개요' 항과 '성격' 항의 일부는 바른생활과와 겹쳐 생략하였습니다. 공부하실 때에는 원문을 꼭 지참하셔서 학습하시길 권장합니다. 성격 및 목표  가. 성격    1) 슬기로운 생활과는 학생이 ‘지금-여기-우리 삶’에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탐구하는 가운데 자신이 살고 있는 세상을 경험하는 '탐구 경험 중심 교과'    2) 주변의 모습, 주변에서 일어나는 변화, 상호관계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이해를 확장하는 가운데 탐구 능력을 함양  나. 목표    총괄 목표 ‘지금-여기-우리 삶’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탐구한다.    세부 목표      1) 자신과 주변에 관심을 가지고 질문을 제기하며 지속적으로 탐구한다.      2) 탐구 과정에서 필요한 지식이나 .. 2023. 9. 12.
(2022 개정 교육과정) 바른생활과 통합 온라인암기장 ④ - 평가 (1) 평가의 방향(가) 하나의 활동으로 여러 성취기준에 대한 학생 성취 여부나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가? (O,X) O(나)-1 평가는 성취기준이나 교수/학습에 대한 평가, 교수/학습을 위한 평가, 교수/학습으로서 평가를 포괄함 //평가를 위한 교수학습 X 2025초등(나)-2 평가자는 교사일 수 있고, 학생일 수도 있다. (O,X) O(나)-3 학생의 지속적인 배움을 위하여 평가 결과를 활용할 수 있음 → 교사는 평가 결과를 교수에 환류하고 학생은 자신의 학습에 환류(다) 바른 생활과는 실천 경험 중심의 교과로 가정과 연계하여 평가; 일회적 평가보다 학생의 생활화 정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평가(라) 바른 생활과의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를 통합적으로 평가하여 학생의 삶에서 바른 생활과의 .. 2023. 9.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