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초등 3~4학년군 성취기준 밑교 빈칸연습 참고 이 글은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ncic.re.kr)의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2025~ 초등임용시험을 준비하시는 선생님들께서 학습에 활용하시길 바랍니다.2022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 성취기준 + 밑교1. 미적 체험[4미01-01] 자연물과 인공물을 탐색하는 데 다양한 감각을 활용할 수 있다.[4미01-02] 주변 대상을 체험하며 떠오른 느낌과 생각을 다양한 방법으로 나타낼 수 있다.[4미01-03] 미적 탐색에 호기심을 갖고 참여하며 자신의 감각으로 대상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성취기준 해설 객관적 지식을 적용하거나 고정 관념에 따라 대상을 이해하는 방식에서 벗어남 → 몸의 다양한 감각으로 직접 대상을 탐색하는 데 호기심을 갖고 참여, 자신의 감각을 바탕으로 대상.. 2024. 2. 18.
[초등임용 2022 미술 내체표] 2022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내용체계 참고 2022개정 교육과정(출처:ncic.re.kr)의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내용 체계표를 가. 핵심 아이디어, 나. 내용 요소로 이분화하였습니다. 우측하단의 빈칸제거/빈칸생성 버튼을 이용해 교육과정을 빠르게 훑어보거나 빈칸채우기 연습을 하실 수 있습니다.2022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 내용 체계[영역1] 미적 체험가. 핵심 아이디어1) 미적 체험은 감각을 깨워 미적 감수성을 풍부하게 하며 미적 가치를 발견하도록 한다.2) 대상과 현상을 관찰하고 지각하는 경험은 앎을 확장하고 자신을 성찰하게 한다.3) 이미지에 대한 비판적 이해는 시각적 소통과 문화적 참여의 토대가 된다.나. 내용 요소범주내용 요소3~4학년5~6학년지식⋅이해- 자신의 감각 - 대상의 특징 - 생활 속 미술- 감각과 매체의 역할 - 자신과.. 2024. 2. 16.
[2022 도덕과 교육과정] 2. 성격 및 목표 | 초등임용 대비 온라인암기장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 2) 성격 및 목표 가. 성격 * 도덕 교과는 학생들이 도덕성을 함양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나은 삶과 사회를 지향하게 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교과 * 도덕성은 사회 규범으로서 도덕과 각 개인의 내면에서 작동하는 도덕성 사이의 긴장과 갈등, 조화의 과정과 결과로 구체화 → 도덕성 함양을 위해서는 (1)도덕 현상에 관한 탐구와 (2)내면의 도덕성에 관한 성찰, (3)일상의 실천이라는 도덕적 지식과 실천의 연계 과정이 지니는 세 구성요소가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으로 포함되어야 함 //도덕적 지식과 실천의 연계과정 세 요소? * 도덕적 지식과 실천의 연계 과정 기반 (1) 도: 인간으로서 지향해야 하는 가치 (2) 덕: 그 도에 이르고자 하는 실천 역량 (3) 도와 덕을 바탕으로.. 2024. 2. 14.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 1) 교육과정 설계의 개요 / 초등임용 온라인암기장 2022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 교육과정 설계의 개요 참고 본 온라인암기장은 문답개조식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원문과 함께 공부하시길 권장합니다. 주요 키워드 도덕과 교육과정의 목적, 도덕과 역량, 내용영역 설정 기준,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서의 변경사항, 핵심 아이디어, 내용 체계 범주별 주안점 ○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의 목적? >> 총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인간상인 포용성과 창의성을 갖춘 주도적인 사람을 가치와 도덕의 차원에서 뒷받침함 ○ (A)와(과) (B)은(는) 도덕과 교육과정이 목표로 하는 ‘도덕적인 인간’이 지니고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도덕성의 핵심적인 요소 >> (A):포용성, (B):주도성 ○ (C)에는 도덕적 상상력의 함양을 통해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D)은(는).. 2024. 2. 13.
2022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 3-4학년군 성취기준 > 도형과 측정 / 초등임용 대비 온라인암기장 2022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3~4학년군 성취기준 ③: 도형과 측정2022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중 3~4학년군의 세 번째 영역 도형과 측정 온라인암기장입니다. 작년에 만들었던 온라인암기장에서 빈칸 제거/추가 기능을 넣어 학습의 편의성을 높였습니다. (자료 출처: ncic 교육과정정보센터) ※ 관련 내용체계 복습지식/이해도형의 기초원의 구성 요소여러 가지 삼각형여러 가지 사각형다각형평면도형의 이동시각과 시간(초)길이(mm, km)들이(L, mL)무게(kg, g, t)각도(°) 과정/기능여러 가지 사물과 도형을 기준에 따라 분류하기도형의 개념, 구성 요소, 성질 탐구하고 설명하기평면도형이나 입체도형 그리기와 만들기평면도형을 밀기, 뒤집기, 돌리기 한 모양을 추측하고 그리기쌓은 모양 추측하고 쌓기나무.. 2024. 1. 3.
(음악 성취기준) 2022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3-4학년군 온라인암기장, 초등임용 대비 차례1. 연주 영역2. 감상 영역3. 창작 영역 2022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3~4학년군 성취기준 ˙ └ 성취기준 해설: 상위 기재된 성취기준과 관련 있는 해설입니다. ˙ └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사항: 상위 기재된 성취기준과 관련 있는 고려사항입니다. ˙ *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사항: 해당 영역 성취기준과 두루 관련 있는 고려사항입니다. • 교육과정은 국가교육과정 정보센터(ncic.re.kr)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1. 연주 영역성취기준 코드성취기준[4음01-01]바른 자세와 주법을 익혀 노래 부르거나 악기로 연주한다.[4음01-02]기초적인 음악 요소를 살려 노래 부르거나 악기로 연주하고 느낌을 이야기한다.└ 성취기준 해설• 성취기준 설정 목적: 노래나 악기 연주를 통해 기초적인 음악 요소를 표.. 2023. 12.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