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학 교과 역량 (5) : 정보 처리 역량과 하위 요소 | 같이 보면 좋은 글 - 수학 교과 역량 (1) : 문제 해결 역량과 하위 요소 - 수학 교과 역량 (2) : 추론 역량과 하위 요소 - 수학 교과 역량 (3) : 창의융합 역량과 하위 요소 - 수학 교과 역량 (4) : 의사소통 역량과 하위 요소 | 목차 - 정보 처리 역량의 의미 - 정보 처리 역량의 하위 요소 참고문헌 : 교사용 지도서(2019) | 정보 처리 역량의 의미 다양한 자료와 정보를 수집, 정리, 분석, 해석, 활용하고 적절한 공학적 도구와 교구를 선택, 이용하여 자료와 정보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능력 실생활 현상은 여러 자료와 정보의 형태로 만들어지고 전해진다. 하지만 이것을 적절하게 분석하고 활용하지 못한다면 정보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없다. 정보처리 역량은 정보를 올바르게 모으고.. 2020. 7. 2.
수학 교과 역량 (4) : 의사소통 역량과 하위 요소 | 같이 보면 좋은 글 - 수학 교과 역량 (1) : 문제 해결 역량과 하위 요소 - 수학 교과 역량 (2) : 추론 역량과 하위 요소 - 수학 교과 역량 (3) : 창의융합 역량과 하위 요소 | 목차 - 의사소통 역량의 의미 - 의사소통 역량의 하위 요소 참고문헌 : 교사용 지도서 (2019) | 의사소통 역량의 의미 수학 지식이나 아이디어, 수학적 활동의 결과, 문제 해결 과정, 신념과 태도 등을 말이나 글, 그림, 기호로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를 이해하는 능력 의사소통은 인간의 삶에서 다른 사람들과 살아가는데 필수적인 요소다. 물론 개인의 창의적, 논리적, 비판적 사고도 길러야 하겠지만, 사회적 관계속에서 의사소통이 없다면 효과적으로 다른 사람과 살아가기 어렵게 된다. 이에 대한 근거로 20.. 2020. 7. 2.