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임용 2022총론/창체/통합 역량/모형 수학 사회/도덕 실과 국어 영어 음악 미술 체육 과학 #중등임용 2022총론/창체 국어 수학 도덕 기술가정/정보 미술 체육 한문 #특수임용 특수임용 #한국사, 한자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한자 자격증 공부 알림 ✏️임고 공부 중 온라인암기장 오류가 있다면 부담 없이 알려주세요! 힘써 지원하겠습니다😉 [안내] 온라인암기장 프린트 기능 추가 [안내] 원하시는 포스팅 주제가 있으시다면 방명록에 남겨주세요. 음악 뒷교 빈칸 (2015개정) - 교수 학습 방향, 평가 방향 참고 자료는 ncic.re.kr의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참고하였습니다. 참고 뒷교란, 문서상 교수/학습 방향과 평가 방향을 묶은 것을 말합니다. * 학습하고 싶은 주제가 있으시다면 방명록에 글을 남겨주세요. 가. 교수·학습 방향 음악과의 교수·학습에서는 모든 영역의 학습 활동에서 다양한 악곡을 활용하도록 하며, 이를 위한 최적의 학습 환경을 조성한다. 그리고 학생들의 (a), (b), (c), (d)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방법을 활용한다. (a): 음악적 능력과 수준 (b): 흥미도 (c): 현실성 (d): 지역성 (1) 교수·학습 계획 (가) 교수·학습 계획은 교육과정의 목표 및 내용에 근거하고, 학생의 (a)와 (b), (c) 및 (d) 등을 고려하여 수립한다. (a): 발달 단계 (b):.. 2024. 4. 4. [초등임용] 영어 뒷교 빈칸, 2015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뒷교 온라인암기장 참고 임용 공부했을때 영어 뒷교 파트가 암기 범위로 애매했던 것 같은데 공부하실 분 있으실 듯하여 마스킹 암기장으로 만들어 올려봅니다. 참고 영어 뒷교 말머리청킹: https://eduproject.tistory.com/65 가. 교수/학습 방향 1) 영어 학습에 대한 학습자들의 동기를 유발하고 흥미와 자신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계획을 수립한다. 2) 학습자들의 영어 사용 능력 및 인지적, 정의적 특성에 있어서의 개인차를 함께 고려한 교수/학습 계획을 수립한다. 3) 학습자 중심의 과업 및 체험 학습을 통해 자기 주도적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교수/학습 계획을 수립한다. 4) ??? 이 구현되도록 교수/학습 계획을 수립한다. 문제) 빈칸에 들어갈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교과역량은? 답: 의.. 2023. 10. 16. [초등임용] 사회과 성취기준 빈칸연습 - 5~6학년군 참고 2015 개정 교육과정 사회과 성취기준(5~6학년군)에 제시된 용어 학습을 위해 만든 암기장입니다. 역사 파트, 성취기준 해설 및 밑교 파트는 일부 생략하였습니다. (단, 역사 파트는 성취기준과 각론 잘 매칭해서 훑어보기!) 참고 초등임용 사회 문제 중 사회과 성취기준에 제시된 용어 쓰기 유형이 출제된 적 있어 마스킹 암기장을 만들었습니다. 남은 수험 기간동안 복습에 활용하시면 좋겠습니다. 국토와 우리 생활 [국토의 위치와 영역] [6사01-01] 우리나라의 위치와 영역이 지니는 특성을 설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A)국토 사랑의 태도를 기른다. └ (A)와 관계 있는 학습 요소는? 국토애 └ 밑평 순차적 산물형 방식의 평가는 다음 4가지를 계열적으로 구성하는 평가를 말함 1) 사실 지식의 확인.. 2023. 9. 24. 사회 성취기준 빈칸 / 2015 개정 교육과정 - 3~4학년군 사회과 온라인암기장 참고 2015 개정 교육과정 사회과 성취기준(3~4학년군)에 제시된 용어 학습을 위해 만든 암기장입니다. 성취기준 해설 및 밑교 파트는 생략하였습니다. 참고 초등임용 사회 문제 중 사회과 성취기준에 제시된 용어 쓰기 유형이 출제된 적 있어 마스킹 암기장을 만들었습니다. 남은 수험 기간동안 복습에 활용하시면 좋겠습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곳 [우리 고장의 모습] [4사01-01] 우리 마을 또는 고장의 모습을 자유롭게 그려 보고, 서로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 고장에 대한 서로 다른 장소감을 탐색한다. //심상 지도 그리기 [4사01-02] 디지털 영상 지도 등을 활용하여 주요 지형지물들의 위치를 파악하고, 백지도에 다시 배치하는 활동을 통하여 마을 또는 고장의 실제 모습을 익힌다. //기하학적 특성.. 2023. 9. 19. 2015 수학과 교육과정 뒷교 빈칸연습 온라인암기장 ※ 피드백은 환영합니다! 추가하고 싶거나 수정해야할 내용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 자료 출처: ncic.re.kr 교수/학습 방향 1. 교수 학습 원칙 가. 수학과의 교수/학습은 학생이 수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목표를 달성하고 전인적으로 성장하도록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 수학과의 교수/학습은 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의 수준과 범위를 준수하고, 교육과정에 제시된 목표, 내용, 평가와 일관성을 가져야 한다. 다. 문제 해결, 추론, 창의·융합, 의사소통, 정보 처리, 태도 및 실천★과 같은 수학 교과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 환경을 조성하고, 이에 적합한 교수/학습을 운영한다. 라. 학년군별 내용의 배열 순서가 반드시 교수/학습의 순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므로, 교수/학습 계획을 수립하거나 학습 자.. 2023. 8. 18. (2015 개정) 수학 밑교 5~6학년군 빈칸연습 / 초등임용 수학 수와 연산 ● 교학방유 1. 자연수의 혼합계산은 무엇에 중점을 두어야하는가? 계산 순서 [참고] 지나치게 복잡한 혼합계산은 다루지 않음 2. 약수와 배수는 실생활에서 활용되는 경우를 찾아 자연수 범위에서 다룸 3.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는 세 수에 대해서 구하게 할 수 있다. (O,X) X 4. 분모가 다른 분수의 크기를 비교할 때 무엇을 이용하여 추론하고 토론하는 활동을 하게할 수 있는가? 수 감각 5. 분수의 나눗셈 3가지 유형? (분수)÷(자연수), (분수)÷(분수), (자연수)÷(분수) 6. 소수의 곱셈과 나눗셈은 어떤 수준에서 다루어야하는가? 계산 원리를 이해하는 수준에서 간단히 [참고] 복잡한 계산은 계산기를 사용하게 할 수 있음 7. 수와 연산 영역의 문제 상황에서 문제 해결 전략 비교하기,.. 2023. 8. 13. 이전 1 2 3 4 5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